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보의 접근점으로서 미국의회도서관 주제명 표목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Library of Congress's Subject Headings as an Information Access Point 원문보기

한국문헌정보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v.44 no.2, 2010년, pp.51 - 72  

정연경 (이화여자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과학부 문헌정보학)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보의 주제 접근 도구로서 LCSH의 유용성을 실무 사서들의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웹서베이를 통해 University of Washington(UW)의 64명의 도서관 사서들과 Council on East Asian Libraries(CEAL) 회원 도서관 67명 사서들의 LCSH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고 9명의 UW 사서들과 10명의 CEAL 도서관 사서들과는 직접 만나 심층 면담과 전자 우편 교환을 통해 자세한 의견을 받았다. 조사 결과, LCSH는 주제 접근점으로서 여전히 가치가 있었으며 주제에 관한 다른 관련 자료를 찾을 때 매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LCSH에서 이루어질 필요가 있는 개선 사항으로는 첫째, 용어와 관련해서 주제명 표목은 좀 더 이용자에게 익숙하고 최신성을 반영해서 주제명 표목간의 명확한 정의와 관계를 보여주어야 하며, 둘째, 구조와 관련해서는 주제명 표목 조합에 있어서 단순성, 용이성, 일관성이 필요하다는 것이었다. 또한 많은 다른 국가에서 LCSH를 실제로 사용하거나 변형하여 활용하고 있어서 그 파급 효과가 상당히 크므로 LCSH에서 주제명 표목으로 사용되고 있는 "Tok Island(Korea)"가 갖는 의미는 매우 중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글 검색할 때, 결과 레코드의 수나 국제적으로 나오는 관련 문헌의 수, 외교적인 연구 활동 등이 주제명 표목의 변경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나타나 앞으로 독도 주제명표목과 관련 자료에 관한 학술적인 노력을 배가하고 다른 주요국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움직임도 유의 주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usefulness of the Library of Congress Subject Headings(LCSH)for librarians as an information access point. Sixty four librarians at the University of Washington(UW)and 67 librarians from the Council on East Asian Libraries(CEAL) participated through web surve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용자 교육과 관련해서는 지속적인 교육이 필요하며 특히 이용자 훈련이 통제된 어휘의 가치에 집중하는 것으로 활용될 수 있다고 하였다. 그래서 LCSH에 대해 이용자를 교육하는 것은 어렵긴 하지만 가장 효과적인 방법으로 이용자에게 검색된 레코드에서 LCSH의 연결을 보여주는 것을 제안하였다. 그러나 요즘은 많은 이용자들이 도서관에 오지 않고 외부에서 인터넷을 통해 접근하고 있기 때문에 면대면 교육이 용이하지 않을 가능성이 높으므로 온라인 도서관 활용 교육에서 온라인 목록 레코드 안에 있는 LCSH의 효율적인 활용 방법을 포함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하였다.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LCSH를 사용하는 미국 현직 사서들의 LCSH에 관한 이해와 다양한 의견을 수집하고 주제명 표목 중 하나인 “독도”에 관해서 미국 대학도서관 사서들의 관점에서 그 의미와 역할에 관해 논의하고자 한다.
