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16S rRNA 유전자 분석방법을 이용한 동해 울릉분지 심해 퇴적물 내 고세균 군집 구조 및 다양성의 수직분포 특성연구
Community Structure, Diversity,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Archaea Revealed by 16S rRNA Gene Analysis in the Deep Sea Sediment of the Ulleung Basin, East Sea 원문보기

Ocean and polar research, v.32 no.3, 2010년, pp.309 - 319  

김보배 (한양대학교 과학기술학부 해양환경과학과) ,  조혜연 (한양대학교 과학기술학부 해양환경과학과) ,  현정호 (한양대학교 과학기술학부 해양환경과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assess community structure and diversity of archaea, a clone sequencing analysis based on an archaeal 16S rRNA gene was conducted at three sediment depths of the continental slope and Ulleung Basin in the East Sea. A total of 311 and 342 clones were sequenced at the slope and basin sites, respec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10), 동해 심해 퇴적물 내 생지화학적 물질순환에 필수적으로 관여하는 고세균의 생태 및 다양성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지극히 부진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고세균의 16S rRNA 유전자 분석을 통해: (1) 아직 알려지지 않은 동해 심해 퇴적물 내에 분포하는 고세균의 수직적 군집구조와 다양성을 파악하고; (2) 대륙사면과 울릉분지 지역 퇴적물의 생지화학적 특성의 차이와 연관된 고세균 군집의 분포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에서 MBG D에 속하는 클론들이 울릉분지(M2)에 비해 상대적으로 환원된 환경인 대륙사면(M1) 퇴적물에서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 것은 대륙사면의 높은 황산염 환원(Hyun et al. 2010)과 연관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 이유는? 황 환원에 의해 배출되는 황화수소는 금속 이온과 결합하여 금속 황 화합물(metal sulfide)을 형성하여 퇴적물 내에 저장하여 이들의 거동에 영향을 주며 해양환경에서 생지화학적 물질순환에 있어 주요한 역할을 수행한다(현 등 2003). 한편, Beal et al. (2009)의 연구에서 의하면 아무것도 넣지 않고 배양한 Eel River 퇴적물에서 MBG D는 전체 클론의 약 40%의 비율로 고세균 중 가장 우점하는 그룹으로 나타났지만, 망간 산화물을 첨가하여 배양한 퇴적물에서는 약 35%의 비율로 감소한 반면, 황산염을 넣고 배양한 퇴적물에서는 약 45%로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MBG D 그룹은 황 원소 순환에 관련된 고세균 군집일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MBG D에 속하는 클론들이 울릉분지(M2)에 비해 상대적으로 환원된 환경인 대륙사면(M1) 퇴적물에서 높은 비율로 나타나는 것은 대륙사면의 높은 황산염 환원(Hyun et al.
고세균(Archaea)은 무엇인가? 지구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생명체를 구성하는 세 가지 도메인 중 하나인 고세균(Archaea)은 약 30년 전에 처음으로 진정세균(Eubacteria)과 구분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Woese and Fox 1977). 통상적으로 고세균들은 고온, 고압, 고염 등의 매우 특수한 환경이나 극한 환경에서 주로 분리되고 연구되었으며(Yayanos et al.
고세균(Archaea)은 무엇과 구분되는가? 지구상에 존재하는 다양한 생명체를 구성하는 세 가지 도메인 중 하나인 고세균(Archaea)은 약 30년 전에 처음으로 진정세균(Eubacteria)과 구분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Woese and Fox 1977). 통상적으로 고세균들은 고온, 고압, 고염 등의 매우 특수한 환경이나 극한 환경에서 주로 분리되고 연구되었으며(Yayanos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5)

  1. 유옥례, 목진숙, 김성한, 최동림, 현정호 (2010) 동해 울릉분지에서 대륙사면과 분지 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에 따른 황산염 환원 비교. Ocean Polar Res Submitted 

  2. 이명숙, 홍순규, 이동훈, 김치경, 배경숙 (2001) 16S rRNA 유전자 분석에 의한 전남 순천만 갯벌의 세균 다양성. 한국미생물학회지 37:137-144 

  3. 조혜연, 이정현, 현정호 (2004) 16S rDNA 분석을 이용한 강화도 장화리 갯벌 퇴적물 내 미생물 군집구조 및 다양성. 한국미생물학회지 40:189-198 

  4. 현정호, 이홍금, 권개경 (2003) 해양환경의 황산염 환원율 조절요인 및 유기물 분해에 있어 황산염 환원의 중요성. 바다 8:210-224 

  5. Arakawa S, Sato T, Sato R, Zhang J, Gamo T, Tsunogai U, Hirota A, Yoshida Y, Usami R, Inagaki F, Kato C (2006) Molecular phylogenetic and chemical analysis of the microbial mats in deep-sea cold seep sediments at the northeastern Japan Sea. Extremophiles 10:311-319 

