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도시형 혁신도시 문화공간의 복합화 조성 방안 -나주혁신도시를 중심으로-
Building Culture Complex Belt of Innovation City through Mixture of Cultural, Educational and Public Space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0 no.9, 2010년, pp.421 - 431  

김항집 (광주대학교 공과대학 도시계획.부동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지속가능한 국토개발과 지역균형발전을 위하여 세종시(행정중심복합도시), 기업도시(기업중심), 혁신도시(혁신클러스터) 등 다양한 형태의 신도시가 개발되고 있다. 특히, 세종시가 원안대로 추진되게 됨으로써, 혁신도시의 건설은 보다 탄력을 받게 될 전망이다. 기존 수도권의 신도시와는 달리 혁신도시는 공공기관 및 연구기관을 중심으로 혁신클러스터가 조성되고, 주로 지방의 중소도시 및 농촌지역에 신도시가 형성된 다는 측면에서 도시개발의 차이가 있다. 또한 인구는 대부분 2만 내외의 중소규모 신도시 및 신시가지로 개발되고 있다. 그러므로 혁신도시 내의 교육시설 및 문화시설은 도시규모 및 도시기능상 독립적인 수요를 확보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다양한 시설을 복합화하여 문화수요를 확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존 모도시와의 공동이용을 도모하는 것이 도시관리의 차원에서 효율적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 는 다른 혁신도시와는 달리 2개 광역지자체의 공동혁신도시이자 혁신도시 중에서 가장 규모가 큰 신도시형으로 조성되는 나주혁신도시를 사례로, 혁신도시 문화교육시설을 활용한 기능과 공간의 융복합적 복합 문화벨트의 조성을 기존의 분산적 문화시설계획방식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ustainable development is the main stream of urban development in 21st century. Also, in contemporary cultural space, it is the pivotal paradigm that the development of culture complex and mixture of cultural space, educational facilities, information technology and public space. So, the purpose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분산형의 개별적 문화시설계획 방식으로는 이러한 목표를 달성하기 어렵고 또한 도시의 문화적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신도시문화공간 계획도 될 수 없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은 지방중소도시에서 개별적으로 이루어지는 도시문화시설계획이 갖는 문제점을 나주시를 대상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새로운 대안으로서 복합문화벨트로 조성하는 방안을 연구목적으로 설정하였다.
  • 그러나 혁신도시 내의 교육시설 및 문화시설은 도시규모 및 도시기능상 자체적인 수요를 확보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복합화하여 문화수요를 확보하고 운영․관리의 효율성을 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존 모도시와의 공동이용을 도모 하는 것이 도시관리의 차원에서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신도시형으로 건설되는 나주혁신도시를 사례로, 문화교육시설을 집적화와 복합화를 통한 복합문화벨트의 형성을 기존 문화시설 계획방법의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기존의 문화시설계획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문화공간의 집적화․복합화를 통하여, 도시공간과 기능적으로 연계된 문화공간을 집적시킴으로써 문화공간 이용의 활성화를 도모하고, 시민의 문화향유권을 공간적으로 확보하고자 계획하였다. 이를 통하여 현재 분산적․개별적으로 운영·관리되어 활력있는 문화공간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지방중소도시의 문화시설계획의 한계를 극복하고, 문화공간의 복합화를 통한 도시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 이를 통하여 현재 분산적․개별적으로 운영·관리되어 활력있는 문화공간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지방중소도시의 문화시설계획의 한계를 극복하고, 문화공간의 복합화를 통한 도시활성화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혁신도시에 개발되어야 하는 것은? 대부분의 혁신도시는 이전되는 공공기관 이외에는 인구 및 산업의 흡인요인이 크지 않아서 2만 내외의 신시가지 또는 중소도시로 계획되고 있다. 따라서 혁신도시는 혁신클러스터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주거시설 외에, 기존도시 및 혁신도시와의 연계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공공시설, 문화시설 및 공원녹지시설이 지원시설로서 효과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그러나 혁신도시 내의 교육시설 및 문화시설은 도시규모 및 도시기능상 자체적인 수요를 확보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복합화하여 문화수요를 확보하고 운영․관리의 효율성을 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존 모도시와의 공동이용을 도모 하는 것이 도시관리의 차원에서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혁신도시 내의 교육시설 및 문화시설의 한계는? 따라서 혁신도시는 혁신클러스터와 이를 기반으로 하는 주거시설 외에, 기존도시 및 혁신도시와의 연계발전을 도모하기 위한 공공시설, 문화시설 및 공원녹지시설이 지원시설로서 효과적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그러나 혁신도시 내의 교육시설 및 문화시설은 도시규모 및 도시기능상 자체적인 수요를 확보하기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복합화하여 문화수요를 확보하고 운영․관리의 효율성을 기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기존 모도시와의 공동이용을 도모 하는 것이 도시관리의 차원에서 타당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신도시형으로 건설되는 나주혁신도시를 사례로, 문화교육시설을 집적화와 복합화를 통한 복합문화벨트의 형성을 기존 문화시설 계획방법의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전국적으로 건설되는 혁신도시 중에서 가장 큰 규모이며, 모도시인 나주시와 대도시인 광주광역시의 중간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것은? 나주혁신도시는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에 개별적으로 설치될 혁신도시를 통합하여, 나주시 금촌면 일대에 7,315,148.8㎡(약 221만평)의 규모의 단일 신도시로 조성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6)