  • 또한, 도서관 목록에서만 적용되는 주제 접근 도구만이 아니라 도서관을 넘어서 모든 정보로의 주제 접근 도구가 될 수 있는지 관한 연구가 필요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의 목적은 디지털 환경에서 정보의 주제 접근 도구로서 LCSH가 실무 사서들에게 제공하는 유용성과 그 의미를 새롭게 고찰하는 것이다.
  • 특히, 이용자의 주제 접근 방식의 변화와 함께 온라인 목록과 주제명 표목이 반영해야하는 부분과 “독도” 주제명 표목에 관한 이해도 및 주제명 표목의 변경과 유지에 관한 의견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디지털 환경에서 LCSH의 미래에 대해 논의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정보의 주제 접근 도구로서 LCSH의 유용성을 실무 사서들의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웹서베이를 통해 UW 64명의 도서관 사서들과 CEAL 회원 도서관 67명 사서들의 LCSH에 대한 의견을 조사하였고 9명의 UW 사서들과 10명의 CEAL 도서관 사서들과는 직접 만나 심층 면담과 전자 우편 교환을 통해 자세한 의견을 받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연구결과, 사서들이 LCSH를 처음부터 검색하는 이유는? 조사 결과, 많은 사서들이 관련 자료를 찾기 위해서 도서관 목록에 있는 LCSH 링크를 매우 적극적으로 사용한다고 하였으며 LCSH를 처음부터 검색하는 이유는 적합한 자료를 찾기 위해서 LCSH가 대부분의 주제에 있어서 가장 잘 구성되고 짜인 도구이며 이용자들이 찾고 있는 정확한 주제를 빨리 찾을 수 있게 도와주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처음 검색할 때 사용하지 않게 되는 이유로 일반적인 검색 양식이 키워드나 저자명인 경우가 많기 때문이라는 것, 통제어휘인 LCSH를 기억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 구글링이 훨씬 편하고 그것이 일반적인 추세라는 것, 특정 분야를 위해서 통제 어휘가 항상 친숙하지는 않다는 것, 그리고 주제를 표현하는데 있어서 LCSH가 너무 획일화되어있다는 것을 들었다.
주제명 표목은 무엇을 지칭하는가? 주제명 표목(Subject Heading)은 목록 레코드에서 사용하고 주제명 표목표에서 볼 수 있는 주제 개념 용어 또는 어구를 지칭한다(Taylor 2004, 379). 그래서 목록 레코드에서 주제명 표목의 사용 목적은 검색 가능한 저작에 대한 접근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주어진 주제의 관련 자료를 식별하고 관련 주제 자료의 탐색을 가능하게 한다(Taylor 2006, 307).
Subject Heading(주제명 표목)을 부여하는 4가지 원칙에 대해 설명하시오. 그래서 목록 레코드에서 주제명 표목의 사용 목적은 검색 가능한 저작에 대한 접근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주어진 주제의 관련 자료를 식별하고 관련 주제 자료의 탐색을 가능하게 한다(Taylor 2006, 307). Haykin(1951)은 주제명 표목을 부여하는 4가지 원칙 중 첫 번째가 주제명 표목은 반드시 이용자에게 맞추어져야 한다(Readers Focus)고 했다. 두 번째는 통일성(Uniformity)으로 애매모호하지 않은 용어를 반드시 사용해야한다고 했다. 세 번째는 선택된 용어가 반드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것(Common Usage)을 나타내야만 한다고 했다. 네 번째는 주제는 포함하고자 의도하는 만큼 상세성(Specificity)을 띠어야 한다고 했다. 이 네 가지 원칙이 의미하는 것은 이용자가 가장 자연스럽게 검색하는 통일된 방식으로 주제명 표목을 상세히 만들어야하며 사서의 이해나 편리보다 이용자를 우선적으로 고려해야한다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김영귀. 1997. LC Subject Heading에 나타난 한국관련 주제명의 선정 및 표기에 관한 연구. 부산여자대학교 논문집(인문사회과학대학편), 44(1): 237-272. 