  6. Beal EJ, House CH, Orphan VJ (2009) Manganese- and iron-dependent marine methane oxidation. Science 325:184-187 

  7. Belkin S, Jannasch HW (1985) A new extremely thermophilic sulfur-reducing heterotrophic marine bacterium. Arch Microbiol 141:181-186 

  8. Bowman JP, McCuaig RD (2003) Biodiversity, community structural shifts, and biogeography of prokaryotes within Antartic continental shelf sediment. Appl Environ Microbial 69:2463-2483 

  9. Biddle JF, Lipp JS, Lever MA, Lloyd KG, Sorensen KB, Anderson R (2006) Heterotrophic archaea dominate sedimentary subsurface ecosystems off Peru. Proc Natl Acad Sci USA 103:3846-3851 

  10. Chandler DP, Brockman FJ, Bailey TJ, Fredrickson JK (1998) Phylogenetic diversity of archaea and bacteria in a deep subsurface paleosol. Microb Ecol 36:37-50 

  11. Dang H, Luan X, Zhao J, Li J (2009) Diverse and novel nifH and nifH-like gene sequences in the deep-sea methane-seep sediments of the Okhotsk Sea. Appl Environ Microbiol 75:2238-2245 

  12. Dang H, Luan XW, Chen R, Zhang X, Guo L, Klotz MG (2010) Diversity, abundance and distribution of amoAencoding archaea in deep-sea methane seep sediments of the Okhotsk Sea. FEMS Microbiol Ecol 72(3):370-85 

  13. DeLong EF (1992) Archaea in coastal marine environments. Proc Natl Acad Sci USA 89:5685-5689 

  14. Gray JP, Herwig RP (1996) Phylogenetic analysis of the bacterial communities in marine sediment. Appl Environ Microbiol 62(11):4049-4059 

  15. Hallam SJ, Konstantinidis KT, Putnam N, Schleper C, Watanabe Y, Sugahara J, Preston C, de la Torre J, Richardson PM, Delong EF (2006) Genomic analysis of the uncultivated marine crenarchaeote Cenarchaeum symbiosum. Proc Natl Acad Sci USA 103:18296-18301 

  16. Hatzenpichler R, Lebedeva EV, Spieck E, Stoecker K, Richter A, Daims H, Wagner M (2008) A moderately thermophilic ammonia-oxidizing crenarchaeote from a hot spring. Proc Natl Acad Sci USA 105:2134-2139 

  17. Hyun JH, Kim D, Shin CW, Noh JH, Yang EJ, Mok JS, Kim SH, Kim HC, Yoo S (2009) Enhanced phytoplankton and bacterioplankton production coupled to coastal upwelling and an anticyclonic eddy in the Ulleung basin, East Sea. Aquatic Microbial Ecolpgy 54:45-54 

  18. Hyun JH, Mok JS, You OR, Kim D, Choi DL (2010) Variations and controls of sulfate reduction in the continental slope and rise of the Ulleung Basin off the southeast Korean upwelling system in the East Sea. Geomicrobiol J 27:212-222 

  19. Inagaki F, Suzuki M, Takai K, Oida H, Sakamoto T, Aok K, Nealson KH, Horikoshi K (2003) Microbial communities associated with geological horizons in coastal subseafloor sediments from the Sea of Okhotsk. Appl Environ Microbiol 69: 7224-7235 

  20. Inagaki F, Nunoura T, Nakagawa S, Teske A, Lever MA, Lauer A, Suzuki M, Takai K, Delwiche M, Colwell FS, Nealson KH, Horikoshi K, D'Hondt S, Jorgensen BB (2006) Biogeographical distribution and diversity of microbes in methane hydrate-bearing deep marine sediments in the Pacific ocean margin. Proc Natl Acad Sci USA 103:2815-2820 

  21. Kim BS, Oh HM, Kang H, Chun J (2005) Archaeal diversity in tidal flat sediment as revealed by 16S rDNA analysis. J Microbiol 43:144-151 

  22. Kendall MM, Wardlaw GD, Tang CF, Bonin AS, Liu Y, Valentine DL (2007) Diversity of Archaea in marine sediments from Skan Bay, Alaska, Including cultivated methanogens, and description of Methanogenium boonei sp. nov. Appl Environ Microbiol 73(2):407-414 

  23. Knittel K, Losekann T, Boetius A, Kort R, Amann R (2005) Diversity and distribution of methanotrophic archaea at cold seeps. Appl Environ Microbiol 71:467-479 

  24. Konneke M, Bernhard AE, de la Torre JR, Walker CB, Waterbury JB, Stahl DA (2005) Isolation of an autotrophic ammonia-oxidizing marine archaeon. Nature 437:543-546 

