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품영양전공과 비전공 여대생의 BMI에 따른 식습관 및 영양소 섭취 상태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를 중심으로-
A Study on Food Habits and Nutrient Intakes according to BMI in Food and Nutrition Major and Non-major Female Students in Kyungnam University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9 no.4, 2014년, pp.297 - 316  

서은희 (경남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경남 마산에 위치한 경남대학교에 재학 중인 식품영양전공여대생(147명)과 비전공여대생(155명)의 BMI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 여대생들의 식품선택에 있어서 올바른 선택과 균형 잡힌 식습관의 정립을 위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영양교육을 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신체계측, 신체이미지와 식습관, 식사섭취빈도, 영양지식, 영양소 섭취상태를 평가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체 조사대상자의 신장과 체중은 각각 161.5 cm, 53.2 kg으로 조사되었고 전공여대생은 161.5 cm, 55.1 kg, 비전공여대생은 161.5 cm, 51.3 kg이었으며 체중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 0.001). 2. 조사대상자 57.3%는 자신의 체형이 보통이다고 인식하였으며 37.7%는 뚱뚱하다고 인식하였다. 전공여대생 저체중군의 67.9%가 자신이 보통이다, 14.3%가 자신이 뚱뚱하다고 평가하였으며 정상 체중군에 속하면서 28%가 뚱뚱하다고 인식하였으며 과체중/비만군의 7.9%가 자신이 보통이라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비전공여대생은 저체중군의 59.2%가 자신이 보통이다, 20.4%가 자신이 뚱뚱하다, 정상체중군의 35.4%가 뚱뚱하다, 과체중/비만군의 20%가 자신이 보통이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식습관 중 평소 거르는 끼니에 대한 질문에서 전체 대상자의 77.2%가 아침을 거르며 평균 식사시간은 10분~20분 미만이 전체 대상자의 63.6%로 가장 많았으며 20분 이상은 전공여대생 과체중군이 높았으며 10분 미만은 비전공여대생 과체중군이 가장 높았다. 스트레스를 받은 후 선호하는 맛은 전공, 비전공여대생 모두 매운맛, 단맛 순으로 조사되었다. 3. 조사대상자의 영양지식점수를 보면 20점 만점에 전체 조사대상자 $16.2{\pm}2.4$, 전공여대생 $16.8{\pm}2.2$, 비전공여대생 $15.6{\pm}2.4$으로 유의한 차이(p < 0.001)를 보여 전공여대생이 비전공여대생에 비해 영양지식 수준이 높았으며 식품섭취빈도합계는 전체대상자 중 전공여대생이 비전공여대생에 비해 전체적으로 높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조사대상자의 열량 및 영양소 섭취상태를 분석한 결과 나트륨, 비타민 B6, 콜레스테롤 이외 모든 영양소 섭취에서 전공여대생의 섭취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칼슘(p < 0.05), 아연(p < 0.001), 비타민 C(p < 0.001), 비타민 E(p < 0.01)는 유의적으로 높았다. 섭취열량의 전체 평균은 $1208.9{\pm}435.0kcal$, 전공여대생이 $1234.0{\pm}436.7kcal$, 비전공여대생 $1185.2{\pm}433.5kcal$로 유의적이진 않지만 약간 높게 섭취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MI에 따른 유의적 차이는 없었으며 전공여대생은 저체중군 1342 kcal, 정상군 1183 kcal, 과체중/비만군 1261 kcal, 비전공여대생은 각각 1176 kcal, 1194 kcal, 1132 kcal로 조사되었다. 전공여대생 에너지비율은 당질 : 단백질 : 지질 = 57.6 : 16.6 : 28.2, 비전공여대생 당질 : 단백질 : 지질 = 57.8 : 17.7 : 27.5이었으며 특히 전공여대생 과체중/비만군이 당질 : 단백질 : 지방 = 58.9 : 14 : 28.4로 에너지 섭취에 대한 지방비율이 가장 높은 경향을 보였다. 식이섬유는 전공, 비전공여대생의 과체중/비만 군이 각각 10.2 g, 8.8 g으로 가장 낮게 섭취하였으며 칼슘은 전공, 비전공여대생 각각 310.6 mg, 265.6 mg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특히 비전공여대생 과체중/비만군 226.4 mg으로 낮았다. 