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Single Cell PCR과 현미경을 통한 바지락 및 백합 유생의 동정
Identification of Ruditapes philippinarum and Meretrix lusoria Larvae Using Single Cell PCR Analysis and Microscopic Observation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32 no.3, 2010년, pp.247 - 254  

정승원 (한국해양연구원 남해특성연구부) ,  김창수 (한국연안환경생태연구소) ,  유재원 (한국연안환경생태연구소) ,  김영옥 (한국해양연구원 남해특성연구부) ,  이진환 (상명대학교 자연과학대학 그린생명과학과) ,  홍재상 (인하대학교 자연과학대학 해양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ngle cell PCR analysis and light and scanning electron microscopic techniques were utilized to identify free living bivalve larvae in the coastal waters of Tae-an, on the west coast of Korea. Through DNA sequencing, venerid clam larvae were isolated and identified as Ruditapes philippinarum (99%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유용 이매패류의 생산성 증대라는 측면에서는 부유유생 기간 동안의 이들의 환경요인의 변동에 따른 개체군 동태를 밝히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이를 위해 현미경적인 크기의 유생에 대한 정확한 동정은 필수요건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태안 갯벌형 바다목장 해역에서 출현한 이매패 유생을 채집하여 single cell PCR 및 미세 형태구조를 통한 종 동정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우리나라 서해 및 남해안 조간대 사질과 니질에 주로 분포하는 백합과의 패류 중 가장 많은 생산량을 차지하는 식용 이미패류는 무엇인가? 우리나라 서해 및 남해안 조간대 사질과 니질에 주로 분포하는 백합과의 패류들은 고급 품종으로 각광받고 있다(송 등 2008). 특히 식용 이매패 중에서 참굴 (Crassostrea gigas) 다음으로 생산량이 많은 바지락은 주로 조간대에서 양식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연간 패류 총생산량의 약 18%를 차지하는 중요 이매패류이나, 전체 생산량은 1990년대 초반 이후로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전체 패류 생산량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서해안의경우 지속적으로 생산량의 감소를 보이고 있다(해양수산부 2006). 우리나라 패류에 관한 연구는 산지별 특성, 서식환경, 이차생산 및 성장, 개체군 역학, 비만도 및 치패 출현, 폐사 현상 등 성체의 생산량 증대와 관련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유 등 1978; 김 1986; 윤 1992; 조 등 1995; 김 2005; 송 등 2008).
백합목, 백합과에 속하는 중요 식용 이매패류는 무엇인가? 바지락(Ruditapes philippinarum) 및 백합(Meretrix lusoria) 은 백합목(Oder Veneroida), 백합과(Family Veneridae) 에 속하는 중요 식용 이매패류로 한국, 일본열도, 필리핀 제도를 포함하여 중국, 인도차이나 반도 동부 연안에 이르기까지 아시아 대륙의 사질 및 니사질 조간대에 주로 서식하고 있다(Jayabal and Kalyani 1986; Chew 1989; Ho and Zheng 1994; Liu et al. 2006).
우리나라 패류에 관한 연구는 어떤 분야가 주를 이루고 있는가? 특히 식용 이매패 중에서 참굴 (Crassostrea gigas) 다음으로 생산량이 많은 바지락은 주로 조간대에서 양식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연간 패류 총생산량의 약 18%를 차지하는 중요 이매패류이나, 전체 생산량은 1990년대 초반 이후로 점차 감소하고 있으며, 특히 전체 패류 생산량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서해안의경우 지속적으로 생산량의 감소를 보이고 있다(해양수산부 2006). 우리나라 패류에 관한 연구는 산지별 특성, 서식환경, 이차생산 및 성장, 개체군 역학, 비만도 및 치패 출현, 폐사 현상 등 성체의 생산량 증대와 관련된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유 등 1978; 김 1986; 윤 1992; 조 등 1995; 김 2005; 송 등 2008). 그러나, 해양 무척추동물 개체군의 성체 분포가 부유 유생기와 매우 밀접한 연관성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이매패류의 유생 생태뿐만 아니라 유생 동정에 대한 연구도 매우 미비한 실정이다(허와 허 2000; Sastry 1965; Underwood and Fairweather 1989; Sekiguchi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김완수 (1986) 가로림만 바지락의 성장, 사망 및 생산.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36 p 

