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면신경마비 환자의 최근 5년간 연도별 진료경향 분석
Prevalence and Treatment Pattern of Korean Patients with Facial Palsy 원문보기

大韓鍼灸學會誌=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v.27 no.3, 2010년, pp.137 - 146  

홍권의 (대전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While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treatments of facial palsy, no study has been performed on general population of Korea, especially concerning about comparison between western medicine and oriental medicin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magnitude of health visits and treatment pat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저자는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유병률이 높으며 후유증을 동반하는 안면신경마비에 대한 실험 및 임상연구들은 많으나, 상병명에 따른 연도별, 월별 분석에 대한 연구를 접하지 못했기에 이에 대한 조사 분석을 시행하였다.
  • 이에 본 저자는 2004년 1월부터 2008년 12월까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한·양방 상병기호 및 상병명에 따라 외래 및 입원의 내원 인원수 분석을 통하여 안면신경마비 환자의 진료 경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2004년부터 2008년까지 5년간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전산시스템에 등록된 국내 보험 환자를 대상으로 안면마비의 상병명을 대상으로 총 진료건수, 입원건수, 외래건수를 비교 관찰한 결과 얻은 결론은 무엇인가? 1. 양방의 경우 Bell마비(G510)가 가장 많았으며, 한방의 경우 2004년, 2005년까지는 기타 안면마비(J013)가 2006~2008년은 구안와사(J01)가 많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2. 입원진료건수를 살펴보면, 양방은 5년 동안 Bell 마비가 가장 많았으며, 한방은 구안와사(J01), 기타 안면마비(J013)이 가장 많았다. 3. 연도별 외래진료건수를 살펴보면, 양방은 5년 동안 Bell마비가 가장 많았으며, 한방은 2004년, 2005년까지는 기타 안면마비(J013)가 2006~2008년은 구안와사(J01)가 많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구안와사의 한의학적 치료는 무엇인가? 구안와사의 한의학적 치료는 氣血雙虛, 風邪外濕 등의 辨證을 기초로 하여 逐風消痰, 調和氣血 등을 하여 치료를 시행하며22), 안면신경마비의 치료에 있어서 서양의학에서는 감염성 질환에 의한 경우에는 감염성 질환을 먼저 치료를 위해 항바이러스제제를 사용하여, 당뇨병이나 간질환 등 만성 질환이 있는 경우는 필요에 따라 내과적 치료를 시행하나 특별한 합병증이 없는 경우에는 보존적인 치료를 하며 주로 Steroid 제제를 투여한다23).
안면신경이란 무엇인가? 안면신경(Facial nerve, 7th cranial nerve)은 안면근과 함께 나오며 운동, 지각 및 부교감신경섬유를 함께 가지는 혼합신경이다. 안면신경마비는 마비의 원인과 병소의 부위에 따라 증상이 결정되는데3) 크게 중추성 마비와 말초성 마비로 분류할 수 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국민건강보험관리공단. 2007년 통계자료. 

  2. 백만기. 최신이비인후과학. 서울 : 일문각. 1997 : 121-7. 

  3. 대한침구학회 교재편찬위원회. 침구학(하). 파주 : 集文堂. 2008 : 186. 

  4. 陳無擇. 三因方.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83 : 223. 

  5. 洪元植. 精校黃帝內經. 서울 : 東洋醫學硏究院. 1985 : 102. 

  6. 張機. 金?要略. 臺南: 世一書局. 1972 : 68. 

  7. 巢元方. 諸病原候論. 台北: 文光圖書有限公司. 1977 : 2, 35. 

  8. 의학교육연수원. 가정의학. 서울 :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1 : 519-24. 

  9. Kenneth W Lindsay, Ian bone 著. 이광우 編著. 임상신경학. 서울 : E. public. 2006 : 222-9. 

  10. 양가람, 송호섭. 미각장애가 말초성 안면신경마비의 예후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7 : 24(3) : 2-8. 

  11. 李道生主編. 新編鍼灸治療學.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998 : 155-6. 

  12. 대한이비인후과학회 編. 이비인후과학. 서울 : 일조각. 2002 : 833-56. 

  13. Hughes GB. Practical management of Bell's palsy. Otololaryngol Head Neck Surg. 1990 ; 102 : 658-63. 

  14. 楊維傑編. 黃帝內經靈樞台北: 台聯國風出版社. 1976 : 164-5. 

  15. 張中景. 金?要略. 서울 : 成輔社. 1982 : 30-1. 

  16. 李?. 東垣十種醫書. 上海: 上海鴻文書局版. 1978 :113. 

  17. 張景岳. 景岳全書. 서울 : 대성문화사. 1997 : 208. 

  18. 陳士鐸. 辨證奇文全書. 台北: 甘地出版社. 1980 :123. 

  19. 王勳臣. 醫林改錯. 서울 : 일중사. 1992 : 77. 

  20. 유한철, 金漢星. 口眼?斜의 원인에 대한 문헌적고찰. 대전대학교 한의학연구소 논문집. 2000 ; 9(1) : 243-58. 

  21. 金枓元譯. 臨床神經診察法. 서울 : 서광의학. 2000 : 200-02. 

  22. 양계주. 침구대성. 서울 : 정담출판사. 1993 : 416. 

  23. 해리슨내과학편찬위원회. 내과학. 서울 : 정담. 1997 : 2536-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