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학 조경교육에 대한 현장 실무자 인식 조사
Practitioners' Perception of Landscape Education in Universities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2 no.3, 2014년, pp.13 - 24  

주신하 (서울여자대학교 원예생명조경학과)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조경도입 40년을 즈음하여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의 요구에 조경교육이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대학 조경교육에 대한 현장 실무자의 인식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두 257명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조경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교과목 유형별 중요도와 실무활용도, 조경업무 단계별 중요도와 실무활용도 등에 대한 설문조사가 진행되었다. 조사결과, 전반적인 대학 조경교육에 대한 실무자의 인식은 다소 부정적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대학 졸업 직후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현장중심의 교육을 보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학 교육에 대한 요구로도 현실적인 전문지식, 인접분야에 대한 이해 등의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신입사원 교육을 통해서 실무스킬이나 컴퓨터, 법제도 관련 사항을 보완하고 있었다. 대학 교육 개선을 위해서는 전임교수는 물론이고, 학생과 실무자들의 공동의 노력이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과목별로는 식재설계, 조경설계, 조경재료, 조경계획, 조경시공 및 관리 등의 과목이 중요한 과목으로 조사되었으나 부분적으로는 분야별 특성이 나타났다. 업무단계별로는 중요도 측면에서는 계획, 설계, 시공관련 과목이 고르게 중요한 단계로 인식되었으나, 실무활용도 측면에서는 계획과 설계과목으로 한정되어 현대학 교육이 계획과 설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학문연구를 기본으로 하는 대학입장에서 실무자 의견을 그대로 교육과정에 반영할 될 수는 없겠으나, 현실을 반영한 교육에 대한 요구와 계획, 설계 중심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균형감 있는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설문응답자가 수도권에 집중되었으며 실무자 의견 조사에 한정되어, 대학 조경교육에 대한 종합적인 개선방안 제시를 위해서는 교육자나 피교육자의 의견이 포함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ractitioners' perception of Landscape Education in the universities in order to satisfy the demands of the rapidly changing industry.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257 practitioners to analyze the overall perception of Landscape Education, the importance and utilization 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학 재학 중 현장실습 경험에 대해 질문하였다. 총 257명의 응답자 중 약 절반 정도인 51.
  • 대학 조경교육 교과과정에서 진행하고 있는 각 과목의 중요도와 실무활용도를 실무자 입장에서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기존 연구를 참고로 각 교과목을 유형화하고 각 유형별로 대학교육에서 배우는 내용이 실무입장에서 얼마나 중요한가(중요도), 그리고 실무를 진행할 때 각 과목에서 배운 내용이 어느 정도 활용될 수 있는가(실무활용도)를 7점 척도로 질문하였다.
  • 우선 조경관련 실무업계에서 대학교 조경교육에 대해 어떻게 느끼고 이해하고 있는지 조사하기 위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설문문항은 크게 실무입장에서 대학 조경교육에 대한 인식에 관한 사항과 대학 조경 교과과정에서 어떤 교과목들이 중요하고 실무에서 잘 활용될 수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교과목 유형별로 중요도와 실무활용도에 관한 사항, 그리고 실제 조경업무 단계별로 중요도와 학교 교육내용의 실무활용도 등으로 구분하였으며, 응답자의 인적사항을 포함하여 작성하였다.
  •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여 대학 조경교육을 개선하는데 참고할 수 있도록 대학 조경교육에 대한 현장 실무자의 인식을 조사·분석하고자 한다.
  • 특히 조경업계 입장에서 바라보는 조경교육에 대한 거의 없는 것으로 판단되는데, 학계와 산업계의 유기적인 관계가 중요하므로 산업체의 요구와 실상에 대한 파악이 전체 조경계 발전에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실무자가 바라보는 대학 조경교육을 파악하여 향후 조경교육 개선에 이바지하고자 한다.
  •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적 요구에 대응하여 대학 조경교육을 개선하는데 참고할 수 있도록 대학 조경교육에 대한 현장 실무자의 인식을 조사·분석하고자 한다. 최근의 조경교육에 관한 연구가 제도적 측면이나 학생입장에서의 조경교육을 다루었다면, 본 연구는 조경의 근간을 이루는 또 다른 축인 업계 실무자의 입장에서 조경교육에 대한 진단을 통해 향후 조경교육의 체계와 내용을 보완할 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실무자들이 자신들이 경험한 조경교육에 대해 어떻게 느끼는지 조사하였으며, 실무자로서 중요성과 실무활용도 측면에서 교과과목과 업무단계에 대해 평가하여 이를 분석하였다.
  • 한편, 신입사원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교육내용에서는 주로 어떤 내용이 다루어지고 있는지 질문하여 보았다. 가장 많은 응답을 보인 문항은 ‘업무효율을 높이기 위한 실무 스킬(7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학 조경교육을 개선하기 위해 가장 노력해야 할 주체에 대해 가장 많이 응답한 답변은 무엇인가? 80.5%에 달하는 대부분의 응답자는 전임교수라고 응답하여, 역시 대학 조경교육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전임교수의 노력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그러나 학생이라는 응답도 39.
우리나라 조경도입 40년을 즈음하여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사회의 요구에 조경교육이 적절히 대응할 수 있도록 대학 조경교육에 대한 현장 실무자의 인식을 조사 한 결과는? 본 연구에서는 모두 257명의 실무자를 대상으로 조경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인식, 교과목 유형별 중요도와 실무활용도, 조경업무 단계별 중요도와 실무활용도 등에 대한 설문조사가 진행되었다. 조사결과, 전반적인 대학 조경교육에 대한 실무자의 인식은 다소 부정적으로 나타났는데, 특히 대학 졸업 직후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현장중심의 교육을 보강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대학 교육에 대한 요구로도 현실적인 전문지식, 인접분야에 대한 이해 등의 현장에서 활용 가능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었으며, 신입사원 교육을 통해서 실무스킬이나 컴퓨터, 법제도 관련 사항을 보완하고 있었다. 대학 교육 개선을 위해서는 전임교수는 물론이고, 학생과 실무자들의 공동의 노력이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과목별로는 식재설계, 조경설계, 조경재료, 조경계획, 조경시공 및 관리 등의 과목이 중요한 과목으로 조사되었으나 부분적으로는 분야별 특성이 나타났다. 업무단계별로는 중요도 측면에서는 계획, 설계, 시공관련 과목이 고르게 중요한 단계로 인식되었으나, 실무활용도 측면에서는 계획과 설계과목으로 한정되어 현대학 교육이 계획과 설계 중심으로 진행되고 있는 경향을 보여주었다. 학문연구를 기본으로 하는 대학입장에서 실무자 의견을 그대로 교육과정에 반영할 될 수는 없겠으나, 현실을 반영한 교육에 대한 요구와 계획, 설계 중심의 교육에서 탈피하여 균형감 있는 교육이 될 수 있도록 하는 노력은 필요하리라 생각한다.
우리나라에 조경이 전문적인 영역은 언제 도입 되었는가? 1972년 우리나라에 조경이 전문적인 영역으로 도입된 지 벌써 40여 년이 흘렀다. 그 동안 우리 조경 분야는 전문영역으로써 고도성장기에 사회적 요구에 부응하고 독자적인 학문으로서 발전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 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hn, B. W.(1991) An industrial-educational cooperation and landscape education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8(4): 145-148. 