  2. 김효진 (2005) 인천 선재도산 바지락, Ruditapes philippinarum의 환경 요인의 차이에 의한 성장과 산란 및 가입에 대한 비교 연구. 석사학위논문, 인하대학교, 63 p 

  3. 송재희, 김치홍, 박성우, 유진하, 조영조 (2008) 한국 서해안 백합 Meretrix lusoria의 생물학적 활성요인과 계절성. 한국양식학회지 21:111-122 

  4. 유성규 (2000) 천해양식. 구덕출판사, 부산, 626 p 

  5. 유성규, 정유정, 유호영 (1978) 연안산 중요 조개류의 증식에 관한 생물학적 연구. 6. 바지락의 산지별 특징. 부산수대연보 18:89-94 

  6. 윤성봉 (1992) 통영 안정리 인접 바지락 자원의 개체군 역학적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수산대학, 34 p 

  7. 조수근, 장창익, 손명호 (1995) 군산 연안 양식 바지락(Tapes philippinarum)의 형태와 성장에 관한 연구. 군산대학교논문집 7:36-38 

  8. 최신석 (1975) 대합(Meretrix lusoria)과 가무락(Cyclina sinensis)의 초기발생 및 성장에 관한 비교연구. 한국수산학회지 8:185-195 

  9. 허영백, 허성범 (2000) 4종 조개류 유생의 발생과 성장. Journal of Aquaculture 13:119-128 

  10. 해양수산부 (2006) 해양수산통계연보. 334 p 

  11. 해양수산부 (2007) 동.서.제주해역 바다목장화 개발 연구 용역. BSPM42400-1897-3, 562 p 

  12. 浜口昌巳 (1999) 瀨戶內海アサリ漁場生態調査のための種判別技術の開發. 農林水産技術會議硏究成果334 魚介類の初期生態解明のための種判別技術の開發. 東京, pp 66-77 

  13. 全國沿岸漁業振興開發協會 (1996) 沿岸漁場整備開發事業 增殖場造成計劃指針 坪城8年度版 社團法人 全國沿岸漁業振興開發協會. 東京, 316 p 

  14. Canapa A, Schiaparelli S, Marota I, Barucca M (2003) Molecular data from the 16S rRNA gene for the phylogeny of Veneridae (Mollusca: Bivalvia). Mar Biol 142:1125-1130 

  15. Charrel RN, Micco DP, de Lamballerie X (1999) Convenient method to improve the graphical quality of phylogenetic trees computed by the MEGA program. Biotechniques 27:702-704 

  16. Chen A, Li Z, Feng G (2009) Phylogenetic relationships of the genus Meretrix (Mollusca: Veneridae) based on mitochondrial COI gene sequences. Zoo Res 30:233-239 

  17. Chew KK (1989) Manila clam biology and fishery development in Western North America. In: Manzi JJ, Castagna M (eds) Clam mariculture in North America. Elsevier, Amsterdam, pp 243-261 

  18. Chew KK (1990) Global bivalve shellfish introductions. World Aquac 21:9-22 

  19. Chung EY (2007) Oogenesis and sexual maturation in Meretrix lusoria (R1798) (Bivalvia: Veneridae) in Western Korea. J Shellfish Res 26(1):71-80 

  20. Chung EY, Hur YB, Shin MS, Kim YM (2005) Reproductive biology of the female manila clam, Ruditapes philippinarum (Bivalvia: Veneridae) on the west coast of Korea. Kor J Malacol 21:1-11 

  21. Choi KH, Park GM, Chung EY (2005) Ovarian Maturation in Female Ruditapes philippinarum on the West Coast of Korea. Development and Reproduction 9:123-134 

  22. Evseev GA, Kolotukkina NK, Semenikhana OY (2001) Shell morphogenesis of several venerid bivalves. J Shellfish Res 20:1127-1284 

  23. Fernandez A, Garcia T, Asensio L, Rodriguez MA, Gonzalez I, Cespedes A, Hernandez PE, Martin R (2000) Identification of the Clam species Ruditapes decussates (Grooved Carpet Shell), Venerupis pullastra (Pullet Carpet Shell), and Ruditapes philippinarum (Japanese Carpet Shell) by PCR-RFLP. J Agric Food Chem 48:3336-3341 

