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9, 2010년, pp.1279 - 1285
최소영 (이화여자대학교 임상보건과학대학원 임상영양) , 김양하 (이화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green tea or coffee consumption on the serum lipids profiles. This study analyzed data of 1,343 participants (753 males and 590 females) among the people who underwent medical check-up. The subjects were divided by three groups as pattern of gre...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의 상승으로 인한 고지혈증이 중년이상의 연령에게 어떤 병을 야기하는가? | 심혈관계 질환은 40~60대의 주요 사망 원인으로 그 예방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가운데 이러한 질환을 일으키는 원인들이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 여러 가지 원인 중 특히 중년이상의 연령에서는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의 상승으로 인한 고지혈증이 심혈관계 질환을 일으키는 주요 원인으로 보고되고 있다(1). 고지혈증에 의한 심혈관계 질환은 지방 섭취 등을 비롯한 여러 식이요인에 의해 지대한 영향을 받는다고 한다(2). | |
녹차 섭취와 심혈관계 질환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에는 무엇이 있는가? | 녹차는 고대부터 건강에 유익한 음료로 간주되어 왔는데, 그중에서도 녹차 섭취와 심혈관계 질환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어 왔다. Raederstorff 등(5)은 녹차의 epigallocatechin-3-gallate(EGCG)가 소화관에서 콜레스테롤 세포의 용해를 방해하여 지질대사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고, Muramastsu 등(6)은 동물실험에서 녹차가 콜레스테롤의 흡수 억제 및 담즙산 형태로 콜레스테롤의 배설을 촉진함으로써 혈중 지질 상태를 개선하여 녹차첨가식이가 혈중 총콜레스테롤 농도의 유의적 감소를 나타낸다고 설명하고 있다. 여러 연구들에서 녹차의 섭취가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의 산화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는데(7,8), 녹차의 혈중 콜레스테롤 농도 감소 효과는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효과로 이어지고, 실제로 녹차 섭취량이 동맥경화의 진행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보고되고 있다(9,10). | |
녹차는 고대부터 어떠한 음료로 간주되었는가? | 녹차는 고대부터 건강에 유익한 음료로 간주되어 왔는데, 그중에서도 녹차 섭취와 심혈관계 질환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어 왔다. Raederstorff 등(5)은 녹차의 epigallocatechin-3-gallate(EGCG)가 소화관에서 콜레스테롤 세포의 용해를 방해하여 지질대사에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고, Muramastsu 등(6)은 동물실험에서 녹차가 콜레스테롤의 흡수 억제 및 담즙산 형태로 콜레스테롤의 배설을 촉진함으로써 혈중 지질 상태를 개선하여 녹차첨가식이가 혈중 총콜레스테롤 농도의 유의적 감소를 나타낸다고 설명하고 있다. |
Alexander KP, Blazing MA, Rosenson RS, Hazard E, Aronow WS, Smith SC Jr, Ohman EM. 2009. Management of hyperlipidemia in older adults. J Cardiovasc Pharmacol Ther 14: 49-58.
Gurr MI, Borlak N, Ganatra S. 1989. Dietary fat and plasma lipids, nutrition research reviews. Nutr Res Rev 2: 63-66.
Park SC, Oh MY, Kim HS. 2005. A study on usage of health improving agents in Seoul & Busan. J Korean Diet Assoc 11: 440-448.
Raederstorff DG, Schlachter MF, Elste V, Weber P. 2003. Effect of EGCG on lipid absorption and plasma lipid levels in rats. J Nutr Biochem 14: 326-332.
Muramastsu K, Fukuyo M, Hara Y. 1986. Effect of green tea catechins on plasma cholesterol level in cholesterol-fed rats. J Nutr Sci Vitaminol 2: 613-622.
McKay DL, Blumberg JB. 2003. The role of tea in human health: an update. J Am Coll Nutr 133: 3275-3284.
