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egree of income inequality deepened by health care expenditure was useful in assessing the health security level. This exploratory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 basic evidence to prove the necessity of reinforcement the benefit coverage of South Korea's health security systems. Data from th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건강보장의 수준이 낮을수록 저소득층의 의료이용의 제한이 커지는 방향의 관계를 나타낼 것이므로 최소한 이 연구의 결과 정도의 소득불평등 심화는 나타낼 것이며, 국가 간의 차이 역시 최소한 이 연구의 결과보다는 클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저소득층의 의료이용 제한을 정확히 보정하는 것은 불가능하며, 저소득층의 의료이용 제한은 연구의 결과로 나타난 차이들을 약하게 하는 방향으로 작용할 것이므로 그 차이를 비교하는 데는 큰 문제가 없을 것으로 판단하고 연구를 진행하였다.
  • 이 소득불평등 지표 변화 수준의 적절성을 판단할 수 있는 절대적인 기준이 없는 상황에서 한국 건강보장제도의 보장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다른 국가와의 비교가 한 방법이 될 수 있다. 의료비 지출로 인한 소득불평등의 심화 정도를 확인하고, 국가 간의 비교를 통해 한국의 건강보장 수준을 평가하여, 한국 건강보장제도의 보장성 개선의 필요성에 대한 기본적인 근거를 제시하기 위하여 탐색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보장제도는 어떤 기능과 사명을 갖는가? 건강보장제도는 개인과 사회의 건강수준을 향상시키고 개인이나 가계를 경제적으로 보호하는 기능과 사명을 기본으로 한다(김창엽, 2009). 한국의 건강보장제도는 1977년부터 시행된 사회보험인 의료보험과, 1979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공적부조인 의료보호로 구성되어 있었으며, 2000년 제도의 변화에 따라 각각 건강보험과 의료급여로 바뀌어 시행되고 있다(예방의학편찬위원회, 2007).
한국의 본인부담금 제도로 인해 무엇이 심화될 것이라 예상하는가? 결과적으로 의료비 지출이 소득불평등을 심화한다면 그 국가의 건강보장제도가 온전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음을 뜻하는 것이며, 이 심화의 정도를 한 국가의 건강보장 수준을 평가하는 기준의 하나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은 본인부담금 제도가 정률제를 기본으로 하고 있어 본인부담금이 소득에 비례하지 않으므로 의료비 지출 후 소득불평등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또, 대부분의 국가에서도 의료이용에서 본인 부담금이 발생하고 있으므로 소득불평등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으나, 각 국가들은 한국의 의료급여 제도와 같은 저소득층에 대한 의료비 지원 정책 등 이 효과를 감소할 수 있는 정책을 동시에 시행하고 있다.
의료비 지출에 따른 소득불평등의 심화를 살펴보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때문인가? 의료비 지출에 따른 소득불평등의 심화를 살펴보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서 중요성을 가진다. 첫째, 의료비 지출이 소득불평등을 심화한다면 소득이 낮은 가구일수록 의료비 지출에 대한 부담을 더 크게 느끼게 되므로 소득이 감소할수록 의료이용 제한이 증가하는 양상의 결과가 나타날 수 있으며, 특히 저소득층의 경우 필수 의료 서비스 이용마저도 제한될 수 있다. 이는 결과적으로 건강불평등을 심화하는 결과를 낳게 된다. 둘째, 소득은 건강에 이로운 방향의 효과를 나타내므로(한국건강형평성학회, 2007), 의료이용 제한과 함께 소득불평등 심화 그 자체로 건강불평등을 심화할 수 있다. 한 국가의 건강보장의 근거로 가장 자주 거론되는 것은 건강권이며(김창엽, 2009), 건강불평등은 건강권의 제한을 나타내는 주요 결과로 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의료비 지출이 소득불평등을 심화한다면 그 국가의 건강보장제도가 온전한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음을 뜻하는 것이며, 이 심화의 정도를 한 국가의 건강보장 수준을 평가하는 기준의 하나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은 본인부담금 제도가 정률제를 기본으로 하고 있어 본인부담금이 소득에 비례하지 않으므로 의료비 지출 후 소득불평등이 심화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강성호, 김준영. 국민연금의 소득계층별 재분배 기여도 분석 : 지니계수 요인분해를 통한 새로운 접근. 공공경제 2007 ; 12(2) : 89-118. 

  2.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2008 건강보험통계연보. 서울 : 국민건강보험공단, 건강보험심사평가원 ; 2009. 

  3. 국민건강보험공단. OECD국가의 의료보장제도. 서울 : 국민건강보험공단 ; 2003. 

  4. 권순만, 양봉민, 이태진, 오주환, 이수형. 보건의료이용의 형평성. 보건경제연구 2003 ; 9(2) : 13-24. 

  5. 김성경, 유승흠, 박웅섭, 정우진. 우리나라 성인과 노인의 개인부담 의료비용 지출의 관련요인. 예방의학회지 2005 ; 38(4) : 408-414. 

  6. 김욱. 국민연금제도의 소득보장과 재분배 역할. 한.독사회과학논총 2004 ; 14(2) : 339-362. 

