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업용 호소의 수질개선 및 기능향상을 위한 생태학적 이해와 다원적 접근의 필요성 원문보기

전원과 자원 = Rural resource, v.52 no.2, 2010년, pp.32 - 44  

황순진 (건국대학교 환경과학과)

초록이 없습니다.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이론/모형

  • 생태계 안정성 및 자원순환적 지역생태계 관리 - 기존의 공학적 기술보다는 자연생태계의 기능과 특성을 접목한 생태공학적 방법2)을 이용. 녹조의 제어 및 자원으로의 순환적 기술 개발 등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소란 무엇인가? 호소는 지형학적으로 경관의 일부분이며 자연적, 인위적 지형변화의 결과로 만들어진 일시적인 형상으로서 물이 가두어져 있거나 고여 있는 형태로 나타난다. 호소는 육지에 의해 둘러싸인 수체(water body)를 의미하며, 수체로 부터의 유출은 수체 전체부피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다.
식물은 어떠한 작용을 통해 유기물을 합성하는가? 식물은 광합성작용에 의해 무기물에서 유기물을 합성한다. 그러나 호소의 중간이나 수체 내에서의 식물의 대부분은 수 0.
추이대는 어떠한 식물이 사는 지역인가? 호소의 주변인 호안(littoral zone)에는 갈대, 줄, 부들 등의 추수성 식물(emergent plant), 연, 개구리밥 등의 부유성 식물(floating plant), 그리고 마름과 같은 침수성 식물(submerged plant)이 서식한다. 이러한 식물이 살고 있는 근처를 추이대(ecotone) 또는 전이지역(transitional zone)이라 부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농림부. 2004. 농업용수 수질측정망 자료. 

  2. Kalff, J. 2002. Rivers and their export of materials from drainage basins and the atmosphere. In: Limnology. p94-121. Prentice Hall. New Jersey. 

  3. Lee, Sang-Woo, Soon-Jin Hwang, Sae-Bom Lee, Ha-Sun Hwang, Hyun-Chan Sung. 2009. Landscape Ecological Approach to the Relationships of Land Use Patterns in Watersheds to Water Quality Characteristics.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92;80-89. 

  4. Hwang, Soon-Jin, Sang-Woo Lee, Ju-Youn Son, Geun-Ae Park, Seong-Joon Kim. 2007. Moderating effects of the geometry of reservoirs on the relation between urban land use and water quality.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82: 175-183. 

  5. 황순진, 김경만, 김범철, 고재만. 주기재. 2005. 농업용 저수지의 녹조제어 기법개발. 농림부 

  6. Hwang, S-J and Heath, R.T. 1999. Zooplankton bacterivory at nearshore and offshore site of Lake Erie. Journal of Plankton Research 21: 699-719. 

  7. Hwang, S-J and Heath, R.T. 1997a. Bacterial productivity and protistan bacterivory in costal and offshore communities of Lake Erie. Canadi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 54: 788-799. 

  8. Hwang, S-J. 1995. Carbon dynamics of plankton communities in nearshore and offshore Lake Erie: Significance of the microbial loop for higher trophic levels. Ph.D. Dissertation. Kent State University, Ohio, USA. 

  9. 황순진, 남귀숙, 박선구, 신경훈, 안광국, 박영석. 2009. 생 물조절(먹이연쇄)을 통한 농업용 저수지 수질관리 기법개발. 농림부 

  10. Kim, Ho-Sub, Soon-Jin Hwang, Jae-ki Shin, Kwang-Guk An, Chun Gyeong Yoon. 2007. Effects of limiting nutrients and N:P ratios on the phytoplankton growth in a shallow hypertrophic reservoir. Hydrobiologia 581: 255-267. 

  11. Sterner, R.W. and J.J. Elser. 2002. Ecological stoichiometry. Princeton 

  12. Redfields, A.C. 1959. The biological control of chemical factors in the environment. American Scientist 46: 205-221. 

  13. 김호섭, 공동수, 황순진. 2005. 얕은 부영양 저수지의 동?식물플랑크톤 군집변화 특성. 한국육수학회지 38(1): 18-29. 

  14. Philips, E.J., M. Cichra, K.E. Havens, C. Hanlon, S. Badylak., B. Reuter, M. Randall, and P. Hansen. 1997. Relationships between phytoplankton dynamics and the availability of light and nutrients in a shallow subtropical lake. J. Plankton Res. 19: 319-342. 

  15. 신재기, 황순진, 강창근, 김호섭. 2003. 하천형저수지 팔당호의 육수학적 특성. 한국육수학회지 36: 242-256. 

  16. Thronton, K.W., B.L. Kimmel, and F.E. Payne. 1990. Reservoir limnology. Wiley Inter-science. New York. 

  17. 최영길, 안태영, 한명수, 곽노태(역). 1995. 담수의 부영양화. 신광문화사 

  18. Cooke, G.D., E.G. Welch, S.P Peterson, and P.R. Newroth. 2005. Restoration and management of lakes and reservoirs (3rd ed.). 548pp. Lewis. Boca Raton. 

  19. US EPA. 2002. Biological Assessments and Criteria: Crucial components of water quality programs. EPA 822-F-0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