$\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캐나다 이민자의 정신건강 구조 모형
A Structural Equation Model on Mental Health of Korean Immigrants in Canada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0 no.3, 2010년, pp.389 - 399  

배정이 (인제대학교 간호학과.인제대학교 건강과학연구소) ,  박영숙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construct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at would further explain the mental health status of Korean immigrants living in Canada. Methods: Survey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with 386 people in Canada (Vancouver and Toronto). Six instruments we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문헌고찰을 통하여 캐나다 한인 이민자의 정신건강에 관한 가설적 인과모형을 도출하고, 대상자들에게서 자료를 수집하여 모형의 부합도와 가설경로를 검정하는 경로분석 연구이다.
  • 본 연구는 선행연구 결과들을 통합하여 이민자들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들의 구조적 인과관계를 검정하고 모형을 구축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지금까지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들이 주로 불안, 우울, 부적응, 스트레스, 정신 질환 등 각각의 정신건강 문제들을 중심으로 수행된 것과는 다르게 본 연구는 이들 선행연구들을 토대로 이민자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주요 핵심 개념들과 이들의 관계를 포괄적으로 다루어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하였고, 주요 요인들 간의 역동적인 관계를 동시에 보여줌으로써 이민자의 정신건강에 대한 통합적인 통찰력을 제공해 주고 캐나다 한인 이민자들의 정신건강에 관한 지식확장에 기여한 점에서 의의가 크다.
  • 본 연구는 캐나다 이민자들의 정신건강을 설명하고 정신건강을 유지, 향상시키기 위한 정신건강정책이나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인 지침이 되는 모형을 검증한 연구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신건강을 중심으로,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매개변수로서 이민스트레스,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을 주요 개념으로 다루었고, 신체적 건강상태, 영어구사능력, 가족응집력 및 사회적 지지의 개념들과의 인과관계와 상호작용을 토대로 이민자의 정신건강을 설명하는 가설적 모형을 구성하여 검증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캐나다 이민자의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요인과 경로를 설명하는 이론적 구조모형을 구축하고 이를 경험적으로 검증하기 위함으로,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인 이민자들의 정신건강에 관하여 규명되어 왔던 관련 요인들과 경로에 대해 설정된 가설모형을 검증하여 이 요인들의 관계를 통합적으로 밝혀내고자 한다. 이는 이민자들의 정신건강과 관련된 주요 요인들이 포괄적으로 반영된 이론모형으로서, 이민자들의 정신건강을 위협하는 문제 들을 체계적으로 예방하고 나아가 이들의 정신건강을 효과적으로 도울 수 있는 다각적인 중재전략과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이론적 기틀을 제공해줄 수 있을 것이다.

가설 설정

  • 구체적으로 보면 신체적 건강상태는 정신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만 가족응집력과 더불어 이민스트레스,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을 매개로 하여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며, 영어구사능력은 이민스트레스를, 사회적 지지는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을 매개변수로 해서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설정하였다. 또한 이민스트레스와 삶의 질은 직접적으로뿐만 아니라 자아존중감을 통해서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고 자아존중감은 직접적으로 정신건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가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한국인의 캐나다 이민은 어떻게 시작되었는가? 캐나다는 유네스코에서 지명한 가장 살기 좋은 나라로 전 세계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이민국 중 하나이다. 한국인의 캐나다 이민은 캐나다 정부가 1966년 개방적인 이민 정책을 선포한 이후 서서히 증가하다가 1970년대 중반부터 크게 증가하기 시작하여 1980년대 후반과 2000년대 전반까지 계속되었고 2005년 이후 주춤하는 추세이기는 하나 삶의 질과 자녀 교육 등을 위해 모국을 떠나는 한국인의 이주 행렬은 여전히 계속되고 있다. 최근 2000년부터 2009년까지 우리나라 해외 이주자 총계를 보면 캐나다 이민자는 전체 해외 이민자의 17%로서 미국 이민자에 이어 두 번째를 차지하고 있다(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2010).
이민자들의 정신건강을 유지하고 향상하는데 있어서 어떤 것들이 필요한가? 이민자들의 정신건강을 유지하고 향상시키기는 데 있어서 신체적 건강상태를 유지하고, 이민스트레스를 경감시키며, 긍정적인 자아존중감과 삶의 질을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캐나다의 한인 이민자들의 정신건강을 향상시키고 정신건강문제들을 예방하거나 경감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한인 이민자들의 영어구사능력을 향상시키거나 관련된 다양한 도움 방안을 마련하여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
높은 사회적 지지로 스트레스가 우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와 상반되는 주장는 무엇이 있는가? 일반적으로 이민자의 정신건강 향상을 위해서는 본 연구 결과의 총 효과와 같이 신체적 건강상태, 자아존중감, 삶의 질, 이민스트레스의 순으로 우선순위를 두어 중재할 수 있으나, 다른 한편으로는 사회적 지지가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총 효과가 가장 큰 변수이며, 신체적 건강상태와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간접효과를 통해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결과를 고려해야 한다. 이는 스트레스와 정신건강의 개념 틀을 한국 이민자를 대상으로 검증한 결과, 높은 사회적 지지는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부정적인 효과를 완충시킨다고 보고한 연구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ae, J. Y. (2008).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school adjustment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related variabl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8, 454-464. 

