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규칙적인 저항 운동이 심폐 능력과 뇌혈류 속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Regular Resistive Exercise on Cardiopulmonary Ability and Cerebral Blood Flow Velocity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5 no.2, 2010년, pp.255 - 264  

유재호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이석민 (삼육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is effects of resistive exercise on cardiopulmonary fitness and cerebral artery blood flow velocity. Methods : Ten healthy university students had done resistive exercise without aerobic exercise over one year participated resistive exercise group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규칙적으로 저항운동을 시행해온 운동군의 심폐 능력과 뇌혈류 속도를 유사한 신체조건의 일반인과 비교하여 단순히 근력, 근지구력, 평형성의 증가를 위해 주로 사용되어 왔던 저항 운동이 심폐 능력과 뇌혈류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뇌손상을 예방함에 있어 저항 운동의 우수성을 증명하고 그 지침을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 하지만 물리치료 현장에서 현재까지 심혈관계 개선에 검증되어온 유산소 운동을 함께 병행하기에는 그 안정성과 환자의 기능 수준, 시간적 여유 등의 문제점에 의해 쉽게 행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기능 수준 회복을 위해 전통적으로 시행하는 저항 운동도 환자의 규칙적인 노력 여부에 따라 심폐 능력의 개선과 뇌혈류 속도에 변화를 줄 수 있다는 가설을 가지고 시행되었다.
  • 본 연구는 규칙적인 저항 운동이 심폐 능력과 뇌혈류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유산소 운동에 참여하지 않지만 규칙적인 저항운동을 1년 이상 시행해온 대학생 10명과 일반 대학생 10명을 선정하였고 피험자들은 실험 중 유의해야 할 사항과 기본적인 측정절차에 대한 설명을 들은 뒤 측정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규칙적인 저항 운동이 심폐 능력과 뇌혈류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저항운동은 밴드, 덤벨과 같은 기구 또는 치료사가 자신의 몸을 이용하여 환자에게 부하를 주어 근육 운동을 시키는 방법으로 근력, 지구력, 균형 능력을 증가시키는데 있어 매우 효과적인 운동방법이며 물리치료 분야에서 근골격계, 신경계 질환자들의 재활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어왔다.
  • 본 연구는 규칙적인 저항 운동이 심폐 능력과 뇌혈류 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여 물리치료 에 있어 저항 운동의 우수성을 증명하고 뇌졸중을 예방하는 지침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서 운동군은 중강도와 최대강도에서 산소섭취량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최대강도에서 호흡교환율은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현대인의 서구화된 식습관과 신체 활동의 감소는 어떤 문제를 야기시켰는가? 현대인의 서구화된 식습관과 신체 활동의 감소는 혈관 내 저밀도 콜레스테롤의 침착을 증가시키고 각종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율을 높이는 원인이 되고 있다. 심혈관계 질환 중 뇌졸중은 뇌에 있는 혈관이 혈전, 콜레스테롤, 색전 등에 의하여 협착되고 이로인해 뇌신경 세포로의 혈류 공급이 중단됨으로써, 특정 뇌 영역의 신경 세포가 괴사하여 발생하는 손상이다(Cauraugh과 Kim, 2002).
심혈관계 질환 중 뇌졸중은 어떤 문제점을 만들게 되는가? 심혈관계 질환 중 뇌졸중은 뇌에 있는 혈관이 혈전, 콜레스테롤, 색전 등에 의하여 협착되고 이로인해 뇌신경 세포로의 혈류 공급이 중단됨으로써, 특정 뇌 영역의 신경 세포가 괴사하여 발생하는 손상이다(Cauraugh과 Kim, 2002). 또한 뇌졸중은 사망의 원인이 되며 신체적 손상과 기능적 제한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만들게 된다(Kelley-Moore과 ferraro, 2004).
뇌졸중이란? 현대인의 서구화된 식습관과 신체 활동의 감소는 혈관 내 저밀도 콜레스테롤의 침착을 증가시키고 각종 심혈관계 질환의 발병율을 높이는 원인이 되고 있다. 심혈관계 질환 중 뇌졸중은 뇌에 있는 혈관이 혈전, 콜레스테롤, 색전 등에 의하여 협착되고 이로인해 뇌신경 세포로의 혈류 공급이 중단됨으로써, 특정 뇌 영역의 신경 세포가 괴사하여 발생하는 손상이다(Cauraugh과 Kim, 2002). 또한 뇌졸중은 사망의 원인이 되며 신체적 손상과 기능적 제한 등 여러 가지 문제점을 만들게 된다(Kelley-Moore과 ferraro, 200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2)

  1. 강도순. 운동선수와 비운동선수의 심폐기능에 관한 비교. 호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 김태학. 증후성 경동맥 폐쇄환자에서 뇌졸중 재발의 위험인자.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5. 

  3. 소위영, 전태원, 서동일 등. 12주간의 탄력저항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신체조성, 심폐기능 및 체력에 미치는 영향. 대한비만학회지, 2008;17(3):132-40. 

