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폐절제술을 받은 환자의 호흡운동중재가 폐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a Breathing Exercise Intervention on Pulmonary Function after Lung Lobectomy 원문보기

종양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oncology nursing, v.10 no.1, 2010년, pp.95 - 102  

정경주 (화순전남대학교병원) ,  이영숙 (전남대학교 간호대학.전남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 of a breathing exercise intervention by measuring pulmonary function test (PFT) three times; preoperative, 3rd and 5th day after operation. Methods: This study was designed 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 total of...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자는 기존연구를 바탕으로 폐절제술을 받은 환자를 위한 호흡운동중재를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며, 폐절제술 후 호흡운동을 표준화하는데 근거를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폐암으로 입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호흡운동 간호 중재의 적용이 폐절제술 환자의 폐기능 회복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는 유사 실험 설계로 비동등성 대조군 사전∙사후 설계이다.
  • 본 연구는 폐절제술 후 환자에게 호흡운동중재를 개발 적용하여 폐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함으로써 폐절제술 환자들을 위한 간호중재로 활용하고자 시도된 유사 실험연구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한 호흡운동중재는 폐절제술 환자의 간호중재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향후 병원과 보건소, 가정에서 본 폐절제술 후 호흡운동 중재를 실시하기를 권한다.

가설 설정

  • 4-1가설: 폐렴의 발생률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낮을 것이다.
  • 4-2가설: 무기폐의 발생률은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낮을 것이다.
  • 제1가설: 노력성 폐활량(FVC)은 호흡운동중재에 참여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높을 것이다.
  • 제2가설: 1초간 노력성 호기량(FEV1)은 호흡운동중재에 참여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높을 것이다.
  • 제3가설: 흉관 삽입기간은 호흡운동중재에 참여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짧을 것이다.
  • 제4가설: 호흡운동중재에 참여한 실험군이 대조군보다 폐합병증 발생률이 낮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흡운동중재의 적용이 폐절제술 환자의 폐기능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연구를 진행했을 때 구체적인 목적은? 첫째, 호흡운동중재가 노력성 폐활량(Forced Vital Capacity, FVC)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다. 둘째, 호흡운동중재가 1초간 노력성 호기량(Forced Expiratory Volume in 1 second, FEV1)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다. 셋째, 호흡운동중재가 흉관 삽입기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다. 넷째, 호흡운동중재가 폐렴과 무기폐 발생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한다.
폐기능이란? 폐기능이란 흉벽과 횡격막 및 폐가 공기를 들이쉬고 내시는 능력(ventilation)과 공기를 폐포 속으로 분산시키는 능력(Oxygenation)으로9) 노력성 폐활량, 1초간 노력성 호기량을 측정한 것을 의미한다.
흉관이란 무엇인가? 폐절제술을 시행한 후 흉수 및 공기를 제거하기 위해 삽입하는 관을 흉관이라고 하며 이를 유지하는 기간으로2) 폐절제술 시행 후 흉관을 삽입하고 나오는 날부터 시작하여 흉관을 제거할 때까지의 총 기간을 의미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Francois S, Sophie B, Judith H, Antoine F, Ali C, Bernard B, et al. Pulmonary complication following lung resetion. Chest 2000; 118:1263-70. 

  2. Seo YH. The effect of respiration strengthening exercise revocery of program on pulmonary function, anxiety and sleep in patient with lung resection surgery [dissertation]. Seoul:Kyung Hee Univ.;2006. 

  3. Choung MW. The effect of active pulmonary physiotherapy on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s [dissertation]. Jinju: Gyungsang National Univ.;1992. 

  4. Roh JS. Development of a critical pathway for patients with lobectomy and pneumonectomy [dissertation]. Seoul:Yonsei Univ.;2003. 

  5. Song MY. The effect of muscle relaxation technique on patient with thoracic surgery [dissertation]. Seoul:Hanyang Univ.;2003. 

  6. Kim HY. A survey of sleep state, sleep promoting activities, sleep disturbing factors and their relationship in abdominal & thoracic surgery patients [dissertation]. Seoul:Seoul National Univ.;2001. 

  7. Jun SJ, Kim KM, Park JS, Lee MH, Cho KS, et al. Adult Nursing. Seoul:Hyunmoon publisher;2005. 

  8. Kim BG, Chae BK, Chang SH. The effects of continuous epidural fentanyl/bupivacaine mixture on analgesia and pulmonary function after thoracotomy. J Korean Soc Anesthesiologists 1992; 25 Suppl: 349-58. 

  9. Jun SC. Adult Nursing. Seoul:Sumoon publisher;1994. 

  10. Celli BR, Rodriguez KS, Snider GL. A controlled trial of intermitten positive pressure breathing, incentive spirometry, and deep breathing exercise in preventing pulmonary complications after abdominal surgery. Am Re Respir Dis 1984;130 Suppl:12. 

  11. Kim HS. The effects of a pulmonary rehabilitation program for patients with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e [dissertation]. Seoul:Kyung Hee Univ.;2005. 

  12. Son SY. The effect of deep breathing exercise using an incentive spirometer on pulmonary function in postoperative patients [dissertation]. Daejeon:Chungnam National Univ.;1993. 

  13. Hwang JH, Park HS. The effect of deep breathing methods on pulmonary ventilatory function of patients who experiened upper- abdominal surgery. Korean J Fundam Nurs 1994;2:129-47. 

  14. Lee YR. The effect of preioerative deep breathing education method on recovery of pulmonary function in upper abdominal postoperative patients, The Journal of Catholic Medical College, 1993;48 Suppl:401-410 

  15. Kim EJ. An experimental study of deep breathing exercises using phonation on effect of pulmonary ventilatory function, dyspnea, and duration of chest tube insertion in patients with pneumothorax [dissertation]. Gwangju:Chonnam National Univ.; 2000. 

  16. Thoren L.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 observation on their prevention by means of physiotherapy. Acta Chir Scand 1954;107:193. 

  17. Morran CG, Finlay IG, Mckay AJ, Wilson N, McArdle CS.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physiotherapy for postoperative pulmonary complication. Br J Anesth 1983;55 Suppl:1113-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