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ZO 박막의 표면 거칠기에 따른 OLED 소자의 특성
Effect of surface roughness of AZO thin films on the characteristics of OLED device 원문보기

반도체디스플레이기술학회지 = Journal of the semiconductor & display technology, v.9 no.4, 2010년, pp.25 - 29  

이봉근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신소재공학과) ,  이규만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신소재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 have investigated the effect of surface roughness of TCO substrate on the characteristics of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devices. In order to control the surface roughness of AZO thin films, we have processed photo-lithography and reactive ion etching. The micro-size patterned mask was 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AZO 박막의 표면 거칠기에 따라서 OLED 소자의 전기적 및 광학적 특성이 어떠한 영향을 받는지를 조사하였다. 표면 거칠기를 인위적으로 조절하기 위하여 반도체 공정인 노광 및 에칭 공정을 이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박막형 디스플레이 구성에 있어 무엇이 필수적인가? 박막형 디스플레이 구성에 있어서 투명전극은 필수적인 요소로서 투명전극 재료에 대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 중이다[1]. 디스플레이 소자에 사용되는 투명전극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빛을 소자 외부로 방출시키거나, 태양광 등을 소자 내부로 입사시켜야 한다.
투명전극이 정보를 표시하기 위해 무엇을 해야하는가? 박막형 디스플레이 구성에 있어서 투명전극은 필수적인 요소로서 투명전극 재료에 대한 연구가 최근 활발히 진행 중이다[1]. 디스플레이 소자에 사용되는 투명전극은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빛을 소자 외부로 방출시키거나, 태양광 등을 소자 내부로 입사시켜야 한다. 따라서 전극을 형성하는 박막은 높은 광투과율과 ~10-4Ω cm 수준의 낮은 전기비저항을 가져야 한다.
Indium Tin Oxide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무엇이 연구 개발되고 있는가? 또한 인듐 (In)의 독성, 저온증착의 어려움, 스퍼터링시 음이온 충격에 의한 막손상으로 저항의 증가 및 액정 디스플레이의 투명전극으로 사용될 경우 400℃ 정도의 높은 온도와 수소 플라즈마 분위기에서 장시간 노출 시 열화로 인한 광학적 특성변화가 문제점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써 ZnO 산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투명전극 개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ITO를 대체할 수 있을 가능성이 보고되고 있다[2]. 하지만 ZnO 박막은 ITO박막과 비교하여 비저항이 높기 때문에 도핑을 이용하여 비저항을 ~10-4Ω cm 까지 낮추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S. Kawamura, J. Sakurai, M. Nakano, and M. Takagi "Recrystallization of Si on amorphous substrates by doughnut-shaped cw Ar laser beam", Appl. Phys. Lett. 40, pp. 394, 1982. 

  2. J. Hinze, and K. Ellmer, "In situ measurement of mechanical stress in polycrystalline zinc-oxide thin films prepared by magnetron sputtering", J. Appl. Phys., 88, pp. 2443, 2000. 

  3. G.A. Hirata, J. McKittrick, T. Cheeks, J.M. Siqueiros, J.A. Diaz, O. Contreras and O.A. Lopez, "Synthesis and optoelectronic characterization of gallium doped zinc oxide transparent electrodes", Thin Solid Films , 288, pp. 29, 1996. 

  4. T. Sasabayashi, N. Ito, E. Nishimura, M. Kon, P. K. Song, K. Utsumi, A. Kaijo, and Y. Shigesato, "Comparative study on structure and internal stress in tin-doped indium oxide and indium-zinc oxide films deposited by r.f. magnetron sputtering," Thin Solid Films, 445, pp. 219, 2003. 

  5. T. Moriga, M. Mikawa, Y. Sakakibara, Y. Misaki, K. I. Murai, I. Nakabayashi, K. Tominaga, and J. B. Metson, "Effects of introduction of argon on structural and transparent conducting properties of ZnO- $In_{2}O_{3}$ thin films prepared by pulsed laser deposition", Thin Solid Films, 486, pp. 53, 2005. 

  6. F. K. Shan and Y. S. Yu, "Band gap energy of pure and Al-doped ZnO thin films", J. European Ceram. Soc., 24, pp. 1869, 2004. 

  7. J. Hu and R. G. Gordon, "Textured aluminum-doped zinc oxide thin films from atmospheric pressure chemical-vapor deposition", J. Appl. Phys., 71, pp. 880, 1992. 

  8. X. Jiang, F. L. Wong, M. K. Fung, and S. T. Lee, "Aluminum-doped zinc oxide films as transparent conductive electrode for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Appl. Phys. Lett., 83, pp. 1875, 2002. 

  9. Y. Choi, "Growth and Preferred Orientation of ITO Thin Film Deposited by D.C. Magnetron Sputtering", J. Kor. Inst. Met. & Mater., 45, pp. 559-586, 2007. 

  10. H. Ko, W. P. Tai, K. C. Kim, S. H. Kim, S. J. Suh, and Y. S. Kim, "Growth of Al-doped ZnO thin films by pulsed DC magnetron sputtering," J. Cryst. Growth, 277, pp. 352,2005. 

  11. C. H. Jonda, A. B. R. Mayer, and U. Stolz, "Surface roughness effects and their influence on the degradation of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s," J. Mat. Sci., 35, pp. 5645. 2000 

  12. B. Y. Oh, M. C. Jeong, W. Lee, and J. M. Myoung, "Properties of transparent conductivw ZnO:Al films prepared by co-sputtering," J. Cryst. Growth, 274, pp. 453, 2005. 

  13. X. T. Hao, L. W. Tan, K. S. Ong, and F. Zhu, "High-performance low-temperature transparent conducting aluminum doped ZnO thin films and applications," J. Cryst. Growth, 287, pp. 44, 200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