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블랙컬러 패션소재의 색채감성과 선호도
Color Sensibility and Preference of the Black Color Fabrics 원문보기

감성과학 = Science of emotion & sensibility, v.13 no.2, 2010년, pp.337 - 346  

김여원 (충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패션디자인정보학과) ,  최종명 (충북대학교 생활과학대학 패션디자인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블랙컬러 패션소재에 대한 색채감성과 선호도를 조사하고, 소재의 구조적 특성, 색채특성 및 색채감성이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것이다. 선행연구를 기초로 선정한 9종의 블랙 패션소재에 대해서 대학생을 대상으로 색채감성과 촉감 및 구매선호도를 평가시켰다. 평가된 자료는 빈도분석, 평균, 요인분석, t-test, Kruskal-Wallis검정,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블랙컬러소재의 색채감성을 요인분석 한 결과, 심플/클래식, 우아함, 현대적, 위엄성 등 4개의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러한 색채감성 요인은 소재의 종류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즉 검정 벨벳소재는 이들 색채감성을 가장 잘 표현하는 소재로 평가되었으며, 남자 대학생이 여자 대학생에 비해 블랙소재가 더 심플/클래식하고 우아하며 현대적이라고 평가하였다. 이들 색채감성 요인은 소재의 구조적 특성 및 색채특성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한편, 블랙컬러 패션소재 중에서 촉감이 좋다고 평가된 소재의 경우 구매 선호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또한 블랙컬러 패션소재의 촉감과 구매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주된 변인은 색채감성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블랙컬러 패션소재는 심플/클래식, 우아함, 현대적, 위엄성 등의 색채감성을 나타내었고, 색채감성은 선호도에 영향을 주는 주요 변인임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패션상품기획시 추구 이미지에 따라 블랙컬러소재를 차별화하여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research were to evaluate the color sensibility and preferences, an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tactile preferences and purchasing preference on structural properties, color characteristics and color sensibility for the black color fabrics. Male and female university student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20대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블랙컬러패션소재의 색채감성을 규명하고, 소재의 구조적 특성, 색채특성 및 색채감성이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을분석한 것으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패션상품에서 기본컬러로 사용되고 있는 블랙컬러소재에 대한 색채감성 자료를 조사하여 패션소재기획에 도움을 주고자 하는 목적으로수행되었다. 이를 위해서 선행연구(곽혜선, 금기숙, 1998; 김기례, 채금석, 2004)에서 분류한 블랙컬러 패션소재를 대상으로 색채감성과 선호도를 조사하고 색채 감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과 색채감성과 선호도와의 관련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곽혜선, 금기숙 (1998). 흑색의상의 조형성과 상징성에 관한 연구. 복식, 37, 한국복식학회, 231-252. 

  2. 김기례, 채금석 (2004). 현대패션에 나타난 블랙드레스 이미지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28(8), 한국의류학회, 1076-1087. 

  3. 김선영 (2007). 현대패션에 나타난 리틀 블랙드레스의 미적특성. 복식, 57(4), 한국복식학회, 18-29. 

  4. 데이비스, 마리안 L. (1990). 복식의 시각 디자인. 이화연, 손미영, 노희숙 역, 서울: 경춘사. 

  5. 문혜정, 김민자 (1998). 서양복식에 나타난 검정색의 이미지. 복식, 41, 한국복식학회, 207-223. 

  6. 배현주, 김은애 (2003). 남성 정장용 양모 직물의 질감 이미지와 선호도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7(11), 한국의류학회, 1318-1329. 

  7. 송금옥 (2000). 패션색채계획을 위한 검정색의 색채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송명희 (1997). 현대 패션에 나타난 블랙의 미의식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9. 신은진 (2006). 블랙 패션 디자인 개발에 관한 연구. 동덕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0. 오수현 (2004). 색의 유혹: 색채심리와 컬러마케팅. 서울: 살림. 

  11. 유명희 (2009). 검정색의 이미지가 제품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윤지윤, 김영인 (2005). 무채색에 의해 전달되는 패션 디자인의 이미지. 복식, 55(3), 한국복식학회, 122-135. 

  13. 이은주, 최종명 (2009). 황색과 적색계열 천연염색 직물에 대한 사십대 중년층 소비자의 색채감성요인. 감성과학, 12(1), 한국감성과학회, 109-120. 

  14. 이정미, 조진숙 (2006). 검은색 의상의 이미지 연구. 복식문화연구, 14(2), 복식문화학회, 247-259. 

  15. 이지윤 (2003).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컬러선호도. 덕성여자대학교 패션?텍스타일 비즈니스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이희재 (2006). 현대 여성 패션 룩에 나타난 색채 이미지 연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임정순 (1999). 블랙의상의 에로티시즘 표현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제기연, 이경희 (2009).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블랙컬러의 패션 코디네이션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3(7), 한국의류학회, 1003-1013. 

  19. 쿠퍼, 미미 & 매튜, 앨린 (2002). 컬러비즈니스. 안진환 옮김. 서울: 오늘의 책. 

  20. 한국디자인진흥원 (2003). 브랜드 위상제고를 위한 컬러마케팅 실태조사보고서. 산업자원부. 

  21. 헬러, 에바 (2002). 색의 유혹: 재미있는 열세가지 색깔 이야기. 이영희 옮김. 서울: 예담. 

  22. 황상민, 권보미 (2005). 색채감성 이미지 척도(PCIS)를 통하여 살펴 본 인간의 색채감성 연구. 한국색채학회논문집, 19(1), 한국색채학회, 13-25. 

  23. Gao, X. & Xin, J. H. (2006). Investigation of human's emotional responses on colors. Color Research and Application, 31(5), 411-417. 

  24. Mahar, T. J., Dhingra, R. C., & Postle, R. (1989). Measuring and interpreting low-stress fabric mechanical and surface properties: part I: precision of measurement. Textile Research Journal, 57, 357-369. 

  25. Osgood, E. C., Suci, G. J., & Tannenbaum, P. H. (1957). The measurement of meaning. Urbana: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6. Ou, L., Luo, M. R., Woodcock, A., & Wright, A. (2004). A study of colour emotion and colour preference. part I: colour emotions for single colours. Color Research and Application, 29(3), 232-240. 

  27. Wright B. & Rainwater, L. (1962). The meaning of color. Journal of Genetic Psychology. 67, 89-99.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