  7. 김정완. 근로소득세의 소득재분배 효과에 연구 : 외환위기 전후를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2008 ; 8(2) : 193-208. 

  8. 김창엽, 이진석, 강길원, 김용익. 의료보험 환자가 병원진료시 부담하는 본인부담 크기. 보건행정학회지 1999 ; 9(4) : 1-14. 

  9. 김창엽. 건강보장의 이론. 파주: 한울아카데미 ; 2009. 

  10. 김태완, 양시현, 최현수, 김문길, 우선희, 박은영. 2009년 빈곤통계연보.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09. 

  11. 김태일, 최윤영, 이경희. 소득계층에 따른 의료이용 격차 분석. 사회보장연구 2008 ; 24(3) : 53-75. 

  12. 노응원. 원자료를 이용한 통계청의 소득분배 지표계산의 문제점. 경제학공동학술대회 연제집. 서울 : 경제학 공동학술대회 ; 2008. 

  13. 성명재. 조세정책의 소득재분배 효과 분석에 관한 연구; 도시가계조사자료를 중심으로. 서울 : 한국조세연구원 ; 2002. 

  14. 신영석, 신현웅, 황도경, 김호임, 김진수. 의료안전망 구축과 정책과제. 서울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 2006. 

  15. 신영전. 의료안전망의 재구성과 정책과제. 보건복지포럼 2009 ; 155 : 17-28. 

  16. 양봉민. 보건경제학. 파주 : 나남 ; 2006. 

  17. 양봉민, 권순만, 이태진, 오주환, 이수형. 보건의료 재원조달의 형평성. 보건경제연구 2003 ; 9(2) : 1-12. 

  18. 여유진. 공적이전 및 조세의 소득재분배효과. 사회보장연구 2009 ; 25(1) : 45-68. 

  19. 예방의학편찬위원회. 예방의학. 서울 : 계축문화사 ; 2007. 

  20. 이용재, 김승연. 소득계층별 건강보험 본인부담과 이용의 형평성. 사회복지정책 2006 ; 24 : 173-199. 

  21. 이원영, 신영전. 도시가계의 소득계층별 과부담의료비 실태. 사회보장연구 2005 ; 21(2) : 105-133. 

  22. 임진화, 김성경, 이은미, 배신영, 박재현, 최귀선 등. 암 환자의 민간의료보험 가입 실태와 관련 요인. 예방의학회지 2007 ; 40(2) : 150-154. 

  23. 최병호, 신현웅. 국민건강보험의 소득계층별 부담과 혜택의 형평성. 보건복지포럼 2005 ; 104 : 87-97. 

  24. 통계청. 가계동향조사. Available from : URL : http://survey.go.kr/hies/. 

  25. 통계청. 가계조사 지침서. 서울 : 통계청 ; 2006. 

  26. 한국건강형평성학회. 건강 형평성 측정 방법론. 파주 : 한울아카데미 ; 2008. 

  27. 허순임, 최숙자, 김창엽. 가계 의료비지출의 소득탄력성과 소득수준에 따른 차이 분석. 보건행정학회지 2007 ; 17(3) : 50-67. 

  28. 허순임. 소득 계층별 의료비 부담의 추이. 보건복지포럼 2009 ; 149 : 48-62. 

  29. Bara A, Heuvel W, Maarse J. Reforms of health care system in Romania. Croatian Medical Journal 2002 ; 43(4) : 446-452. 

  30. Burger E, Field M, Twigg J. From assurance to insurance in Russian health care : the problematic transitio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98 ; 88(5) : 755-758. 

  31. Department of Health, Executive Yuan, R.O.C. (Taiwan). Health statistics in Taiwan 2006. Taipei City : Department of Health, Executive Yuan, R.O.C. (Taiwan); 2008. 

  32. Gross R, Rosen B, Shirom A. Reforming the Israeli health system : findings of a 3-year evaluation. Health Policy 2001 ; 56 : 1-20. 

  33. International Monetary Fund. World economic outlook database. Available from : URL : http ://www.imf.org/external/pubs/ft/weo/2010/01/weodata/index.aspx. 

  34. Luxembourg Income Study. Introduction. Available from : URL : http://www.lisproject.org/introduction.htm. 

  35. Markota M, Albreht T. Slovenian experience on health insurance(re) introduction. Croatian Medical Journal 2001 ; 42(1) : 18-23. 

  36. OECD. Health at a glance 2009 : OECD indicators. Available from : URL : http://www.oecdilibrary.org/content/book/health_glance-2009-en. 

  37. Somkotra T, Lagrada L. Payments for health care and its effect on catastrophe and impoverishment : experience from the transition to Universal Coverage in Thailand. Social Science & Medicine 2008 ; 67 : 2027?2035. 

  38. Suhrcke M, Rocco L, McKee M. Health: a vital investment for economic development in eastern Europe and central Asia. Copenhagen : WHO European Office for Investment for Health and Development ; 2007. 

  39. Wagstaff A. Poverty and health sector inequalities. Bulletin of the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2 ; 80(2) : 97-105. 

  40. World Health Organization. World health statistics 2005. Geneva : World Health Organization ; 2005. 

  41. World Health Organization. World health statistics 2010. Geneva : World Health Organization ; 201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