인 섭취는 전공여대생 583.2 mg, 비전공여대생 545.8 mg, 철분은 각각 7.9 mg, 7.3 mg, 나트륨은 각각 2298.8 mg, 2461.6 mg으로 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body image, food habits, nutrition knowledge, food intake frequency, nutrient intake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Masan. Methods: Two groups (n = 302, nutrition major: 147, non-major: 155) were classified into underweight, normal weight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자신의 체형에 관심이 많은 경남대학교 식품영양전공여대생과 비전공여대생을 대상으로 BMI에 따른 신체이미지, 식습관, 식품섭취 빈도, 영양지식도, 영양소 섭취상태 등을 조사하고 그들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앞으로 가족과 사회의 식생활관리자로서 매우 중요한 위치에 있는 여대생들의 올바른 식습관 형성과 건강 증진을 위한 영양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경남 마산에 위치한 경남대학교에 재학 중인 식품영양전공여대생(147명)과 비전공여대생(155명)의 BMI 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 여대생들의 식품선택에 있어서 올바른 선택과 균형 잡힌 식습관의 정립을 위해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영양교육을 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신체계측, 신체이미지와 식습관, 식사섭취빈도, 영양지식, 영양소 섭취상태를 평가하였으며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여대생들이 무리한 다이어트로 어떤 부작용에 직면하고 있는가? 최근 들어 경제 성장과 사회적 수준이 높아지면서 웰빙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여 음식의 양보다 질적인 면을 추구하는 경향이 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식품 선택에 대한 올바른 정보 전달을 위해 영양교육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지만 여대생들은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성인보다 적은 편이다(Shin & Park 1995; Park 등 2004; Chung 등2010). 특히 여대생들은 아주 마른 체형에 대한 이른바 ‘몸짱’ 이라는 사회적 열풍으로 잘못된 신체 이미지에 대한 환상을 가지게 되면서 무리한 다이어트로 인한 저체중, 다이어트의 반복에 의한 요요현상을 동반한 비만, 골다공증, 영양부족, 빈혈, 생리 불순, 대인 기피증, 심리적 불안과 우울증 등 심각한 부작용에 직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러 선행 연구(Kim & Seo 2004; Kim 2005; Kim 2006; Hwang & Lee 2007; Kim 2009; Park 2009; Ahn & Park 2009; Choi 2013)에 따르면 대학생은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 중요한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불규칙한 식사, 아침 결식, 부적당한 간식, 폭식 등 바람직하지 못한 생활습관과 식습관을 가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대생들이 무리한 다이어트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최근 들어 경제 성장과 사회적 수준이 높아지면서 웰빙에 대한 관심이 크게 증가하여 음식의 양보다 질적인 면을 추구하는 경향이 늘고 있으며 이와 관련하여 식품 선택에 대한 올바른 정보 전달을 위해 영양교육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지만 여대생들은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성인보다 적은 편이다(Shin & Park 1995; Park 등 2004; Chung 등2010). 특히 여대생들은 아주 마른 체형에 대한 이른바 ‘몸짱’ 이라는 사회적 열풍으로 잘못된 신체 이미지에 대한 환상을 가지게 되면서 무리한 다이어트로 인한 저체중, 다이어트의 반복에 의한 요요현상을 동반한 비만, 골다공증, 영양부족, 빈혈, 생리 불순, 대인 기피증, 심리적 불안과 우울증 등 심각한 부작용에 직면하고 있는 실정이다. 여러 선행 연구(Kim & Seo 2004; Kim 2005; Kim 2006; Hwang & Lee 2007; Kim 2009; Park 2009; Ahn & Park 2009; Choi 2013)에 따르면 대학생은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 중요한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불규칙한 식사, 아침 결식, 부적당한 간식, 폭식 등 바람직하지 못한 생활습관과 식습관을 가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대생들의 체형 인식에 대한 지나친 불만과 관련된 통계조사는 무엇인가? 여러 선행 연구(Kim & Seo 2004; Kim 2005; Kim 2006; Hwang & Lee 2007; Kim 2009; Park 2009; Ahn & Park 2009; Choi 2013)에 따르면 대학생은 청소년기에서 성인기로 넘어가는 중요한 시기임에도 불구하고 불규칙한 식사, 아침 결식, 부적당한 간식, 폭식 등 바람직하지 못한 생활습관과 식습관을 가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여러 연구(Cho 2003; Kim 등 2007; Rhee 2007; Yoon 2008; Hong 등 2011; Jang 2013)에서 왜곡된 신체상을 가지고 있어 정상 체중에 포함되지만 스스로를 비만으로 생각하는 비율이 높다고 하였으며 특히 Hong 등(2011)의 인천지역 여대생연구에서 저체중에 해당하면서도 보통이다고 인식하고 있는 비율이 52%나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9)

