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콩의 품종, 파종시기 및 지역적 차이에 대한 병 발생 평가
Evaluation of Disease Occurrence by Cultivar, Sowing Date and Locational Difference in Korean Soybean Fields 원문보기

Research in plant disease = 식물병연구, v.16 no.2, 2010년, pp.176 - 182  

김홍조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  오지연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  김동관 (전남농업기술원 미래농업연구소) ,  윤홍태 (국립식량과학원 전작과) ,  정우석 (건국대학교 응용생명과학과) ,  홍점규 (진주산업대학교 원예학과) ,  김기덕 (고려대학교 생명과학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물병발생은 농업 체계에서 다양한 요인에 의해 좌우된다. 최근의 광범위한 환경적인 기후 변화로 인하여 기후 온난화, 파종 시기와 품종의 선택 같은 농업 체계가 영향을 받고 있다. 포장에서의 점차적인 병 발생 양상은 직, 간접적인 환경 변화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콩 품종, 파종 시기, 재배의 지역적인 차이가 우리나라의 콩 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병발생 빈도를 평가하였다. '태광', '풍산', '청자3호', '새올', '다원' 품종을 5월 15일, 6월 1일, 6월 15일, 6월 30일 4 회에, 수원, 나주 두 지역에 파종하였을 때, 콩 들불병과 불마름병 등이 주요 병으로 발견되었다. 들불병이 '태광' 품종에서 주로 심각하게 발생한 반면, '다원' 품종은 불마름병에 대해 특히 감수성이었다. 들불병과 불마름병의 병 진전은 품종과 관계없이 파종 시기가 지연 될수록 감소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ccurrence of plant diseases is dependent on various factors in the agricultural system. Due to recent extensive environmental climate changes, i.e. global warming, agricultural systems such as planting dates and cultivars are being affected. Gradual transition in disease occurrence and incidence i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후)기후변화에">기후 변화에 따른 병 발생 변동 양상이 기존의 작부 체계에 영향을 줄 수 있음에 근거하여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후의 변화로 콩 파종 시기를 조절해야 할 수 있기 때문에 본 연구를 통하여 콩 파종기 이동에 따른 병 발생 양상을 조사하였다. 수원에서 들불병 발생이 가장 심하였던 ‘새올’과 ‘태광’ 콩 품종을 보았을 때, 가장 먼저 5월 15일에 파종한 포장에서 병이 가장 많이 후)연구결과들은">연구 결과들은 콩의 파종기 변동에 따른 병해 발생 양상이 병원균의 종류와 콩의 품종에 따라 상이함을 시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들불병과 불마름병에 대한 콩 파종 시기에 따른 상이한 병 진전을 국내외적으로 최초로 보고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기후 변화에 따른 최근 우리 나라에서의 콩의 병해충 발생 동태를 3개년간 조사 예정이며, 그 첫 해 2008년의 주요 콩 병해 발생 상황을 보고하고자 한다.
  • 포장에서의 점차적인 병 발생 양상은 직, 간접적인 환경 변화에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콩 품종, 파종 시기, 재배의 지역적인 차이가 우리나라의 콩 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병 발생 빈도를 평가하였다. ‘태광’, ‘풍산’, 후)기후변화에">기후 변화에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있음에도 포장 규모에서의 분석은 미미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콩의 주요 병 발생에 미치는 품종, 파종 시기생육 지역의 영향을 조사하여, 이를 바탕으로 기후 변화에 따른 향후 콩의 안정된 수량 확보를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 후)유래 한">유래한 63개의 균주들이 5개의 레이스로 구분되었다. 이는 콩 불마름병 효과적인 방제를 위하여 각 지역 균주의 레이스 분화에 대한 분석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병원균 레이스의 지역적 분포는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표적인 기후 변화의 요인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기후 변화에 따른 식물 병 발생 양상의 변화에 대한 관심은 이미 10여 년 전부터 대두되었다(Manning과 Tiedemann, 1995; Coakley 등, 1999). 대표적인 기후 변화의 요인인 대기 중 이산화탄소(CO2), 오존(O3), 자외선 양의 증가는 병원균의 감염 생리에 따라 작물 생산에 유리하게도 혹은 불리하게도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Manning과 Tiedemann, 1995, Bilgin 등, 2008). 오존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콩 모자이크 바이러스의 전신적인 감염과 병 진전은 지연되었다(Bilgin 등, 2008).
안정적인 콩 생산이 다양한 산업적인 면에서 매우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콩은 벼, 밀과 함께 세계적으로 주요 식량 작물의 하나이다. 유류작물 및 사료 작물로서도 콩은 그 중요성이 인정되며(Clemente와 Cahoon, 2009), 최근 콩 수확 후의 남은 식물체의 바이오 에너지 생산을 위한 섬유소 공급원으로 가능성이 추구되고 있다(Reddy와 Yang, 2009). 따라서 안정적인 콩 생산은 다양한 산업적인 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콩 재배 중의 주요 식물 병으로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콩 생산량에 다양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지만, 병 발생에 의한 콩 생산량의 감소는 항상 주요한 제한 요인이 되어 왔다. 콩 재배 중의 주요 식물 병으로는 세균병으로 Xanthomonas axonopodis pv. glycines 에 의한 불마름병, Pseudomonas savastanoi pv. glycines에 의한 갈색무늬병, P. syringae pv. tabaci에 의한 들불병 등이 있으며, 진균에 의한 병으로는 Septoria glycines에 의한 갈색무늬병, 바이러스 병으로 콩 모자이크 바이러스 (soybean mosaic virus)병 등이 알려져 있다. 최근까지도 세계적으로 콩 병해를 일으켜서 수량 감소를 초래하는 대부분의 다양한 종류의 병원균들이 국내에서도 보고되었다(한국식물병리학회,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American Phytopathological Society. 1984. Compendium of soybean diseases. 4th edition. pp. 6-8. 

