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탄소강 다단 신선 와이어의 표면 온도 상승에 의한 축방향 잔류응력 예측
Prediction of Axial Residual Stress in Drawn High-Carbon Wire Resulting Due to Increase in Surface Temperature 원문보기

大韓機械學會論文集. Transactions of the Kore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 A. A, v.34 no.10, 2010년, pp.1479 - 1485  

김대운 (부산대학교 정밀기계공학과) ,  이상곤 (부산대 PNU-IFAM 국제공동연구소) ,  김병민 (부산대학교 기계공학부) ,  정진영 (고려제강 기술개발연구원) ,  반덕영 (고려제강 기술개발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와이어의 생산성 및 고강도화를 위한 고탄소강의 고속신선으로 인해 와이어 표면의 급격한 온도상승으로 잔류응력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와이어의 다단 신선 공정시에는 소성변형과 마찰열에 의하여 와이어 내부의 온도가 더욱 크게 상승하게 된다. 특히, 고속 신선의 경우 마찰에 의한 온도구배가 더욱 크게 되어 와이어 표면층에 축방향 인장 잔류응력을 과도하게 발생시킨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먼저 표면 온도 상승과 축방향 잔류응력과의 관계를 규명한 다음에 와이어의 평형온도 예측 모델을 제안하고, 이를 토대로 표면 온도 상승에 의한 축방향 잔류응력 예측식을 개발하였다. 고탄소강(0.82%C)소재의 다단신선 실험을 통해 얻어진 시편에 대하여 X 선 회절을 이용하여 잔류응력을 측정하여 제안된 예측식을 검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recent times, due to wire drawing of high carbon steel at a high speed to ensure a high productivity and high strength, axial residual stress are generated because of rapid increase in surface temperature. In the process, the temperatures of the wires increased because of the deformation of the w...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 제시한 와이어 온도상승에 의한 다단 신선 와이어 축방향 표면 잔류응력 예측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다단 신선실험 후 패스별 와이어의 축방향 표면 잔류응력을 측정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고탄소강 신선공정에 대한 탄소성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여 표면온도 상승에 대한 신선 와이어의 축방향 표면 잔류응력을 규명하였다. 또한 다단 신선공정에 대한 정확한 온도 예측을 기초로 정량적인 축방향 표면 잔류응력예측 모델을 제안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마찰에 의한 급격한 와이어 표면 온도 상승과 표면 축방향 잔류응력의 관계를 유한 요소 해석을 통하여 규명하고 표면온도가 와이어 내부와 평형을 이루면 잔류응력이 가장 크기 때문에 평형온도 예측모델을 제안하였다. 표면 온도가 잔류응력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기 위하여 다양한 신선 속도에 대한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 이로부터 표면온도 변화에 따른 열응력과 잔류응력은 연관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기초로 열응력식을 이용한 축방향 표면 잔류응력 예측모델을 제안하였다.

가설 설정

  • 9 이다.(12) 기존의 열 기여율을 사용하여 온도를 예측하면 와이어의 표면 온도는 600 ℃이상 올라가게 된다. 하지만 성형해석 결과 표면의 온도는 300 ℃정도 올라가기 때문에 새로운 열 기여율의 계산이 필요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다단 신선 공정에서 와이어 내부의 열 발생은 무엇에 기인하는가? 와이어 내부의 열 발생은 와이어의 소성변형과 다이와 와이어 사이의 마찰에 기인한다. 특히 다이와 접촉하면 와이어의 표면층에서 마찰열이 집중되어 가장 온도가 높다.
최근 다단 신선 공정 시 발생되는 문제점은? 다단 신선 공정 시, 와이어가 다이를 통과할 때 표면에 축방향 인장 잔류응력이 발생하는데 와이어 내부의 불균일한 소성변형과 급격한 표면 온도 상승이 주요 요인이다.(1,2) 특히 최근 와이어의 생산성 및 고강도화를 위한 고탄소강의 고속신선으로 인하여 와이어 표면의 급격한 온도상승이 더욱 크게 되어 와이어 표면층에 축방향 인장 잔류응력을 과도하게 발생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축방향 인장 잔류응력은 와이어에 어떤 요인이 되는가? (3)이러한 온도구배는 표면에 축방향 인장 잔류응력을 발생시키는 요인이다. 축방향 인장 잔류응력의 경우 와이어의 인장강도 및 탄성한계 감소, 부식 저항 저하, 크랙 발생 촉진, 피로수명 저하 등 신선 와이어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4,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KO, D. C., Hwang, W. H., Lee, S. K. and Kim, B. M., 2006, “A Study on the Method of Residual Stress Relaxation during Wire Drawing and Evaluation of Residual Stress Using Nano Indentation Test,” Journal of Korea Society of Precision Engineering, Vol. 23, No. 5, pp.162-169. 