  25. Lee T, Hyun JH, Mok JS, Kim D (2008) Organic carbon accumulation and sulfate reduction rates in slope and basin sediments of the Ulleung Basin, East/Japan Sea. Geo-Marine Lett 28:153-159 

  26. Leininger S, Urich T, Schloter M, Schwark L, Qi J, Nicol GW, Prosser JI, Schuster SC, Schleper C (2006) Archaea predominate among ammonia -oxidizing prokaryototes in soils. Nature 442:806-809 

  27. Lloyd KG, Lapham L, Teske A (2006) An anaerobic methane-oxidizing community of ANME-1b archaea in hypersaline Gulf of Mexico sediments. Appl Environ Microbiol 72:7218-7230 

  28. Madigan MT, Martinko JM (2006) Brock biology of microorganisms. Prentic Hall. USA 

  29. Martens-Habbena W, Berube PM, Urakawa H, de la Torre JR, Stahl DA (2009) Ammonia oxidation kinetics determine niche separation of nitrifying Archaea and Bacteria. Nature 461:976-979 

  30. Nelson KA, Moin NS, Bernhard AE (2009) Archaeal diversity and the prevalence of Crenarchaeota in salt marsh sediments. Appl Environ Microbiol 75:4211-4215 

  31. Newberry CJ, Webster G, Weightman AJ, Fry JC (2004) Diversity of prokaryotes and methanogenesis in deep subsurface sediments from the Nankai Trough, Ocean Drilling program Leg 190. Environ Microbiol 6:274-287 

  32. Nicol GW, Schleper C (2006) Ammonia-oxidising Crenarchaeota: important players in the nitrogen cycle? Trends in Microbiol 14:207-212 

  33. Park SJ, Park BJ, Rhee SK (2008) Comparative analysis of archaeal 16S rRNA and amoA genes to estimates the abundance and diversity of ammonia -oxidizing archaea in marine sediments. Extremophiles 12:605-615 

  34. Ravenschlag K, Sahm K, Pernthaler J, Amann R (1999) High bacterial diversity in permanently cold, marine sediments. Appl Environ Microbiol 65:3982-3989 

  35. Reed D, Fujita Y, Delwiche ME, Blackwelder DB, Sheridan PP, Uchida T, Colwell FS (2002) Microbial communities from methane hydrate-bearing deep marine sediments in a forearc basin. Appl Environ Microbiol 66:3798-3806 

  36. Reysenbach AL, Longnecker K, Kirshtein J (2000) Novel bacterial and archaeal lineages from an in-situ growth chamber deployed at a mid-atlantic ridge hydrothermal vent. Appl Environ Microbiol 66:3798-3806 

  37. Sorensen KB, Lauer A, Teske A (2004) Archaeal phylotypes in a metal-rich, low-activity deep subsurface sediment of the Peru Basin, ODP Leg 201, Site 1231. Geobiology 2:151-161 

  38. Sorensen KB, Teske A (2006) Stratified communities of active archaea in deep marine subsurface sediments. Appl Environ Microbiol 72:4596-4603 

  39. Stein LY, Jones G, Alexander B, Elmund K, Wrightjones C, Nealson KH (2002) Intriguing microbial diversity associated with metal-rich particles from a freshwater reservoir. FEMS Microbial Ecol 42:431-440 

  40. Takai K, Horikoshi K (1999) Genetic diversity of archaea in deep-sea hydrothermal vent environments. Genetics 152:1285-1297 

  41. Teske A, Hinrichs KU, Edgcomb V, Gomez AdV, Kysela D, Sylva SP, Colwell FS (2002) Microbial diversity of hydrothermal sediments in the Guaymas Basin: evidence for anaerobic methanotrophic communities. Appl Environ Microbiol 68:1994-2007 

  42. Vetriani C, Jannasch HW, MacGregor BJ, Stahl DA, Reysenbach AL (1999) Population structure and phylogenetic characterization of marine benthic archaea in deep-sea sediments. Appl Environ Microbiol 65:4375-4384 

  43. Wilms R, Sass H, Kopke B, Koster J, Cypionka H, Engelen B (2006) Specific Bacterial, Archaeal, and Eukaryotic Communities in Tidal-Flat sediments along a Vertical profile of Several meters. Appl Environ Microbiol 72(4):2756-2764 

  44. Woese CR, Fox GE (1977) Phylogenetic structure of the prokaryotic domain: the primary kingdoms. Proc Natl Acad Sci USA 74:5088-5090 

  45. Yayanos AA, Dietz AS, Van Boxtel R (1979) Isolation of a deep-sea barophilic bacterium and some of its growth characteristics. Science 205:808-81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