Ishikawa T, Suzukawa M, Ito T, Yoshida H, Ayaori M, Nishsiwaki M, Yonemura A, Hara Y, Nakamura H. 1997. Effect of tea flavonoid supplementation on the susceptibility of low-density lipoprotein to oxidative modification. Am J Clin Nutr 66: 261-266.
Singh AK, Seth P, Anthony P, Husain MM, Madhavan S, Mukhtar H, Maheshwari RK. 2002. Green tea constituent epigallocatechin-3-gallate inhibits angiogenic differentiation of human endothelial cells. Arch Biochem Biophys 401:
Murakami T, Oshato K. 2003. Dietary green tea intake preserves and improves arterial compliance and endothelial function. J Am Coll Cardiol 41: 271-274.
Kang SU, Na YS. 2004. The analysis toward consumption state, import and export in the world coffee market-The case of Korea, USA, Japan market. Kor J Culinary Res 10: 65-92.
Lacroix AZ, Mead LA, Liang KY, Thomas CB, Pearson TA. 1986. Coffee consumption and incidence of coronary heart disease. N Engl J Med 315: 977-982.
Paul O, Lepper MH, Phellan WH, Dupertuis GW, Macmillan A, McKean H, Park H. 1963. A longitudinal study of coronary heart disease. Circulation 28: 20-31.
Yano K, Rhoads GG, Kagan A. 1977. Coffee, alcohol,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among Japanese men living in Hawaii. N Engl J Med 297: 405-409.
Lee MS, Park JY, Hedley F, Kwun IS, Kim YH. 2008. Green tea catechin enhances cholesterol 7 $\alpha$ -hydroxylase gene expression in HepG2 cells. Br J Nutr 99: 1182-1185.
Donahue RP, Orchard TJ, Stin EF, Kuler LH. 1987. Lack of an association between coffee consumption and lipoprotein lipids and apolipoproteins in young adults-The Beaver County Study. Prev Med 16: 796-802.
Yoo HJ, Kim YH. 2008.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nutrient intake in metabolic syndrome subjects. Korean J Nutr 41: 510-517.
The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08. Report on 2007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Back SN, Yang JL, Jin HH, Kim YH. 2002. Effects of green tea consumption on serum lipid profiles. Korean J Nutr 35: 854-862.
Choi MK, Lee YS. 2007. The relationships among coffee consumption, blood pressure, and serum lipids in Korean adult men and women. Korean J Food & Nutr 20: 460-466.
Kono S, Shinchi K. 1996. Relation of green tea consumption to serum lipids and lipoproteins in Japanese men. J Epidemiol 6: 128-133.
Sasazuki S, Kodama H, Yoshimasu K, Liu Y, Washio M, Tanaka K, Tokunaga S, Kono S, Arai H, Doi Y, Kawano T, Nakagaki O, Takada K, Koyanagi S, Hiyamuta K, Nii T, Shirai K, Ideishi M, Arakawa K, Mohri M, Takeshita A. 2000. Relation between green tea consumption and the severity of coronary atherosclerosis among Japanese men and women. Ann Epidemiol 10: 401-408.
Weusten-Van der Wouw MP, Katan MB, Viani R, Huqqett AC, Liardon R, Lund-Larsen PG, Thelle DS, Ahola I, Aro A, Meiboom S, Beynen AC. 1994. Identity of the cholesterol-raising factor from boiled coffee and its effects on liver function enzymes. J Lipid Res 35: 721-733.
Aro A, Pietinen P, Uusitalo U, Tuomilehto J. 1989. Coffee and tea consumption, dietary fat intake and serum cholesterol concentration of Finnish men and women. J Intern Med 226: 127-132.
Yoshihiro M, Suminori K, Masato N, Hiroaki H, Hiroshi N, Hiroko K, Shinsaku O. 1999. Relationship of coffee consumption with serum lipids and lipoproteins in Japanese men. AEP 9: 121-126.
Sofi F, Conti AA, Gori AM, Eliana Luisi ML, Casini A, Abbate R, Gensini GF. 2007. Coffee consumption and risk of coronary heart disease: a meta-analysis. Nutr Metab Cardiovasc Dis 17: 209-223.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