  2. Vijayakar, S., 1997, “Thermal Influence on Residual Stresses in Drawn Wire,” Wire Journal International, Vol. 30, No. 6, pp. 116-119. 

  3. Kim, N. S. and Kim, H. J., 2002, Plastic Deformation and Analysis, Munundang, Seoul, pp. 89-91. 

  4. Atienza, J. M., Ruiz-Hervias, J., Martinez-Perez, M. L., Mompean, F. J., Garcia-Hernandez, M. and Elices, M., 2005, “Residual Stresses in Cold Drawn Pearlitic Rods,” Scripta Materialia, Vol. 52, pp. 1223-1228. 

  5. Atienza, J. M. and Elices, M., 2003, “Influence of Residual Stress in the Tensile Test of Cold Drawn Wires,” Materials and Structures, Vol. 36, pp. 548-552. 

  6. Siebel, E. and Kobitzsch, R., 1943, “Die Erwarmung des Ziehgutes beim Drahtziehen,” Stahl und Eisen, Vol. 63, No. 6, pp. 110-113. 

  7. Kemp, I. P., 1987, "Heat Generation and Strain Ageing," Wire Industry, Vol. 54, No. 637, pp. 41-49. 

  8. Kemp, I. P., Pollard, G. and Bramley, A. N., 1985, “Temperature Distributions in The High Speed Drawing of High Strength Steel Wire,” International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 Vol. 27, No. 11/12, pp. 803-811. 

  9. Kim, Y. S., Kim, D. H., Kim, B. M., Kim, M. A., and Park, Y. M., 2001, “Development of Wire Temperature Prediction Method in a Continuous Dry Wire Drawing Process Using the High Carbon Steel,” Trans. of the KSME (A), Vol. 25, No. 2, pp. 330-337. 

  10. Norman E. Dowling, 1999, Mechanical Behavior of Materials, Prentice Hall International, Inc., New Jersey, pp. 128-129. 

  11. Lee, S. K., Kim, D. W., Kim, B. M., Jung, J. Y., Ban, D. Y., and Lee, S. B., 2010, “Evaluation of Axial Residual Stress in Multi-Pass Drawn High Carbon Steel Wire Considering Effective Stress-Strain Curve at High Strai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recision Engineering, Vol. 27, No. 8, pp. 70-75 

  12. Alexander Geleji, 1960, Bildsame Formung der Mettale in Rechnung und Versuch, Akademie-Verlag, GmbH.BERLIN. 

  13. Dinesh, D. B. and Jeffrey, L. S., 2009, “A Method for Obtaining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at the Interface of Sliding Bodies,” Wear, Vol. 226, pp. 721-732. 

  14. Frank P. Incropera and David P. Dewitt, 1996, Fundamentals of Heat and Mass Transfer-4th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pp. 3-5. 

  15. Martinez-Perez, M. L., Mompean, F. J., Ruiz-Hervias, J., Borlado, C. R., Atienza, J. M., Garcia-Hernandez, M., Elices, M., Gil-Sevillano, J., Ru Lin Peng and Buslaps, T., 2004, “Residual Stress Profiling in the Ferrite and Cementite Phases of Cold-Drawn Steel Rods by Synchrotron X-ray and Neutron Diffraction,” Acta Meterialia, Vol. 52, pp. 5303-5313. 

  16. Ruiz, J., Atienza, J. M. and Elice, M., 2003, “Residual Stresses in Wires: Influence of Wire Length,” Journal of Material Engineering and Performance, Vol. 12, No. 4, pp. 480-489. 

  17. Van Acker, K., Root, J., Van Houtte, P. and E. Aernoudt, 1996, “Neutron Diffraction Measurement of the Residual Stress in the Cementite and Ferrite Phase of Cold-Drawn Steel Wires,” Acta Meterialia, Vol.44, pp. 4039-4049. 

  18. Kim, D. W., Lee, S. K., Kim, B. M., Jung, J. Y. and D. Y. Ban, 2010, “Development of Surface Residual Stress Prediction Formula for Multi-Pass High Carbon Steel Wire Drawing,” Transactions of Materials Processing, Vol. 19, No. 4, pp. 224-229. 

  19. Goes, B., Gil-Sevillano, J. and D´Haene U., 1998, “Modeling the Evolution of Residual Stresses during Tensile Testing of Elastoplastic Wires Subjected to A Previous Bending Oper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echanical Sciences, Vol. 41, pp.1031-105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