  1. 건설교통부, “선진문화인프라 소개”, 행정중심복합도시 기본계획 공개세미나 자료집, pp.3-20, 2006. 

  2. 김군수, 효율적인 공공시설 배분계획, 경기개발연구원, pp.35-60, 1996. 

  3. 김재현, “서울시 문화시설 분포의 공간적 형평성에 관한 연구”, 지리교육논집 제51호, pp.43-59, 2007. 

  4. 김지현, 박희령, 김용성, “유비쿼터스 기술 적용에 따른 현대 공공 도서관의 이용자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대한건설학회지, 제23권, 제7호, pp.45-50, 2007. 

  5. 김효정, “문화인프라 구축 기본방향”, 행정중심복합도시 기본계획 공개세미나 자료집, pp.21-72, 2006. 

  6.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도시의 문화공간”, 도시정보지 8월호, pp.2-10, 1993. 

  7. 박상희, 도심내 문화공간의 경관이미지 분석에 관한 연구, 상명대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pp.126-127, 2008. 

  8. 백병준, “국내 문화시설 이용 실태에 관한 실증분석 : 개인수준과 지역 수준별 특성을 중심으로”, 서울대 행정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75-110, 2006. 

  9. 양도식, 도시수변공간 : 문화용도를 위한 공간구성, 런던대 박사학위논문, pp.199-200, 2006. 

  10. 오동훈, 이재순, 정만모, “공공문화시설 건립타당성 조사방법의 효율성에 관한 연구 -공공도서관과 문화체육센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논문집, 제19권, 제2호, pp.75-96, 2006. 

  11. 윤대식, 진원형, 김상황, 육태숙, “대구시민의 전시공연문화 수요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제15권, 제4호, pp.21-42, 2003. 

  12. 은경원, “공공도서관의 복합화 경향에 따른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 도서관의 다원적 기능과 공간의 적응”, 홍익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50-72, 2007. 

  13. 이건수, 정창무, “공공문화시설의 집객력에 관한 연구”, 대한국토.도시게획학회 2008 추계학술대회 논문집, pp.267-274, 2008. 

  14. 장윤범, “지방 문예회관의 이용률 분석”, 국민대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pp.30-45, 2008. 

  15. 한국토지공사,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기본구상, pp.201-253, 2006. 

  16. http://www.naju.go.kr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