  2. Bilgin, D. D., Aldea, M., O’Neill, B. F., Benitez, M., Li, M., Clough, S. J. and DeLucia, E. H. 2008. Elevated ozone alters soybean-virus interaction. Mol. Plant-Microbe Interact. 21: 1297-1308. 

  3. Clemente, T. E. and Cahoon, E. B. 2009. Soybean oil: Genetic approaches for modification of functionality and total content. Plant Physiol. 151: 1030-1040. 

  4. Coakley, S. M., Scherm, H. and Chakraborty, S. 1999. Climate change and plant disease management. Annu. Rev. Phytopathol. 37: 399-426. 

  5. Damicone, J. P., Manning, W. J., Herbert, S. J. and Feder, W. A. 1987. Growth and disease response of soybeans from early maturity groups to ozone and Fusarium oxysporum. Environ. Poll. 48: 117-130. 

  6. Dorrance, A. E., Kleinhenz, M. D., McClure, S. A. and Tuttle, N. T. 2003. Temperature, moisture, and seed treatment effects on Rhizoctonia solani root rot of soybean. Plant Dis. 87: 533-538. 

  7. Garrett, K. A., Dendy, S. P., Frank, E. E., Rouse, M. N. and Travers, S. E. 2006. Climate change effects on plant disease: Genomes to ecosystems. Annu. Rev. Phytopathol. 44: 489-509. 

  8. Gregory, P. J., Johnson, S. N., Newton, A. C. and Ingram, J. S. I. 2009. Integrating pests and pathogens into the climate change/food security debate. J. Exp. Bot 60: 2827-2838. 

  9. Hershmann, D. E., Hendrix, J. W., Stuckey, R. E., Bachi, P. R. and Henson, G. 1990. Influence of planting date and cultivar on soybean sudden death syndrome in Kentucky. Plant Dis. 74: 761-766. 

  10. Hokawat, S. and Rudolf, K. 1991. Variation in pathogenicity and virulence of strains of Xanthomonas campestris pv. glycines, the incitant of bacterial pustule of soybean. J. Phytopathol. 131: 73-83. 