  2. Bernstein, K. S. (2007). Mental health issues among urban Korean American immigrants. Journal of Transcultural Nursing, 175-180. 

  3. Bhugra, D., & Minas, I. H. (2007). Mental health and global movement of people. Published Online (www.thelancet.com), 370, 1109-1111. 

  4. Campbell, A. (1981). The sense of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31, 117-124. 

  5. Carmines, E., & Mclver, J. (1981). Analyzing models with unobserved models: Analysis of covariance structures. Beverly Hills, CA: Sage. 

  6. Choi, Y. H. (2003). The comparative study on health-promoting behavior, life satisfaction and self-esteem between Korean elderly and American-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14, 31-39. 

  7. Christopher, K. A., & Kulig, J. C. (2000). Determinants of psychological well-being in Irish immigrant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22, 123-143. 

  8. Derogatis, L. R., & Govi, L. (1973). An out patient psychiatric rating scale preliminary report. Psychopharmacology Bulletin, 9, 13-27. 

  9. Furnham, A., & Shiekh, S. (1993). Correlates of mental health in Asian immigrants. International Journal of Social Psychiatry, 39, 22-33. 

  10. Hoschl, C., Ruiz, P., Casas, M., Musalek, M., Gaebel, W., & Vavrusova, L. (2008). The impact of migration on mental health and mental illness. European Psychiatry, 23, S42. 

  11. Hovey, J. D., & Magana, C. (2000). Acculturative stress, anxiety, and depression among Mexican immigrant farmworkers in the Midwest United States. Journal of Immigrant Health, 2, 119-131. 

  12. Jeon, B. J. (1974). Self-esteem: A test of its measurability. Yonsei Nonchong, 11, 109-129. 

  13. Jeong, W. S. (1989). Family environment diagnosis test. Seoul: Korean Testing Center. 

  14. Kim, H. S. (2006). Cultural identity, acculturation, and mental health of immigrant youths: Review study for Canada's immigrant youth populatio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15, 384-391 

  15. Kim, K. L., Kim, J. H., & Won, H. T. (1984). Korean manual of symptom checklist-90-revision. Seoul: Chungang Aptitude Publishing Company. 

  16. Kim, M. T., Han, H. R., Shin, H. S., Kim, K. B., & Lee, H. B. (2005). Factors associated with depression experience of immigrant populations: A study of Korean immigrants. Achives of Psychiatric Nursing, 19, 217-225. 

  17. Kim, Y. S. (2006). The socio-cultural adaptation and residential mobility of the Koreans in Australia.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40, 497-512. 

  18. Lahti, I. J., Liebkind, K., Jaakkola, M., & Reuter, A. (2006). Perceived discrimination, social support network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three immigrant group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37, 293-311. 

  19. Lee, J. B. (1999). Asian immigrants in Canadian schooling. Korean Comparative Education Society, 9, 155-178. 

  20. Lee, M. S. (1998). The subjective quality of life of Korean workers and associated variable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21. Lee, S. M. (1990).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Seoul: Seongwonsa. 

  22. Lee, S. W. (1993). Correlation study between stress response and life events as a stresso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3, 299-315. 

  23. Ministry of Foreign Affairs and Trade. (2010, February 23). Migration statistics. Retrieved April 6, 2010, from http://www.mofat.go.kr/help/search/index.jsp 

  24. Noels, K. A., Pon, G., & Clement, R. (1996). Language, identity, and adjustment: The role of linguistic self-confidence in the acculturation process. Journal of Language and Social Psychology, 15, 246-264. 

  25. Oppedal, B., Roysamb, E., & Sam, D. L. (2004). The effect of acculturation and social support on change in mental health among young immigrants.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Development, 28, 481-494. 

  26. Sam, D. L. (2000). Psychological adaptation of adolescents with immigrant background. The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140, 5-26. 

  27. Shen, B. J., & Takeuchi, D. T. (2001). A structural model of acculturation and mental health status among Chinese Americans.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9, 387-418. 

  28. Son, S., Lee, J. M., & Ryu, C. W. (2007). A study on the effect of acculturative factors o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Korean American older immigrants in New York city. Journal of Welfare for the Aged, 38, 79-107. 

  29. Suh, Y. O. (2007). Predictors of quality of life in women with breast cancer.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7, 459-466. 

  30. You, S. E. (1997). The effects of perfectionism, social support, stress, and coping style on depression in the middle-aged woman.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6(2), 67-84.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