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8방향 경사와 회전 운동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과 동적균형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8 Direction Incline and Rotation Exercise on Pain and Dynamic Balance in the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0 no.9, 2010년, pp.285 - 292  

구봉오 (부산가톨릭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박민철 (부산대학교병원) ,  송유익 (부산가톨릭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  조예림 (부산가톨릭대학교 생명과학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8방향 경사와 회전운동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과 동적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20명의 만성요통환자가 실험에 참여하였다. 10명(실험군)은 물리치료기구[온열팩{Hot Pack(H/P), 경피신경자극{Transcutaneous Electric Nerve Stimulation(TENS)}, 초음파{Ultra Sound(U/S)}]를 이용한 치료를 받은 후에 8방향 경사와 회전운동을 실시하였고 나머지 10명(대조군)은 물리치료기구를 이용한 치료만 실시되었다. 치료 중재는 주 3회, 6주 동안 적용되었다. 동적균형과 통증은 Star Excursion Balance Test(SEBT)과 Visual Analog Scale(VAS)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VAS 점수는 두 그룹 모두 감소하였으나 실험군에서 보다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동적균형 능력 또한 실험군에서 보다 유의한 증가를 나타내었다. 따라서 8방향 경사와 회전운동은 만성요통환자의 통증과 동적균형에 효과가 있었다고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8 direction incline and rotation exercise on pain and dynamic balance in the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CLBP). 20 patients who were diagnosed with CLBP were included for the study. 10 patients(experimental group) were treated by mod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에 개발된 AIR BALANCEⓇ 3-D는 8방향 기울기와 회전 운동을 통해 불안정해져 있는 척추를 안정화 특히, 척추를 감싸는 심부 근육들을 효과적으로 강화시켜 주고 통증을 완화시켜 주며, 스스로 회전을 조절해야 하기 때문에 바른 자세에 대한 인지 능력 향상과 좌우 불균형 개선 및 동적인 균형 능력 개선에도 매우 효과적인 운동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8방향 경사 회전운동을 만성요통을 가진 환자에게 6주간 시행한 후 통증과 동적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 본 연구는 6주 동안 AIR BALANCEⓇ 3-D를 이용한 8방향 경사와 회전 운동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과 동적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행하였다. 그 결과 실험군과 대조군 모두 통증과 동적 균형에 향상을 나타내었으나 실험군에서의 변화량이 대조군보다 통증 경감 및 동적 균형 향상에 보다 유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본 연구는 8방향 기울기와 회전운동이 만성요통환자의 통증과 동적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20명의 만성요통환자를 대상으로 6주간 시행되었다. 척추의 반복적 손상은 디스크의 퇴행을 촉진시킬 뿐만 아니라, 척추주변의 근육 약화 및 심부근육의 위축을 초래하여 척추의 불안정을 일으켜 만성요통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19].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요통이란? 요통은 일상생활에서 가장 빈번하게 발생하는 근골격계 질환 중의 하나로 요부에 나타나는 통증증후군을 광범위하게 표현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전체 인구의 약 50~90% 이상이 일생동안 한 번 쯤은 요통을 경험하며 45세 이하에서는 감기 다음으로 흔한 증상이 요통이다[1].
요통의 치료방법은 어떤 방법들이 있는가? 요통의 치료방법은 운동치료, 마사지, 전기치료, 도수교정, 수술 등이 있는데 그 중 하나인 전기치료는 보존적 치료 방법으로써 경직의 완화, 관절강직의 감소, 통증 및 근경축의 완화, 혈액순환의 증가, 근육의 재교육과 근력 강화, 근 위축 속도의 지연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7]. 전기치료의 효과 중에서 주된 효과가 통증의 완화이며 만성화되기 전에는 통증감소에 많은 영향을 미치지만, 만성요통환자의 대부분에서는 별다른 호전 없이 요통을 호소한다[8].
요부안정화운동는 여러 운동 형태를 가지는데 이러한 운동의 문제점은 무엇이 제시되고 있는가? 운동형태는 여러 자세에서 매트, 볼, 아령, 균형판, 슬링 등을 이용한 운동 형태까지 다양하다[15]. 이와 같은 운동들은 환자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반면 정확한 운동량, 적정 운동 강도 제서 및 객관적인 운동 효과성 검증, 특히, 좌우균형적인 분리 운동 등의 문제점 등이 제시되고 있다[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H. J. Christie, S. Kummer, and S. Warren, “Postural aberrations in low back pain,” Arch phys Med Rehabil, Vol.76, No.3, pp.218-224, 1995. 

  2. A. Melleby, “The Y's way to a healthy back piscataway,” New century Publishers, 1982. 

  3. A. H. Wheeler, “Diagnosis and management of low back pain and Sciatica,” Am Fam Physician, Vol.52, No.5, pp.1333-1341, 1995. 