  2. 김주성, 김태수. 1995. LC주제명표목표와 시소러스의 색인어 구조 비교연구. 한국정보관리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2: 111-114. 

  3. 김정현, 문지현. 2009. LCSH 한국관련 주제명표목의 변천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3): 49-68. 

  4. 김태수. 1997. 주제명표목의 구조에 관한 연구. 정보관리학회지, 14(1): 77-105. 

  5. 남태우, 전말숙, 정연순, 장로사. 2008. 자료조직 측면에서 독도표기 문제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2(4): 291-310. 

  6. 사공철 외. 1996. 문헌정보학용어사전.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7. 유영준. 2009. 신학학술지의 색인어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0(3): 137-156. 

  8. 윤정옥. 2001. 미국의회도서관 주제명표목표(LCSH)의 한국과 일본 관련 주제표목의 비교 연구. 도서관, 56(1): 30-55. 

  9. 윤혜영. 2003. LC Subject Headings 색인어 구조 분석. 인문사회과학논문집(중부대학교), 7(2): 133-149. 

  10. 전창호. 2004. DDC에서의 한국, 조선 및 동해의 표기 문제. 도서관문화, 45(9): 68-73. 

  11. 최달현, 이창수. 2005. 정보자료의 분류와 주제명. 서울: 한국도서관협회. 

  12. 한상완, 김태수, 최석두, 이은철, 남태우. 1995. 주제명 검색요어집 개발에 관한 연구. 도서관, 50(1): 3-23. 

  13. 황면, 이재선, 한정원, 한인선, 류희경, 송지혜, 김승정. 2002. 시소러스를 도입한 주제명표목표에 관한 연구. 도서관연구회논문집, 2002년: 123-138. 

  14. Anderson, James, and Hofmann, Melissa. 2006. "A fully faceted syntax for Library of Congress Subject Heading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3(1): 7-38. 

  15. Antell, Karen, and Huang, Jie. 2008. "Subject searching success: transaction logs, patron perceptions, and implications for library instruction." Reference & User Services Quarterly, 48(1): 68-76. 

  16. Calhoun, Karen, Cantrell, Joanne, Gallaghter, Peggy, and Hawk, Janet. 2009. Online catalogs: what users and librarians want: an OCLC report. Dublin, OH: OCLC. 

  17. Carlyle, A. "Matching LCSH and user vocabulary in the library catalog."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10(1989): 37-63. 

  18. Chan, Lois Mai. 2005. Library of Congress Subject Headings: principles and application. Littleton, CO: Libraries Unlimited. 

  19. Chan, Lois Mai, and Hodges, Thedora. 2000. "Entering the millennium: a new century for LCSH."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29(1): 225-234. 

  20. Frost, Carolyn O. 1985. "Student and faculty subject searching in a university online public catalog" [online]. [cited 2010.1.5]. . 

  21. Drabenstott, Karen Markey, and Vizine-Goetz, Diane. 1994. Using subject headings for online retrieval: theory, practice, and potential. San Diego: Academic Press. 

  22. Drabenstott, Karen Markey, Simcox, Schelle, and Fenton. Eileen G. 1999. "End-user understanding of subject headings in library catalogs." Library Resources & Technical Services, 43(3): 140-160. 

  23. Fernandez, Cheryl Wise. 1991. "Semantic relationships between title phrases and LCSH."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13(1): 51-77. 

  24. Fischer, Karen. 2005. "Critical view of LCSH, 1990-2001: the third bibliographic essay."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41(1): 63-109. 

  25. Garrett, J. 2007. "Subject headings in full-text environments: the ECCO experiment." College & Research Libraries, 68(1): 69-81. 

  26. National Geospatial Intelligence Agency. GNS Search. [online]. [cited 2010.1.14]. . 

  27. Haykin, David Judson. 1951. Subject headings: a practical guide. Washington, D. C.: GPO. 

  28. Heiner-Freiling, Magda. 2000. "Survey on subject heading languages used in national libraries and bibliographie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29(1-2): 189-198. 

  29. Library of Congress. Library of Congress authorities. [online]. [cited 2010.1.12]. . 

  30. Library of Congress CDS(Cataloging Distribution Service). Tools for authority: subject headings. [online]. [cited 2010.1.11]. . 

  31. Mann, Thomas. 2000. "Teaching Library of Congress Subject Heading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29(1): 117-126. 

  32. Marshall, Linnea. 2003. "Specific and generic subject headings: increasing subject access to library material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36(2): 59-87. 

  33. SACO. LCSH Tentative list. [online]. [cited 2010.1.11]. . 

  34. Shubert, Steven Blake. 1992. "Critical views of LCSH - ten years later."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15(2): 37-97. 

  35. Taylor, Arlene G. 2004. The organization of information. Westport, Conn: Libraries Unlimited. 

  36. Taylor, Arlene G. 2006. Introduction to cataloging and classification. Westport, Conn: Libraries Unlimited. 

  37. Vizine-Goetz, Diane, and Drabenstott, Karen Markey. 1991. "Computer and manual analysis of subject terms entered by online catalog users." Proceedings of the ASIS Annual Meeting, 28: 156-161. 

  38. Wool, Gregory. 2000. "Filing and precoordination: how subject headings are displayed in online catalogs and why it matters." Cataloging & Classification Quarterly, 29(1-2): 91-1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