  4. 송낙훈. 탄성저항운동이 척수손상환자의 심폐기능, 혈역학적 요인, 혈중지질 및 항산화효소 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8. 

  5. 차태준. Arrhythmogenic Ion Channel Remodeling in the Heart: HF and AF, 대한 심장학회 추계학술대회. 2008. 

  6. 허봉렬, 김철준. 장기간의 유산소성 운동이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대한 순환기학회지. 1990;20(2):226-31. 

  7. ACSM. ACSM's Health/Fitness Facility Standards and Guidelines(3rd Edit),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06. 

  8. Aslam F, Haque A, Lee LV et al. Hyperlipidemia in older adults. Clin Geriatr Med. 2009;25(4):591-606 

  9. Bornstein NM, Karepov VG, Aronovich BD et al. Failure of aspirin treatment after stroke. Stroke. 1994;25(2):275-7. 

  10. Bruce RA, Blackman JR, Jones JW. Exercise testing in adult normal subjects and cardiac patients. Pediatrics. 1963;32:742-55. 

  11. Cauraugh JH, Kim SB. Two coupled motor recovery protocols are better than one: electro myogram-triggerd neuromuscular stimulation and bilateral movements. Stroke. 2002;33:1589-94. 

  12. Hellstrom G, Fischer-Colbrie W, Wahlgren NG et al. Carotid artery blood flow and middle cerebral artery blood flow velocity during physical exercise. J Appl Physiol. 1996;81(1):413-8. 

  13. Ide K, Pott F, van Lieshout JJ et al. Middle cerebral artery blood velocity depends on cardiac output during dynamic exercise with a large muscle mass. Acta Physiol Scand. 1998;162:13-20. 

  14. Jogensen LG, Perko G, Secher NH. Regional cerebral artery mean flow velocity and blood flow during dynamic exercise in humans. J Appl Physiol. 1992; 73(5):1825-30. 

  15. Kelley-Moore JA, Ferraro KF. The black/white disability gap: persistent inequality in later life? J Gerontol B Psychol Sci Soc Sci. 2004;59(1):S34-43. 

  16. Kulikov VP, Gatal'ski? KK, Doronina NL et al. Cerebral hemodynamic reaction to physical exercise of moderate intensity. Ross Fiziol Zh Im I M Sechenova. 2007;93(2):161-8. 

  17. Kwon SU. TCD findings of steno-occlusive disease in the large cerebral vessels. Korea Journal of Stroke. 2001;3:14-20. 

  18. Lindegaard KF. Intracranial artery stenosis. In: Newell DW, Aaslid R, eds. Transcranial Doppler. New York: Raven Press Publishers. 1994. 

  19. Newell DW, Aaslid R, Lam A et al. Comparison of flow and velocity during dynamic autoregulation testing in human. Stroke. 1994;25:793-7. 

  20. Paulson OB, Strandgaard S, Edivinsson L. Cerebral autoregulation. Cerebrovasc Brain Metab. 1990;2(2):161-92. 

  21. Pott F, Jensen K, Hansen H et al. Middle cerebral artery blood velocity and plasma catecholamines during exercise. Acta Physiol Scand. 1996;158(4): 349-56. 

  22. Querido JS, Sheel AW. Regulation of cerebral blood flow during exercise. Sports Med. 2007;37(9): 765-82. 

  23. Robert JR, Kathy MO, Nancy BM et al. Gender comparison or RPE at absolute and relative physiology criteria.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2000;32(12):2120-9. 

  24. Rothmier JD, Drezner JA, Harmon KG.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s in Washington State High Schools: An Assessment of Emergency Preparedness. Clinical Journal of Sport Medicine. 2006;16(5): 434. 

  25. Sagiv M, Sagiv M, Ben-Sira D. Weight lifting training and left ventricular function in adolescent subjects. J Sports Med Phys Fitness. 2007;47(3): 329-34. 

  26. Shoenmaker JK, Pozeg ZI. Hughson RL. Forearm blood flow by doppler ultrasound during rest and exercise : Tests of day-to-day repeatability. Medicine & Science in Sports & Exercise. 1996;28(9): 1144-9. 

  27. Stacey-Clear A, Fish PJ. Repeatability of blood flow measurement using multichannel pulsed Doppler ultrasound. Br J. Radiol. 1984;57:419-20. 

  28. Toska K, Eriksen M. Peripheral vasoconstriction shortly after onset of moderate exercise in humans. J appl Physiol. 1994;77(3):1519-25. 

  29. Vernieri F, Pasqualetti P, Passarelli F et al. Stroke. 1999;30(3):593-8. 

  30. Vingerhoets F, Bogousslavsky J, Regli F et al. Atrial Fibrillation After Acute Stroke. Stroke. 1993;24:26-30. 

  31. Williamson JW, Friedman DB, Mitchell JH et al. Mechanisms regulating regional cerebral activation during dynamic handgrip in humans. J Appl Physiol. 1996;81(5):1884-90. 

  32. Williamson JW, McColl R, Mathews D et al. Activation of the insular cortex is affected by the intensity of exercise. J Appl Physiol. 1999;87(3): 121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