  4. 양대중, “요통환자의 정적기립균형과 동적기립균형에 관한 연구”, 원불대학교 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3. 

  5. S. Luoto, H. Aalto, and S. Taimela, “One-footed and externally disturbed two-footed postural control in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and healthy control subject : A controlled study with follow-up,” Spine, Vol.23, No.19, pp.2081-2090, 1998. 

  6. N. Nies and P. L. Sinnott, “Vatiations in balance and body sway in middle-aged: Subjects with healthy backs compared with subjects with low back dysfunction,” Spine, Vol.16, No.3, pp.325-330, 1991. 

  7. M. Janko and J. V. Trontelj,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 A microneurographic and peripherla study,” Pain, Vol.9, No.2, pp.219-230, 1980. 

  8. 김호준, “미세전류 전침이 요통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9. C. G. Maher, “Effective physical treatment for chronic low back pain,” Othop Clin North Am, Vol.35, No.1, pp.57-64, 2004. 

  10. 정연우, 배성수, “요부 안정화 운동이 요통환자의 기능회복과 가동범위에 미치는 영향”, 대한물리치료학회지, 제16권, 제1호, pp.153-169, 2004. 

  11. M. Hagins, K. Adler, M. Cash, J. Daugherty, and G. Mitrani, “Effects of practice on the ability to perform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J Orthop Sports Phys Ther, Vol.29, No.9, pp.546-555, 1999. 

  12. J. A. Hides, C. A. Richardson, and G. A. Jull, “Multifidus muscle recovery is not automatic after resolution of acute, first-episode low back pain,” Spine, Vol.21, No.23, pp.2763-2769, 1996. 

  13. J. A. Saal, “Dynamic muscular stabilization in the nonoperative treatment of lumbar pain syndrome,” Orthop Rev, Vol.19, No.9, pp.691-700, 1990. 

  14. S. M. McGill, “Low back stability: from formal description to issue for Performance and Rehabilitation,” Exerc sport, Sci. Rew, Vol.29, No.1, pp.26-31, 2001. 

  15. J. P. Arokoski, T. Valta, O. Airaksinen and M. Kankaanpaa, “Back and abdominal muscle function during stabilization exercise,” Arch Phys Med Rehabil, Vol.82, No.8, pp.1089-1098, 2001. 

  16. G. B. Anders, “Activation characteristics of trunk muscle during whole body tilt with unsupported trunk.” Institute for Pathophysiology and Pathobiochemistry, Motor Research Group; Friendrich-Schiller-University Jena, 2005. 

  17. J. Hertel, S. J. Miller, and C. R. Daneger, “Intratester and intertester reliability during the Star Excursion Balance Test,” J Sport Rehabil, Vol.9, No.2, pp.104-116, 2000. 

  18. P. A. Gribble and J. Hertel, “Considerations for Normalizing Measures of the star excursion balance test,” Measure Phys Educ Exerc Sci, Vol.7, No.2, pp.89-100, 2003. 

  19. P. B. O'sullivan, G. D. Phyty, L. T. Twomey, and G. T. Allison, “Evaluation of specific stabilizing exercise in the treatment chronic low back pain with radiologic diagnosis of spondylolysis or spondylolisthesis,” Spine, Vol.22, No.24, pp.2959-2967, 1997. 

  20. P. W. Hodges and S. C. Gandevia, “Activation of the human diaphragm during a repetitive postural task,” J Physiol, Vol.522, pp.165-175, 2000. 

  21. 김명준, “안정화운동이 퇴행성 디스크환자의 요부 위치감각 인지력과 불안정 및 근피로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5. 

  22. P. Boucher, N. Teasdale, R. Countermanche , C. Bard, and M. Fleury “Postural stability in diabetic neuropathy,” Diabetes Care, Vol.18, No.5, pp.638-645, 1995. 

  23. 이동규, “추간판 탈출증 환자에 대한 운동치료가 체간근력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8. 

  24. 형인혁, 하미숙, “메이트란드 도수치료가 만성요통환자의 즉각적인 동적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9권, 제6호, pp.207-215, 2009. 

  25. 민경환, “윌리암 & 맥켄지 운동에 스위스 볼을 접목한 운동이 요부유연성, 요부근력, 요부 평형감각 향상에 미치는 영향”, 국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26. M. Ogon , B. R. Bender, and D. M. Hooper, “A dynamic approach to spinal instability : part 1 : Sensitization of inter-segmental motion profiles to motion direction and load condition by instability,” Spine, Vol.22, No.24, pp.2841-2858, 1997. 

  27. B. Chok, R. Lee, J. Latimer, and S. B. Tan “Endurance training of the trunk extensor muscle in people with subacute low back pain,” Physi Ther, Vol.79, No.11, pp.1032-1042,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