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경설계 스튜디오 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
Students’ Perception of Landscape Design Studio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8 no.2, 2010년, pp.9 - 24  

김아연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

초록

본 연구는 조경설계 수업 전반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을 조사하고, 설계수업 개선을 위한 방향을 도출하고자하였다. 본 연구는 점차로 대학교육이 절대적인 지식을 전달하는 실증주의적 배경으로부터 학생들 스스로가 지식을 구축해가는 구성주의적 교육방법으로 진화해야 한다는 가정을 둔다. 학생들이 설계수업을 어떻게 경험하고, 느끼고, 이해하고, 평가하고 있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이러한 구성주의 철학과 관점을 바탕으로 설계수업을 개선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이다. 본 연구에서는 설계 스튜디오 교육에 대한 이론적 연구로 교육철학의 변화, 스튜디오 수업의 기원과 변화, 건축분야의 설계 교육의 변화, 그리고 조경교육에 있어서 설계교육에 대한 논의를 고찰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네 개 대학의 학부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설계수업은 학생들이 조경설계가로서의 진로를 결정하는데 긍정적 혹은 부정적 영향을 행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절반 정도의 학생들은 설계수업에 대해 불만을 표시하였으며, 상당한 심적 부담감을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설계과정의 초기단계와 개념을 구체화하는 단계에서 가장 많은 스트레스를 받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진로에 대한 유보적인 집단이 설계수업에 대한 심적 부담감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스스로의 설계능력에 대해 부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으며, 성적이 학생들의 설계능력을 잘 반영해준다고 강하게 믿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보다 투명한 평가체계에 대한 고민이 이어져야함을 시사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how students perceive landscape design studio classes and provides basic data to set guidelines for future student-oriented pedagogical strategies in landscape architectural design education. This study is based on the premise that the current dominant educational method, whi...

주제어

참고문헌 (33)

  1. 강인애, 정준환, 정득년(2007) Problem Based Learning의 실천적 이해. 서울: 문음사. 

  2. 김성균(1994) 조경에 있어서 컴퓨터 교육의 내용 및 교과과정. 한국조경학회지 22(2): 167-175. 

  3. 김도회, 박유선(2004) 장르별 교육 시스템 연구: 단계별 디자인 교육을 중심으로. 일러스트레이션학 연구 15: 159-164. 

  4. 김세천(2003) 21세기 조경교육 방향. 한국조경학회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5. 김아연(2010) 스튜디오 101. 설계를 묻다(14). 파주: 환경과 조경(263): 164-167. 

  6. 김용기(1983) 우리나라 조경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한국조경학회지 11(1): 11-22. 

  7. 김영애(2006) 마래사회에 대응하는 건축 설계교육의 방향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10): 39-48. 

  8. 노융희(1976) 현대조경학과 조경교육의 동향. 한국조경학회지 (7): 31-38. 

  9. 박성익, 임철일, 이재경, 최정임(2008) 교육방법의 교육공학적 이해. 파주: 교육과학사. 

  10. 배정한(2002) 여름조경학교의 현황과 문제. 그리고 활성화 방안. 열린 학회를 위한 세미나 자료집. 

  11. 서울시립대학교 조경학과(2008) 차세대 조경교육방향설정을 위한 워크샵 자료집. 

  12. 서응철(2003) 21세기 조경교육 방향. 한국조경학회 추계학술논문발표회 논문집. 

  13. 안봉원(1983) 조경학과 실험실습교육의 현황과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1(1): 23-33. 

  14. 안봉원(1991) 학교에서 본 산학협동과 조경교육. 한국조경학회지 18(4) : 145-148. 

  15. 안성로, 윤근영, 김학범(1990) 전문대학 조경과 교육과정 수정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18(3): 99-113. 

  16. 양윤재(1991) 설계교육의 발전을 위한 제언. 한국조경학회지 18(4) : 142-144. 

  17. 오웅성(1999) 환경설계교육에 있어 조형예술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한국과 프랑스의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27(4): 108-121. 

  18. 이경석(2001) 정보. 지식기반 사회에서의 디자인 교육의 방향. 정보디자인학연구 4: 185-200. 

  19. 이도영, 정현미(2008a) 국외 대학 디자인 스튜디오 수업방식의 구성주의적 접근 탐색.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6): 149-160. 

  20. 이도영, 정현미(2008b) 건축설계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대안적 설계수업 사례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4(7):131-142. 

  21. 이상헌(2006) 근대적 건축설계교육의 기원과 형성과정에 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2(3): 145-156. 

  22.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공학과(2004) 교육공학. 파주: 교육과학사. 

  23. 임승빈(1989) 건축교육과 조경교육의 연계. 대한건축학회지 33(4) : 29-33. 

  24. 조부경, 김효남, 백성혜, 김정준(2001) 구성주의 이론. 관점. 그리고 실제. 경기: 양서원. 

  25. 조연순(2006) 문제중심학습의 이론과 실제. 서울: 학지사. 

  26. 최상철(1975) 우리나라 조경학 교육과정의 분석과 문제점. 한국조경학회지 3(2): 59-67. 

  27. 홍윤순(2006) 현장 실무에 부응하는 조경계획.설계 교과개발에 관한 연구: 건축학 교육인증기준의 지표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4(1): 81-91. 

  28. 황기원(1983) 조경교육의 구조와 문제. 한국조경학회지 11(1): 1-10. 

  29. 황기원(2002) 한국의 조경교육 30년: 회고와 전망. 한국의 조경 1972-2002: 한국조경학회 창립 30주년 기념집. pp. 55-66. 

  30. IFLA(2005) IFLA/UNESCO Charter for Landscape Architectural Education. 

  31. Markham, Thom. John Larmer and Jason Ravitz(2003) Project Based Learning Handbook: A Guide to Standards. 노선숙, 김민경, 임해미(역), 프로젝트 기반 학습 입문서. 파주: 교육과학사, 2007. 

  32. Ochsner, Jeffrey Karl (2000) Behind the Mask: A Psychoanalytic Perspective on Interaction in the Design Studio. Journal of Architectural Education 53(4): 194-206. 

  33. Reigeluth, C. M.(1999) Instructional-Design Theories and Models: A New Paradigm of Instructional Theory Volume II. 최욱(역), 교수설계 이론과 모형. 서울: 아카데미프레즈, 20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