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경기도 중.소하천의 계획홍수량 변화 분석
Analysis of Design Flood Change for the Small to Medium Size Rivers in Gyeonggi-do 원문보기

한국방재학회논문집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10 no.2, 2010년, pp.143 - 149  

박선희 (경기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원진영 (경기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송주일 (경기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  윤세의 (경기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천기본계획은 10년마다 재수립되고 있다. 경기도 지역의 중 소하천 중 최근 3년간 하천기본계획이 재수립 된 62개 중 소하천에 대하여 유역의 특성을 조사하고, 과거와 현재의 계획홍수량 및 계획강우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계획강우량이 감소한 유역 중에는 계획홍수량이 증가한 유역이 존재하였고, 이를 홍수량 재산정시의 유역자료 및 산정방법의 변화가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하고, 건건천 등 6개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자료 및 산정방법의 변화에 따른 홍수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계획홍수량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임계지속시간과 임의시간의 적용 그리고 유출곡선지수(CN)증가로 나타났고,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강우 시간분포형 중 Huff의 4분위법 적용과 면적감소계수(ARF)의 적용이었다. 계획홍수량 산정 시 임계지속시간 적용은 홍수량을 평균 60%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강우의 시간분포형을 Mononobe방법에서 Huff의 4분위법으로 하였을 때 평균 62%정도 홍수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어 임계지속시간 적용과 강우 분포형의 변화가 홍수량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영향인자들에 의한 홍수량 변화 경향이 유역에 따라 서로 다르게 분석되어 영향인자들과 홍수량 변화 사이에는 상관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유역별로 지형, 기상, 수문수리학적 특성치가 상이하기 때문으로, 결국 홍수량 변화는 이러한 인자들의 복합적 작용에 의해 변화하게 되므로 특정 하천지점에서 계획홍수량을 채택할 경우 보다 합리적인 방법들로 재 산정된 홍수량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river master plan was established every 10 years in Korea. The basin characteristics of 62 small and medium size rivers of which master plans were recently established during the past three years in Gyeonggi-do were investigated, and design rainfalls and design floods in the past and the latest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강우자료는 최근 수립된 보고서자료를 이용하고 홍수량 산정방법 및 자료는 과거의 것을 적용하면서 홍수량을 산정한 후 이를 현재 계획홍수량과 비교하여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인자가 무엇인지를 확인하였다. 강우분석방법에서 과거의 일우량 고정시간의 적용은 일최대강우량 자료를 이용하는 것이므로 임계지속시간을 적용 할 수 없기 때문에 산정된 홍수량에 임계지속시간을 적용하지는 않았다.
  • 본 연구에서는 과거와 현재 계획홍수량 중 합리적인 계획 홍수량을 채택 할 수 있도록 계획 홍수량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의 영향 정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한 자료는 경기도 중·소하천 중 최근 3년간 하천 기본계획이 재수립 된 하천들을 대상으로 과거의 하천기본계획과 최근 수립된 하천기본계획 보고서를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홍수량 산정에 대한 연구가 언제부터 활발히 진행되어 왔는가? 홍수량 산정에 대한 연구는 영국에서 Flood Studies Report(NERC, 1975)가 출간된 이후 활발히 진행되어 왔으며, 이를 개정한 Flood Estimation Handbook(CEH, 1999)에서는 광범위한 수문자료와 기법을 바탕을 홍수량 산정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강우 빈도해석, 홍수 빈도해석, 강우-유출해석 등을 통한 홍수량 산정에 대해서 자세히 기술하고 있 다.
하천기본계획은 몇년마다 재수립되고 있는가? 하천기본계획은 10년마다 재수립되고 있다. 경기도 지역의 중 소하천 중 최근 3년간 하천기본계획이 재수립 된 62개 중 소하천에 대하여 유역의 특성을 조사하고, 과거와 현재의 계획홍수량 및 계획강우량을 비교 분석하였다.
건건천 등 6개 유역을대상으로 유역자료 및 산정방법의 변화에 따른 홍수량의 변화를 분석한 결과는? 계획강우량이 감소한 유역 중에는 계획홍수량이 증가한 유역이 존재하였고, 이를 홍수량 재산정시의 유역자료 및 산정방법의 변화가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판단하고, 건건천 등 6개 유역을 대상으로 유역자료 및 산정방법의 변화에 따른 홍수량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계획홍수량의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임계지속시간과 임의시간의 적용 그리고 유출곡선지수(CN)증가로 나타났고, 감소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강우 시간분포형 중 Huff의 4분위법 적용과 면적감소계수(ARF)의 적용이었다. 계획홍수량 산정 시 임계지속시간 적용은 홍수량을 평균 60%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고, 강우의 시간분포형을 Mononobe방법에서 Huff의 4분위법으로 하였을 때 평균 62%정도 홍수량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분석되어 임계지속시간 적용과 강우 분포형의 변화가 홍수량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영향인자들에 의한 홍수량 변화 경향이 유역에 따라 서로 다르게 분석되어 영향인자들과 홍수량 변화 사이에는 상관성이 확인되지 않았다. 이는 유역별로 지형, 기상, 수문수리학적 특성치가 상이하기 때문으로, 결국 홍수량 변화는 이러한 인자들의 복합적 작용에 의해 변화하게 되므로 특정 하천지점에서 계획홍수량을 채택할 경우 보다 합리적인 방법들로 재 산정된 홍수량을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건설교통부 (2000) 1999년도 수자원관리기법개발연구조사 보고서, 제1권 한국확률강수량량도 작성. 

  2. 건설교통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0) 지역별 설계 강우의 시간 분포 연구보고서. 

  3. 건설교통부 (2006) 1999년도 수자원관리기법개발연구조사 보고서, 지역적 설계 강우의 시간적 분포. 

  4. 경기도 (2006a) 반월천수계 하천정비기본계획 보고서. 

  5. 경기도 (2006b) 벽계천수계 하천정비기본계획 보고서. 

  6. 경기도 (2006c) 오산천수계 하천기정비기본계획(변경) 보고서. 

  7. 경기도 (2006d) 진위천수계 하천정비기본계획 보고서. 

  8. 경기도 (2008a) 성덕천등4개 하천정비기본계획 보고서. 

  9. 경기도 (2008b) 청미천수계 하천기본계획 보고서. 

  10. 박기범, 김교식, 황성환, 차상화 (2006) 지형학적 인자에 따른 설계홍수량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1182-1186. 

  11. 박기범, 김교식, 황성환, 차상화 (2006) 지형학적 인자에 따른 설계홍수량 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1182-1186. 

  12. 양동률 (1981) 유역특성으로부터 확률홍수량의 유도에 관한 연구,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정대명 (2003) 시간-면적곡선의 유역유출해석 영향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6권, 제2호, pp.211-221. 

  14. 정승민 (2004) 유출곡선지수에 따른 홍수량 민감도 분석 : 흑천유역을 중심으로, 수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정종호, 윤용남 (2007) 수자원설계실무 

  16. 조국광, 권순국 (1990) 하천홍수량의 지역화를 위한 일반화회귀모 형의 개발, 한국수문학회지 제23권, 제1호, pp.79-87. 

  17. Centre for Ecology & Hydrology (1999) Flood Estimation Handbook. 

  18. NERC (1975) Flood Studies Report.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