  2. Ahn, S. R.(2013) National competency standard: Current status and policy issues. Educational Policy Forum 240: 9-12. 

  3. Choi, S. C.(1975) An analysis of curricula in the Korean educa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2): 59-67. 

  4. Choi, Y. O., J. W. Choi, H. Y. Lee & O. H. Kwon(2013) A study on the industry customized programs of the department of architecture in the community college utilizing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Journal of the Regional Association of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15(3) : 1-8. 

  5. Dee, Catherine(2010) Form, utility, and the aesthetics of thrift in design education. Landscape Journal 29: 21-35. 

  6. Hewitt, Robert and Hala Fouad Nassar(2005) Assessing international education in contemporary landscape architecture. Landscape Journal 24:185-197. 

  7. Hong, Y. S.(2006)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curriculum for practical practice - Using performance criteria of architectural education accredit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4(1): 81-91. 

  8. IFLA(2005) IFLA/UNESCO Charter for Landscape Architectural Education. 

  9. Im, S. B.(1989) The connection between architecture education and landscape architecture education.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33(4): 29-33. 

  10. Kim, A. Y.(2010) Students' perception of landscape design studio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2): 9-24. 

  11. Kim, S. C.(2003) A new direction of landscape education in 21C.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03 Autumn: 8-17. 

  12. Kim, Y. K.(1983) A study on the undergraduate education of landscape architecture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11(1): 11-22. 

  13.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2013) Korean Landscape Architecture Charter. 

  14. Lee, Y. H.(2003) A landscape education for the industrial demands.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03 Autumn: 18. 

  15. Milburn, Lee-Anne S. and Robert D. Brown(2003) The relationship of age, gender, and education to research productivity in landscape architecture faculty in North America. Landscape Journal 22: 54-62. 

  16. Oh, C. H.(2003) A new direction of landscape education in 21C.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03 Autumn: 19-20. 

  17. Oh, W. S.(1999) A study on the necessity of the implementation of "plastic arts" in environmental design studio programs - Focused on the cases of France and Kore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7(4): 108-121. 

  18. Oh, W. Y.(2014) Korean Landscape 3.0, Lafent. http://www.lafent.com/inews/news_view.html?news_id111736 

  19. Rho, Y. H.(1976) The movement of current landscape architecture and landscap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7):31-38. 

  20. Seo, U. C.(2003) A new direction of landscape education in 21C. Proceeding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2003 Autumn: 3-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