  24. Garland ED, Zimmer CA (2002) Techniques for the identification of bivalve larvae. Mar Ecol Prog Ser 225:299-310 

  25. Gosner KL (1971) Guide to identification of marine and estuarine invertebrates, Cape Hatteras to the Bay of Fundy. John Wiley & Sons, New York, 693 p 

  26. Hall TA (1999) BioEdit: a user-friendly biological sequence alignment editor and analysis program for Windows 95/98/NT. Nucl Acids Symp Ser 41:95-98 

  27. Hare MP, Palumbi SR, Butman CA (2000) Single-step species identification of bivalve larvae using multiplex polymerase chain reaction. Mar Biol 137:953-961 

  28. Heath DD, Rawson PD, Hilbish TJ (1995) PCR-based nuclear markers identify alien blue mussel (Mytilus spp.) genotypes on the west coast of Canada. Can J Fish Aquat Sci 52:2621-2627 

  29. Ho JS, Zheng GX (1994) Ostrincola koe (Copepoda, Myicolidae) and mass mortality of cultured hard clam (Meretrix meretrix) in China. Hydrobiologia 284:169-173 

  30. Holland DA, Chew KK (1974) Reproductive cycle of the Manila clam (Venerupis japonica) from Food Canal, Washington. Proc. Natl Shellfish Assoc 64:53-58 

  31. Hur YB (2005) Comparison of development and larval growth of four venerid clams. J World Aquac Soc 36:179-187 

  32. Jayabal R, Kalyani M (1986) Biochemical studies in the hard clam Meretrix meretrix (L.) from Vellar estuary, east coast of India. Indian J Mar Sci 15:63-64 

  33. Jung SW, Joo HM, Park JS, Lee JH (2010) Development of a rapid and effective method for preparing delicate dinoflagellates for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J Appl Phycol 22:313-317 

  34. Kai AKL, Cheung YK, Yeung PKK, Wong JTY (2006) Development of single-cell PCR methods for the Raphidophyceae. Harmful Algae 5:649-657 

  35. Liu BZ, Dong B, Tang BJ, Zhang T, Xiang JH (2006) Effect of stocking density on growth, settlement and survival of clam larvae, Meretrix meretrix. Aquaculture 258:344-349 

  36. Lutz R, Goodsell J, Castagna M, Chapman S and Newell C, Hidu H, Mann R, Jablonski D, Kennedy V, Siddall S, Goldberg R, Beattie H, Falmagne C, Chestnut A, Partridge A (1982) Preliminary observations on the usefulness of hinge structures for identification of bivalve larvae. J Shellfish Res 2:65-70 

  37. Martel A, Hynes TM, Buckland-Nicks J (1995) Prodissoconch morphology, planktonic shell growth, and site at metamorphosis in Dreissena polymorpha. Can J Zool 73:1835-1844 

  38. Nichols SJ, Black MG (1994) Identification of larvae: the zebramussel (Dreissena polymorpha), quaggamussel (Dreissena rosteriformis bugensis), and Asian clam (Corbicula fluminea). Can J Zool 72:406-417 

  39. Pan BP, Wu Q, Zhang SP, Song LS, Bu WJ (2006) Molecular phylogeny of Meretrix (Mollusca, Bivalvia) based on 16S rRNA and ITS1 sequences. Oceanol Limnol Sin 37:342-347 

  40. Rice EL (1990) Nucleotide sequence of the 18S ribosomal RNA gene from the Atlantic sea scallop Placopecten magellanicus (Gmelin, 1791). Nucleic Acids Res 18:5551 

  41. Sakai A, Sekiguchi H (1992) Identification of planktonic late-stage larval and settled bivalves in a tidal flat. Bull Jpn Soc Fish Oceanogr 56:410-425 

  42. Sastry AN (1965) The development and external morphology of pelagic larval and post-larval stages of the bay Scallop, Aequipecten irradians concentricus say, reared in the laboratory. Bull Mar Sci 15:417-435 

  43. Sekiguchi H, Uchida M, Sakai A (1995) Post-settlement processes determining the features of bivalve assemblages in tidal flats. Benthos Res 49:1-14 

  44. Underwood AJ, Fairweather PG (1989) Supply-side ecology and benthic marine assemblages. Trends Ecol Evol 4:16-20 

  45. Yap WG (1977) Population biology of the Japanese littleneck clam, Tapes philippinarum in Kaneohe Bay, Oahu, Hawaiian Islands. Pacif Sci 31:223-24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