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의 성과지표 개발
Develop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for Asset Management in Public Facilities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11 no.4 = no.56, 2010년, pp.89 - 99  

권방성 ((주)휴다임건축사사무소) ,  홍태훈 (연세대학교 건축공학과) ,  현창택 (서울시립대학교 건축학부) ,  채명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우리나라는 현행 시설물의 유지관리 체계를 넘어 자산관리 체계 도입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의 발전도는 특정 국가를 제외하고 초기수준이며 성공적인 정착을 위해 현재의 상황을 파악하고 미래에 대한 목표를 설정하는 일련의 성과측정 및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호주와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의 경우 다양한 방법과 목적을 가지고 자산관리 성과측정이 이루어지고 있다. 국내의 경우 한국건설기술연구원에서 진행 중인 '공공시설물 자산관리 체계 개발(KTAM-40)' 연구에서 자산관리 성과측정을 위한 평가항목을 제시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성과측정을 위하여, 주요사항에 대한 누락이 없으며 활용성 측면에서 효과적인 자산관리 성과지표를 BSC, AHP 기법 등을 활용하여 개발하고, 성과지표를 활용한 성과측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Korea, much effort is being made to introduce asset management for improved efficiency and lower costs. Many researches related to asset management are ongoing, but asset management for public facilities is still in its early development stage in many countries including Korea. It is necessary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Round 1은 자산관리 성과지표의 이론적 측면에 중심을 둔 전문가 의견수렴을 위하여 자산관리 관련 연구기관의 책임급 연구진, 대학교의 관련 전공교수진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 KTAM-40에서 연구중인 공공시설물 자산관리 체계가 향후 국내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에 정착되었을 시, 개발된 성과지표가 자산관리의 성과측정을 위해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을지에 초점을 두고 실시되었다. Round 2는 자산관리 성과지표의 실무적 측면에 중심을 둔 전문가 의견수렴을 위하여 향후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의 실무기관이 될 현 공공시설물 관리기관의 실무진을 대상으로 실시하였고, 현실적 활용성 측면을 바탕으로 검토가 이루어졌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의 효과적인 성과측정을 위하여, 주요사항에 대한 누락 없이 활용성 측면에서 효과적인 자산관리 성과지표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개발된 성과지표를 활용한 성과측정 방법을 제안한다.
  • 이러한 이유에서 어느 특정 이해관계자, 특정 업무에 대한 한정적인 성과측정보다는 자산관리의 전체과정을 다루는 포괄적 의미의 성과측정이 이루어지는 것이 적합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산관리 전 과정상의 성과를 범위로 하여 성과지표를 개발한다.
  • 성과지표들의 객관적인 결과물을 활용한 성과측정 방안이 마련되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노력과 개선활동이 필요하다. 또한 이러한 성과측정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우선적인 초기모델이 필요하며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4.3.1에서 분석된 지표별 가중치를 활용한 기초수준의 성과점수 산정법을 제안한다.
  • 본 연구에서는 5점 척도의 리커트 척도를 활용한 표 6 형식의 산정 시트를 제안하여 각 핵심성과지표별 점수 산정 방안을 제시하였다. 점수산정시 각 핵심성과지표별 설정된 목표와 대비하여 숫자 1부터 5의 점수가 평가자로 하여금 부여되며 각 점수의 의미는 1(매우 미흡), 2(미흡), 3(보통), 4(우수), 5(매우 우수)로 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국내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의 효과적인 성과측정을 위하여, 주요사항에 대해 누락이 없으며 활용성 측면에서 효과적인 자산관리 성과지표를 개발하였다. 아울러, 개발된 성과지표를 활용한 성과측정 방법을 제안하였다.
  • KTAM-40 연구에서는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의 정의를“기존의 대응적 유지관리체계를 예방적 유지관리 체계로 변화하기 위한 전략으로서 시설물의 자산관리 요소기술 및 기반기술의 집합체”라 하였다. 이 의미는 기존의 사후 보강하는 시설물 유지관리 방식에서 탈피하여 시설물의 전 생애주기에 걸쳐 시설물의 예방 보전 주기를 최적화하고 보수 및 보강을 최적의 시기에 합리적인 예산을 투입하기 위한 것이다.
  • 이상의 KTAM-40 연구의 평가항목에 대한 문제점과 선진국 성과측정 사례의 시사점에서 파악할 수 있는 것처럼, 국내 공공시설물 자산관리의 성과측정을 위해 아직 보완되어야 할 부분이 많다. 이러한 이유로 본 연구에서는 KTAM-40 연구의 평가항목을 선진국 자산관리 성과지표의 장점과 BSC 기법을 활용하여 보완하는 방법으로 공공시설물 자산관리 성과지표를 개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넷째, 지표의 명료성이 떨어진다. 질문형식을 가지며 비교적 장문으로 구성된 항목이 대다수인 관계로 활용성 측면에 있어 불편함이 존재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공시설물이란 무엇인가? ‘공공시설물’이란 공공의 이용편의를 도모하는 시설물 중 공공관리주체가 소유하거나 관리하는 시설물이다. 여기서‘공공관리주체’란 국가∙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지방공기업 중 해당 시설물의 소유자나 관리자로 규정된 주체를 말한다.
공공관리주체란 무엇을 말하는가? ‘공공시설물’이란 공공의 이용편의를 도모하는 시설물 중 공공관리주체가 소유하거나 관리하는 시설물이다. 여기서‘공공관리주체’란 국가∙지방자치단체, 공공기관, 지방공기업 중 해당 시설물의 소유자나 관리자로 규정된 주체를 말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손명호외(2003)," 기업 수명주기에 따른 균형성과표 성과지표가중치 비교분석", 한국경영과학회지, 제28권 제1호, pp.79-95 

  2. 신희철 (2006), 도로교통시설 자산관리시스템 구축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통연구원, p. 11 

  3. 최동득 외 (2004), 알기쉬운 BSC, KOMIT 출판사, pp. 29-30 

  4. 하재도 (2003), 정부투자기관의 BSC를 활용한 전략적 성과평가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p. 28-29 

  5.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6), "공공시설물 내구성 증대를 위한 유지관리비용 산정 시스템 개발",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p. 71, p. 208 

  6. Kaplan, R. S., Norton, D. P. (1992), "The Balanced Scorecard-Measures that Drive Performance", Harvard Business Review, Jan/Feb pp. 71-79 

  7. Olson, E. M., Slater S. F. (2002)," The balanced scorecard, competitive strategy, and performance", Bus. Horizons, 45(3), pp. 11-16 

  8. Asset Management Council (2008), Asset Management Excellence Awards Brochure, pp. 2-4 

  9. Kohler, P., 2001," Self Assessment Tool", South Australian Councils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