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생태미학적 관점에서 본 한국 전통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The Study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Space from an Ecological and Aesthetic 원문보기

한국실내디자인학회 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terior Design, v.19 no.3 = no.80, 2010년, pp.57 - 66  

양은지 (국민대학교 테크노디자인 전문대학원 실내디자인) ,  김개천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실내디자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urrently, the nature and ecosystem's destruction by human beings and science is appearing as a serious problem. The possibility of ecological aesthetics is being sought as one of operations for new society in the contemporary society that the nature and ecosystem are getting attention, The presen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긍정하였다.14)동양에서의 이러한 인위는 인위의 흔적이나 자취가 남지 않은 자연성 속으로 소멸되는 것으로 인위성과 자연성이 통합되는 천연의 상태를 실현하고자 했다.
  • 이러한 특징은 자연과 융화하고자 함이기도 하다. 건축물은 자연과 인간과의 관계 속에서 돋보이고자 하지 않고, 자연과 지형지세에 순응하며 인위마저도 자연의 일부로 보이고자 하였다.
  • 기운이 차있는 허(虛)를 추구하였다. 그것은 비어 있음으로 비어있음을 이룬 관계적 실체로서 항상 자율적이고 편안한 상태로 인간과 자연의 원리와 같은 이(理) 와기(氣)의 충일한 상태를 조영하려 하였다. 전통주거 공간은 무(無)와 유有), 허(虛)와 실(實)을 가지고 있다.
  • 선불교를 지목9)하고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본 연구자는 동양의 자연관을 도가와 불가의 자연관으로 살펴보고자 다음의 표로 정리해 보았다.10)
  • 동양사상에서 융화는 자연과 인간, 공간, 예술이 합(合)을 이루어서 어느 하나 모나지 않고 자연스럽게 조화를 이루고자 하였다. 전통건축은 자연과 조화롭고자, 자연지형을 허물지 않고, 지형지세에 순응하는 형식으로 건축물을 형성하였다.
  • 첫째, 선행 논문과 문헌을 바탕으로 생태미학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동양사상을 관점으로 생태미학을 선행 연구한다. 둘째, 앞서 연구된 생태-미학적 특성과 전통주거 공간과의 연계성을 찾고, 셋째, 전통공간에서의 생태-미학적 표현방법 및 특성을 도출하여 사례 분석을 통하여 살펴봄으로써 생태 미학의 의미와 가능성을 연구하고자 한다.
  • 생태미학은 그 뿌리가 생태학적 사고와 미학에서 출발함으로 그 가능성에 대한 충분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따라서 생태미학의 가능성을, 동양 사상을 바탕으로 생태미학적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도출되어진 특성을 한국 전통 공간의 표현 방법과 특성을 통한 사례분석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 그 외형적 결과도 나아가 자연의 비대칭성에 훌륭하게 조화를 이루게 된다. 또한 벽체에 비대칭의 창호를 내어 맞바람이 불도록 한 것도 통풍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실용정신 사례이다.2® 전통 주거에서 자연의 이용은 자연스러운 미를 형성할 뿐 아니라, 에너지 효율 면에도 뛰어난 역할을 하였다.
  • [그림 9]는 나무만을 이용하여 단순한 형태를 갖추고 있지만 나무가 스스로 표현하는 아름다움으로 탈기교성과 지극히 자연적인 변화와 표현의 미를 자연과 대립되지 않는 미를 표현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소박함은 재료 자체를 그대로 가공하지 않고 사용함에 있어서 자연의 아름다움을 갖는 자재미(自 在美)를 갖고 있으며 이는 자연과 조화를 이루어 삶을 살고자 함이다.
  • 본 연구는 전통주거 공간이 일상 중심의 의식체계와 사상이 담긴 삶의 공간으로 단순하기 시각적이거나 조형적인 특성이 아닌 삶을 영위하는 장소로서의 특성으로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 특성에 중요한 디자인 개념인 역사, 전통, 기억, 의미, 장소성, 이미지, 심상, 신념, 환경지각, 인지, 행태, 등을 바탕으로 생태미학적인 관점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 전통 주거에서 생태미학은 우리의 삶속에 예술적인 존재로 보편적인 형태를 갖은 표현 방법이다. 연구에서는 생태미학의 특성을 통해 전통주거 건축에 담겨 있는 자연 표현 방식과 자연에 순응하며 조화를 이루는 방법에 초점을 두었다. 자연과의 공존을 통하여 건축 공간의 다양한 표현 특성을 찾아보았다.
  • 본 장에서는 2장과 3장을 통해 도출된 생태미학의 특성의 키워드 비움의 미, 사이의 미, 융화의 미, 변화의미, 소박미를 전통 공간에서 표현되는 사례를 분석하고 그 사례에서 나타나는 특성을 살펴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을 갖고 있다.
  • 비움으로 없애고자 한 것이 아니라 비움으로 무(無)와 유(有)를 갖고자 하였다. 비움은 비움으로 채우는 공간이다.
  • 자연과의 공존하는 방법으로 동양 의사상에서는 불교의 공(空) 사상과 도가의 비움 사상이 전통주거 공간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쳤다. 비워서 없애는 것이 아닌, 비움으로 자연과 인간, 건축물이 자연스러운 흐름으로 서로 공존하고자 한 것이다.
  • 않다. 비워진 공간은 공간을 형성하는 형식적 요소에 관심을 갖는 것이 아닌, 그 공간 안에 질과 공간을 경험하는 경험적, 정서적인 요소와 영향에 더 많은 관심을 갖고자 하였다.
  • 생태학과 전통주거와 관련된 다양한 선행 연구들을 바탕으로 본 논문은 동양의 생태-미학적 사상에 바탕으로 한 생태 미학 특성을 한국 전통 공간을 통하여 연구하고자 한다. 연구의 범위는 조선시대 중.
  • Koh Jusuck에 의해 구체화 되었다. 이 세 가지 디자인의 원리에 입각하여 건축을 자연과 서로 진화적 적응을 하는 매체 환경으로 보았다.
  • 본 연구는 전통주거 공간이 일상 중심의 의식체계와 사상이 담긴 삶의 공간으로 단순하기 시각적이거나 조형적인 특성이 아닌 삶을 영위하는 장소로서의 특성으로 초점을 맞추고자 한다. 이 특성에 중요한 디자인 개념인 역사, 전통, 기억, 의미, 장소성, 이미지, 심상, 신념, 환경지각, 인지, 행태, 등을 바탕으로 생태미학적인 관점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생태 미학적 관점으로 전통주거의 표현방법 및 특성에 파악하여, 전통공간의 새로운 접근 방법과 생태미학의 가능성에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 이 특성에 중요한 디자인 개념인 역사, 전통, 기억, 의미, 장소성, 이미지, 심상, 신념, 환경지각, 인지, 행태, 등을 바탕으로 생태미학적인 관점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이러한 생태 미학적 관점으로 전통주거의 표현방법 및 특성에 파악하여, 전통공간의 새로운 접근 방법과 생태미학의 가능성에 모색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 그가 제안한 '참여미학'은 예술이 대상과 대상으로 구성되는 것이 아니라, 경험과 경험이 일어나는 상황으로 구성된다는 것이다. 자아에 대한 육체적인 참여와 스스로에 대한 해방으로서 자연에 대한 새로운 관계를 맺고자 한다. 생태적 세계관의 범주에서 거론될 수 있는 생태 미학은 기존의 미학과 질적으로 다른 미래의 미학으로서, 새로운 '美'의 개념과 예술, 문화를 제시한다.
  • 흔적도 없이 사라져 인위의 흔적이 느껴지지 않는 상태를 만드는 것이다. 자연과 인위를 결합하여 더욱더 자연스럽게 하고자 하였다. 동양에서 생태미학은 자연과 인간뿐만 아니라 자연과 예술, 건축 공간 서로가 함께 섬기며, 공존을 도모하는 역할을 한다.
  • 한국의 정원은 전반적으로 외향적이라 할 수 있으며, 전통공간에서의 회향은 건축물에 상호 관입(貫入)되고 그것이 함께 자연과 동화되는 특징을 보여준다. 전통건축에서 공간이 늘 경내를 관통하여 흐르게 하고 전체를 유연히 조망하여 조화를 이루고자 하였다.⑹ 내부와 외부의 경계를 모호하게 함으로 자연을 받아드림은 내부를 외부화 하고, 외부를 내부화 하는 특징을 나타냈다.
  • 전통건축은 비어있음으로 충만하고, 항상 여여(如如) 한, 인간과 자연의 원리와 같은 이(理)와 기(氣)의 충일한 상태를 조영하려 하였다. 건축이 자연과 조화를 이루고자 하기보다는, 자연의 경지를 이룬 인문 세계(人文世 界)를 보태어 자연을 더욱 풍부하게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구승회, 생태철학과 환경윤리, 동국대학교 출판부 

