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소 단어 이상 선택하여야 합니다.
최대 10 단어까지만 선택 가능합니다.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Journal of the semiconductor & display technology, v.9 no.3, 2010년, pp.75 - 78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ZnO-based MOS capacitor with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기존의 실리콘을 사용하는 TFT-LCD나 EL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연구되고 있는 물질은 어떤 것인가? | 최근 대면적 평면 디스플레이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면서 기존의 실리콘을 사용하는 TFT-LCD나 EL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ITO, AZO 등 투명한 전도성 산화물질(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및 투명한 능동층 구현 용 다결정 또는 비정질 형태의 산화금속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ZnO는 비교적 우수한 전도성, 3. | |
ZnO 박막을 능동층으로 하고 HfO2, Al2O3 등을 유전체로 사용한 MIM 커패시터 및 MOS 커패시터는 어떤 특성을 나타냈는가? | 본 연구에서는 ZnO 박막을 능동층으로 하고 HfO 2 , Al 2 O 3 등을 유전체로 사용한 MIM 커패시터 및 MOS 커패시터를 제작하여 특성을 분석하였다. 우선 MIM 커패시터의 경우 유전체 박막의 두께에 따라 percolation 현상에 의해 게이트 누설전류는 크게 증가하고 항복전계값은 감소하였다. 또한 유전체 증착 후 열처리를 하는 경우 박막 내의 micro void가 성장하여 특성이 급격히 감소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면 MOS 커패시 터의 경우 같은 조건으로 제작한 MIM 커패시터에 비해 누설전류가 큰 것으로 조사되어 ZnO 박막과 유전체 간 경계면에서의 반응에 따라 전기적 특성이 저하 됨을 알 수 있었다. 커패시터의 특성은 ZnO 박막 표면을 UV 오존으로 처리함에 따라 변화하여 게이트 누설 전류가 크게 감소하며 특히 문턱전압의 경우 음의 값에서 양의 값으로 변화하는 것을 관찰하였다. 이는 곧 ZnO 박막 표면을 UV 오존이나 산소 플라즈마 등으로 처리하여 enhancement 모드 TTFT 제작이 가능함을 암시하는 것이다. | |
ZnO는 어떤 특징을 갖고 있는가? | 최근 대면적 평면 디스플레이에 대한 관심이 점점 높아지면서 기존의 실리콘을 사용하는 TFT-LCD나 EL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ITO, AZO 등 투명한 전도성 산화물질(Transparent Conductive Oxide; TCO) 및 투명한 능동층 구현 용 다결정 또는 비정질 형태의 산화금속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ZnO는 비교적 우수한 전도성, 3.37eV의 광대역 에너지 갭, 높은 광 흡수계수, 상온에서의 큰 exciton 결합 에너지(60 meV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GaN의 exciton 결합에너지인 26 meV 보다 훨씬 커서 상온에서 두 배이상의 빛 방출이 가능), 대면적 기판의 활용 가능성 등의 특징을 갖고 있어 태양열판, 발광 다이오드, 레이저, 광 감지기, UV-검출기 등과 같은 많은 응용분야에 서 연구와 시제품 제작이 이루어지고 있다[1-4]. |
W. Yang, Z. Liu, D.-L. Peng, F. Zhang, H. Huang, Y. Xie, Z. Wu, Appl. Surf. Sci. 255, 5669 (2009)
S. H. Cha, M. S. Oh, K. H. Lee, S.-I. Im, B. H. Lee, and M. M. Sung, Appl. Phys. Lett. 92, 23506 (2008)
D.-H. Kang, H. Lim, C.-J. Kim, I.-H. Song, J.-C. Park, Y.-S. Park, and J.-H. Chung, Appl. Phys. Lett. 90, 192101 (2007)
E.-J. Yun, H.-S. Park, K. H. Lee, H. G. Nam, and M. Jung, J. Appl. Phys. 103, 73507 (2008).
Y. J. Zeng, Z. Z. Ye, W. Z. Xu, B. Liu, Y. Che, L. P. Zhu and B. H. Zhao, Materials Lett. 61, 41 (2007)
B. Yao, L. X. Guan, G. Z. Xing, Z. Z. Zhang, B. H. Li, Z. P. Wei, X. H. Wang, C. X. Cong, Y. P. Xie, Y. M. Lu, and D. Z. Shen, J. Luminescence 122-123, 191 (2007)
T. Hirao, M. Furuta, H. Furuta, and T. Matsuda, SID Symp. Digest Tech. Papers 37 (1), 18 (2006)
Y. Kwon, Y. Li, Y. W. Heo, M. Jones, P. H. Holloway, D. P. Norton, Z. V. Park, and S. Li, Appl. Phys. Lett. 84 (14), 2685 (2004)
S. Lombardo, J. H. Stathis, B. P. Linder, K. L. Pey, F. Palumbo, and C. H. Tung, J. Appl. Phys. 98, 121301 (2005)
C. H. Park, K. H. Lee, M. S. Oh, K. Lee, S. Im, B. H. Lee, M. M. Sung, IEEE Elect. Dev. Lett. 30 (1), 30 (2009)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