  1. Ahn BR, Park ES (2009): Perception of body weight control, life styles, and dietary habits according to the obesity index (OI) of female college students. J Korean Living Sci Assoc 18(1): 167-179 

  2. Ahn Y, Kim H, Kim K (2005): A study of weight control and associated factors among high school femal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0(6): 814-824 

  3. Bowman SA (2002): Beverage choices of young females: changes and impact on nutrient intakes. J Am Diet Assoc 102(9): 1234-1239 

  4. Burton S, Creyer EH, Kees J, Huggins K (2006): Attacking the obesity epidemic: the potential health benefits of providing nutrition information in restaurants. Am J Public Health 96(9): 1669-1675 

  5. Cheong SH, Kwon W, Chang KJ (2002):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etary attitudes, dietary behaviors and diet qualities of food and nutrition major and non-maj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7(3): 293-303 

  6. Chin JH, Chang KJ (2005): College students' attitude toward body weight control, health-related lifestyle and dietary behavior by self-perception on body image and obesity index.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10): 1559-1565 

  7. Choi JH, Kim SK (2008): Comparison of the dietary factors between normal and osteopenia groups by bone mineral density in Korean female college students.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7): 869-878 

  8. Choi KS, Shin KO, Chung KH (2008): Comparison of the dietary pattern, nutrient intakes, and blood parameter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BMI) of college women in Seoul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7(12): 1589-1598 

  9. Choi MS, Choi DJ (1999): A study on dietary attitudes, food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of food and nutrition major and non-major female students. Korean J Food Nutr 12(3): 306-311 

  10. Choi SH (2013): A study of correlation among eating habit, health habit, and nutrition education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with normal weight. MS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pp. 10-40 

  11. Choi YS, Yoo YJ, Kim JG, Nam SM, Jung ME, Chung CK (2001): Food preferences and nutrient intakes of college students in Kangwon province.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1): 175-182 

  12. Cho JY, Song JC (2007): Dietary behavior, health status, and perceived stress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Food Nutr 20(4): 476-486 

  13. Cho YJ (2003): The comparative study on perception and satisfaction of somatotype of university woman students. J Korean Home Econ Assoc 41(11): 73-80 

  14. Chung CE (2006): Ready-to-eat cereal consumption enhances milk and calcium intake in Korean population from 2001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Korean J Nutr 39(8): 786-794 

  15. Chung KH, Shin KO, Jung TH, Choi KS, Jeon WM, Chung DK, Lee DS (2010): Study on the dietary habit, nutrient intake, and health status according to their majors among college women in Sahmyook university. J Korean Soc Food Sci Nutr 39(6): 826-836 

  16. Chung SH, Chang KJ (2002): A comparison between food and nutrition major, and non-major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terms of their nutrient intakes and hematological status with an emphasis on serum iron. Korean J Nutr 35(9): 952-961 

  17. Fenton TR, Lyon AW (2011): Milk and acid-base balance: proposed hypothesis versus scientific evidence. J Am Coll Nutr 30(5 Suppl 1): 471S-475S 

  18. Her ES, Kang HJ, Lee KH (2003): The factors associated with weight control experiences among adolescents: based on selfesteem, body-cathexis, attitudes toward the body, anthropometric characteristics and perceptions of body shape. Korean J Community Nutr 8(5): 658-666 

  19. Hong MS, Pak HO, Sohn CY (2011): A study on food behaviors and nutrient intake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and body image recognition in female university students from Incheon. Korean J Food Nutr 24(3): 386-395 

  20. Hong MS, Pak HO, Sohn CY (2012): Comparative study of food behaviors and nutrients intake according to the bone mineral density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Food Nutr 25(1): 156-162 

  21. Hwang JH, Lee HM (2007): A study on lifestyles, dietary habits, nutrition knowledge and dietary behaviors of male university students according to residence type. Korean J Community Nutr 12(4): 381-395 

  22. Jang JH (2013): Study on eating habits, knowledge of obesity and its stress in BMI of female college student. MS Thesis, Seokyeong University, p.19 

  23. Jung YM, Chung KS, Lee SE (2005): Comparison of health behavior, body composition and body image in college women by BMI (body mass index). J Korean Soc Health Educ Promot 22(1): 87-102 

  24. Kang HJ, Byun KW (2010): Effect of two-year course of food and nutrition on improving nutrition knowledge, dietary attitudes and food habits of junior college femal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5(6): 750-759 

  25. Kim BR (2006): A study on nutrition knowledge, dietary habits, health-related life style and health condition of college students in Chunche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9): 1215-1223 

  26. Kim HK (1999): Effect of nutrition course on food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college students. J Hum Ecol 1(2): 15-30 

  27. Kim HS, Lee EY, Kim K, Kim KW, Pyun J, Chung SJ, Kwon YH, Yeo I, Lee S, Nam K (2013): Survey on dietary behaviors and intakes of instant noodle (Ramyeon) soup among colleg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8(4): 365-371 

  28. Kim HK, Kim JH (2005): Food habits and nutrition knowledge of college students residing in the dormitory in Uls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4(9): 1388-1397 

  29. Kim JN, Seo JH (2004): A study on the life style and bone mineral density of women college students by body mass index. Food Ind Nutr 9(2): 41-45 