  11. Hwang, I. and Lim, S. M. 1998. Pathogenic variability in isolates of Xanthomonas campestris pv. glycines. Kor. J. Plant Pathol. 14: 19-22. 

  12. Kim, S. M., Lee, J. B., Lee, Y. H., Choi, S. H., Choi, H. S., Park, J. W., Lee, J. S., Lee, G. S., Moon, J. K., Moon, J. S., Lee, K. W. and Lee, S. H. 2006. First report of Soybean Dwarf Virus on soybean (Glycine max) in Korea. Res. Plant Dis. 12: 213-220. 

  13. Kim, W. G., Hong, S. K. and Han, S. S. 2005. Occurrence of web blight in soybean caused by Rhizoctonia solani AG-1(IA) in Korea. Plant Pathol. J. 21: 406-408. 

  14. 한국식물병리학회. 2009. 한국식물병명록. 수원, 한국, 853 pp. 

  15. Krell, R. K., Pedigo, L. P., Rice, M. E., Westgate, M. E. and Hill, J. H. 2005. Using planting date to manage bean pod mottle virus in soybean. Crop Protect. 24: 909-914. 

  16. Laurence, J. A. and Wood, F. A. 1978. Effects of ozone on infection of soybean by Pseudomonas glycinea. Phytopathology 68: 441-445. 

  17. Lee, Y. J., Kang, M. H., Noh, T. H., Lee, D. K., Lee, G. H. and Kim, S. J. 2009 Direct PCR detection of the causal agents, soybean bacterial pustule, Xanthomonas axonopodis pv. glycines in soybean seeds. Res. Plant Dis. 15: 83-87. 

  18. Manning, W. J. and Tiedemann, A. V. 1995. Climate change: potential effects of increased atmospheric carbon dioxide ( $CO_2$ ), ozone ( $O_3$ ), and ultraviolet-B (UV-B) radiation on plant diseases. Environ. Pollut. 88: 219-245. 

  19. Oh, J. H. and Kim, D. Y. 2001. Effect of cultural practices on the occurrence of pod and stem blight and purple blotch, and on soybean growth. Res. Plant Dis. 7: 107-111. 

  20. Oh, J. H. and Kim, K. H. 2003. Influence of temperature, wetness duration and fungicides on fungal growth and disease progress of soybean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spp. Res. Plant Dis. 9: 131-136. 

  21. Park, E. W. and Lim, S. M. 1986. Effect of bacterial blight on soybean yield. Plant Dis. 70: 214-217. 

  22. Park, S. W., Kim, H. S., Woo, S. H., Shim, H. K. and Kim, H. T. 2006.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nd molecular identification of Calonectria ilicicola causing soybean red crown rot. Res. Plant Dis. 12: 178-184. 

  23. Reddy, N. and Yang, Y. 2009. Natural cellulose fibers from soybean straw. Bioresource Technol. 100: 3593-3598. 

  24. Wrather, J. A. and Koenning, S. R. 2006. Estimates of disease effects on soybean yields in the United States 2003 to 2005. J. Nematol. 38: 173-180. 

  25. Wrather, J. A., Anderson, T. R., Arsyad, D. M., Gai, J., Ploper, L. D., Porta-Puglia, A., Ram, H., H. and Yorinori, J. T. 1997. Soybean disease loss estimates for the top 10 soybean producing countries in 1994. Plant Dis. 81: 107-110. 

  26. Wrather, J. A., Kendig, S. R., Wiebold, W. J. and Riggs, R. D. 1996. Cultivar and planting date effects on soybean stand, yield, and Phomopsis sp. Seed infection. Plant Dis. 80: 622-624. 

  27. Yorinori, J. T., Paiva, W. M., Frederick, R. D., Costamilan, L. M., Bertagnolli, P. F., Hartman, G. E., Godoy, C. V. and Nunes, J. Jr. 2005. Epidemics of soybean rust (Phakopsora pachyrhizi) in Brazil and Paraguay from 2001 to 2003. Plant Dis. 89: 675-67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