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품영양학 전공 및 비전공 여대생의 식습관 및 건강관심도에 관한 비교 연구 - 삼육대학교를 중심으로 -
Comparative Study of Dietary Habits, Mini Dietary Assessment Scores, and Health Interest between Femal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and Other Departments, Sahmyook University 원문보기

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 Journal of the East Asian Society of Dietary Life, v.20 no.3, 2010년, pp.341 - 351  

신경옥 (삼육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근희 (삼육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삼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여대생(식품영양학 전공 여대생 79명과 비전공 여대생 77명) 총 156명을 대상으로 식품영양학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식습관, 식생활 평가, 음주와 흡연 등의 기호식품 섭취 및 건강 관심도에 관한 사항 등을 비교하기 위하여 2009년 9월부터 2009년 12월 사이에 실시하였다. 1. 전체 여대생들의 평균 신장과 체중은 각각 161.56${\pm}$4.42 cm, 51.98${\pm}$5.07 kg이었으며, 체질량지수는 19.92${\pm}$1.86 kg/$m^2$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식품영양 전공자와 비전공자의 신장, 체중 및 체질량지수 평균값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식품영양학 전공자는 비전공자에 비해 김치 이외의 채소를 식사 때마다 먹는 비율(39.2%)과 튀김이나 기름에 볶는 요리를 주 2회 이상 먹는 비율(38.0%)이 높았으며, 과일이나 과일 주스를 매일 먹는 비율(29.1%)과 삼겹살 갈비 등 지방이 많은 육류를 주 2회 이상 먹는 비율(15.2%)로 유의하게 낮았다(p<0.05). 3. 하루에 1회 정도 간식을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간식의 섭취에 있어서 식품영양전공자의 경우 우유 및 유제품(37.1%), 과일(40.0%), 패스트푸드 및 튀김류(25.7%)의 섭취가 비전공자에 비해 높게 섭취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p<0.05). 4. 식품영양 전공자의 영양소 섭취 상태는 비타민 C와 비타민 E의 섭취량이 높았으며, 비전공자의 경우 비타민 $B_1$과 콜레스테롤의 섭취량이 높게 조사되었다(p<0.05). 5. 식품영양 전공자는 7.6%만이 건강에 관심이 있다고 답하였으며, 건강을 유지하기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규칙적인 운동 35.5%, 규칙적인 식사 및 영양 보충 32.9%로 답하였다. 식품영양 전공자는 27.8%, 비전공자는 31.2%가 운동을 한다고 답하였으며, 운동은 일주일에 1~2회 하는 것(43.5%)으로 조사되었고, 1회 운동 시 소요되는 시간은 전체 조사 대상자의 45.7%가 30분~1시간 정도라고 답하였다. 6. 식품영양 전공자의 경우 24.1%, 비전공자의 경우 29.9%가 영양제를 복용하고 있었으며, 복용하고 있는 영양제의 종류로는 비타민제제가 69.1%로 가장 많이 차지하였다. 7. 본 연구에서는 여대생들이 흡연보다는 음주를 많이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에 응한 여대생의 87.8%는 음주를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음주를 하지 않는 여대생은 12.2%에 불과하였다. 특히 비전공자의 92.2%는 음주를 한다고 답하였다. 일반적으로 식품영양 전공 여대생들이 영양적 지식을 바탕으로 식품의 선택과 영양소 섭취량이 비전공 여대생에 비해 더 양호할 것으로 생각되나, 본 연구에서의 식품영양 전공 여대생들의 식생활 평가는 비전공자 여대생에 비해 아주 우수한 편은 아니었으며, 영양소 섭취 상태에서 식품영양 전공자들은 항산화물질인 비타민 C와 비타민 E의 섭취량이 높은 반면에, 비전공자들은 콜레스테롤의 섭취량이 높게 조사되었다. 따라서 식품영양 전공 여대생의 경우, 배운 지식을 실생활에 응용하여 적용할 수 있는 실질적인 방법의 유도가 필요하며, 식생활 개선을 위한 계기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비전공자의 경우 주입식의 지식보다는 경험을 통한 영양교육이 절실히 요구되며, 다양한 도구들은 이용한 식품영양에 관한 교양 수업의 방법이 도입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대중매체의 정확한 정보의 전달을 통해 누구나 쉽게 접할 수 있는 영양교육 형태도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dietary habits of 156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n=79) and other departments (n=77) at Sahmyook University, Nowon-gu, Seoul were evaluated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09. All participants completed a questionnaire designed to determine the mini dietary as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삼육대학교에 재학 중인 일부 여대생을 대상으로 식습관과 건강 관심도를 비교하여 수업 시간에 배운 영양적 지식이 실제 생활에 응용 정도 및 올바른 식생활 관리를 위한 영양교육의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CAN pro(Computerized Nutrient Analysis Program) 3.0. (2006)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 Cartwright M, Wardle J, Steggles N, Simon AB, Croker H, Jarvis MJ (2003) Stress and dietary practices in adolescents. Health Psychol 22: 362-369. 