  2. 권영걸, 공간디자인16강, 도서출판국제, 2001 

  3. 권영걸, 한중일의 공간조영, 도서출판국제, 2006 

  4. 김개천, 명묵의 건축, 안그라픽스, 2004, 

  5. 김종욱, 불교생태철학, 동국대학교출판부, 2006 

  6. 김충렬, 김충렬고수의 노장철학강의, 예원서원, 1995 

  7. 이동철?최진석?신정근, 21세기의 동양철학, 을유문화사, 2009 

  8. 이은경, 風流-동아시아 美學의 근원, 보고사, 1995 

  9. 장파 著, 유중하 외 譯, 동양, 서양 그리고 미학, 푸른숲 

  10. 구승회, 동양사상은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인가?, 한국도가철학회 발표논문, 2000 

  11. 김개천, 조선의 미의식(천연의 미), 국민대학교조형논총 제28집, 2009 

  12. 김용민, 새로운 녹색미학 또는 생태미학의 가능성, 한국실내디자인학회지, 11호, 1997. 6 

  13. 윤갑근?김대현, 현대건축에서 나타난 생태학적 표현에 관한연구, 조선대 조형미술연구지, Vol.5, No.1, 2005 

  14. 한경희?김자경, 생태학적 관점에 의한 전통 주거의 실내 디자인 특성과 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9호, 2001.1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