  30. Kim JY, Son SJ, Lee JE, Kim JH, Jung IK (2009): The effects of body image satisfaction on obesity stress, weight control attitudes, and eating disorders among female junior high school students. J Korean Home Econ Assoc 47(4): 49-59 

  31. Kim KH (2003): A study of the dietary habits, the nutritional knowledge and the consumption patterns of convenience foods of university students in the Gwangju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8(2): 181-191 

  32. Kim KW, Shin EM (2002): A study on nutrition knowledge, nutritional attitudes, dietary behavior and dietary intake by weight control attempt among middle school female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7(1): 23-31 

  33. Kim MH, Lee YS (2006): A study on the nutrient intake and food habits of college students in Chung-nam area. Korean J Community Living Sci 17(3): 143-158 

  34. Kim MJ, Jun HY, Rha HB (2013): Comparison of serum adiponectin levels according to body mass index and dietary behavior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18(4): 354-364 

  35. Kim MS (2005): Eating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by economic environment. Korean J Food Cookery Sci 21(2): 125-138 

  36. Kim SH (2009): A survey on dietary behaviors and liquid consumptions of university students in Kongju of Chungnam province in Korea. Korean J Nutr 42(4): 327-337 

  37. Kim SY, Lee HM, Song KH (2007): Body image recognition and dietary behaviors of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 Korean J Community Nutr 12(1): 3-12 

  38. Kim UK, Nam HW, Park YS, Myung CO, Lee KW (2002): Nutrition across the life span, Daejeon, Shinkwang, p. 53 

  39. Kwak HK, Lee MY, Kim MJ (2011): Comparisons of body image perception, health related lifestyle and dietary behavior based on the self-rated health of university students in Seoul. Korean J Community Nutr 16(6): 672-682 

  40. Lim MY, Nam YS, Kim SS, Chang NS (2004): Vitamin B status and serum homocysteine levels in infertile women. Korean J Nutr 37(2): 115-122 

  41.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1): Korea Health Statistics 2010: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1),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42.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0): Korea Health Statistics 2009: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3), Cheongwon,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43. Nam HJ, Kim YS (2005):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of eating disorder and severity of state-trait anxiety. Korean J Food Nutr 18(3): 229-240 

  44. Park E, Cheong HS, Shin DS (2004): A study on health condition and nutritional status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Masan a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33(9): 1501-1514 

  45. Park ES (2013): A study of the body weight perception, living habits and food intake frequency by residence type in female college students of Chenbuk area. Korean J Hum Ecol 22(1): 215-230 

  46. Park KA (2009): Dietary habits, body weight satisfaction and eating disorders according to the body mass index of female university students in Kyungnam province. J East Asian Soc Diet Life 19(6): 891-908 

  47. Park MS, Kim SA (2005):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on improving diet behavior of university students. Korean J Community Nutr 10(2): 189-195 

  48. Rhee JH (2007): A study on effects of somatotypes and stress on body cathexis and preferences of clothing image. Res J Costume Cult 15(6): 1084-1099 

  49. Rierdan J, Koff E (1997): Weight, weight-related aspects of body image, and depression in early adolescent girls. Adolescence 32(127): 615-624 

  50. Shin KO, Chung KH (2010): Comparative study of dietary habits, mini dietary assessment scores, and health interest between female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food and nutrition and other departments, Sahmyook university. J East Asian Soc Diet Life 20(3): 341-351 

  51. Shin YJ, Park GS (1995): A study on eating habits of businessmen in urban areas. Korean J Diet Cult 10(5): 435-442 

  52. Song WO, Chun OK, Obayashi S, Cho S, Chung CE (2005): Is consumption of breakfast associated with body mass index in US adults? J Am Diet Assoc 105(9): 1373-1382 

  53. Sung MJ, Chang KJ (2006): Correlations among life stress, dietary behaviors and food choice of college students. J East Asian Soc Diet Life 16(6): 655-662 

  54.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2010): Dietary reference intakes for Koreans. Seoul, The Korean Nutrition Society 

  55. Wang SG, Koo NS (1994): A study on the foods and nutrient intake of college students. Nat Sci 5: 139-154 

  56. World Health Organization (2000): Obesity. Preventing and Managing the Global Endemic. WHO Technical Report Series no 894. WHO, Geneva http://www.wpro.who.int/nutrition/documents/docs/ Redefiningobesity.pdf [cited ] 

  57. Yeon JY, Hong SH, Bae YJ (2012): A study on nutritional status and dietary quality of university students by body image. Korean J Community Nutr 17(5): 543-554 

  58. Yoon HJ (2007): A study on female college students' recognition on obesity and countermeasure. MS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p. 3 

  59. Zhang Q, Ma G, Greenfield H, Zhu K, Du X, Foo LH, Hu X, Fraser DR (2010): The association between dietary protein intake and bone mass accretion in pubertal girls with low calcium intakes. Br J Nutr 103(5): 714-7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