  3. Choi KS, Shin KO, Chung KH (2008) Comparison of the dietary pattern, nutrient intakes, and blood parameter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BMI) of college women in Seoul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 1589-1598. 

  4. Choi MS, Choi DJ (1999) A study on dietary attitudes, food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of food and nutrition major and non-major female students. Korean J Food & Nutr 12: 306-311. 

  5. Chung SH, Chang KJ (2002) A comparison between food and nutrition major, and non-maj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erms of their nutrient intakes and hematological status with an emphasis on serum iron. Korean J Nutr 35: 952-961. 

  6. Chyun JH, Woo KJ, Choe EO (2000) A study on obesity rate and self-evaluated body shape of woman living in Inchon. Korean J Dietary Culture 15: 361-367. 

  7. Gibson EL, Wardle J (2001) Effect of contingent hunger state on development of appetite for a novel fruit snack. Appetite 37: 91-101. 

  8. Jung IK, Lee LH (2002) A study on consumption behavior of milk and dairy products in college students. Korean J Food Culture 17: 551-559. 

  9. Kang NE, Jeong EJ, Song YS (1992) Differences in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s between nutrition major college women and non-major college women. Korean J Food & Nutr 5: 116-122. 

  10. Kim HK (2000) Effect of nutrition course on food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college students. J Human Ecology university of Ulsan 1: 15-30. 

  11. Kim HY, Kim JH (2005) Food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the dormitory in Uls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 1388-1397. 

  12. Kim MK, Choi BY, Lee SS (1992) A study on nutrition supplements usage and related factors in Seoul, Korea. Korean J Nutr 25: 264-274. 

  13. Kim SH (1994) Patterns of vitamin/mineral supplements usage among the middle-aged in Korea. Korean J Nutr 27: 236-252. 

  14. Kim SH (1997) Patterns of dietary fat intake by university female students living in Kongju city: Comparisons among groups divided by arrangement. Korean J Nutr 30: 286-298. 

  15. Kim WK, Kim HY, Kim MJ, Kim SH (1999) Effects of vitamin E supplementation on antioxidant status immune responses in female athletes. Korean J Nutr 32: 781-786. 

  16. Kim WY (1984)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Korean J Nutr 17: 178-184. 

  17. Kim WY, Cho MS, Lee HS (2003)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mini dietary assessment index for Koreans. Korean J Nutr 36: 83-92. 

  18. Lee KS, Kim KN (1997) Effects of nutrition education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food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2: 86-93. 

  19. Lee MS, Woo MK (1999) Change in food habit, nutrition knowledge and nutrition attitude of university students during nutrition course. Korean J Nutr 32: 739-745. 

  20. Lee MY, Kim JS, Lee JH, Cheong SH, Chang KJ (2001) A study on usage of dietary supplements and related factors in college students attending web class via internet. Korean J Nutr 34: 946-955. 

  21. Lee SH, Chang NS (2007) Effectiveness of nutrition education on dietary habits and diet quality in the weight loss and weight gain groups in college women. Korean J Nutr 40: 463-474. 

  22. Lee SS, Kim MK, Lee EK (1990) Nutrient supplement usage by the Korean adults in Seoul. Korean J Nutr 23: 287-297. 

  23. Lee YN, Choi H (199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the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Korean J Dietary Culture 9: 1-10. 

  24. Lim Y, Oh SY (2002) Development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preschool children in Korea. Korean J Community Nutr 7: 58-66. 

  25. Mitchell SJ (1990) Changes after taking a college basic nutririon course. J Am Diet Assoc 90: 955-961. 

  26. Park SM, Yu JG, Lee JY (1998) Analysis of factors to influence requirements of vitamin E and vitamin C in young and healthy men and women. Korean J Nutr 31: 729-738. 

  27. Shim JE, Paik HY, Lee SY, Moon HK, Kim YO, Kwon HH, Kim JH (2001) Assessment of vitamin A and E status in Korean rural adult population by dietary intake and serum levels. Korean J Nutr 34: 213-221. 

  28. Skinner JD (1991) Changes in students' dietary behavior during a college nutrition course. J Nutr Educ 23: 72-75. 

  29. Soliah LA, Newell GK, Vaden AG, Dayton AD (1983) Establishing the need for nutrition education: II. Elementary teachers' nutrition knowledge, attitudes, and practices. J Am Diet Assoc 83: 447-453. 

  30. Song YS (1986) The effect of nutrition course on the nutrition knowledge and food habits in college students. Korean J Nutr 19: 420-426. 

  31.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06)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Korea. 

  32. Yu CH, Lee JS (2004) A study on the nutritional statu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in Korean college women. Korean J Nutr 37: 899-907. 

  33. Zizza CA, Tayie FA, Lino M (2007) Benefits of snacking in older Americans. J Am Diet Assoc 107: 800-80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