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멀리건 도수치료가 여성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통증과 근 기능평가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ulligan manual therapy on pain and muscle assessment questionnaire in female elders with osteoarthritis of the knee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 v.21 no.4, 2010년, pp.641 - 650  

마상렬 (세우리병원 물리치료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퇴행성 슬관절염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물리치료와 멀리건 도수치료를 병용하여 4주간 실시한 후 운동전, 2주 후, 그리고 4주 후에 통증과 근 기능평가 측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측정은 시각적 상사 척도 검사, 근력 검사, 근 기능 검사, 그리고 협응력/균형감을 검사하였다. 반복측정자료 분산분석 결과, 물리치료와 멀리건 도수치료를 병용한 실험군에서 중재기간에 따라 효과적 이었으며, 시간과 그룹 간 상호작용도 있었다. 퇴행성 슬관절염의 통증과 근 기능평가를 개선시키기 위해 물리치료와 멀리건 도수치료 병용 시 효과적이란 것을 검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whether Mulligan manual therapy and Physical therapy have effectiveness on the pain and muscle assessment questionnaire in female elders with osteoarthritis of the knee. Thirty subjec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ey were all randomly divided into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퇴행성 슬관절염에 대한 운동치료를 이용한 근력강화 연구는 다수 있었으나 도수치료기법으로 Mulligan 도수치료를 객관적으로 연구한 논문은 드문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퇴행성 슬관절염으로 진단받고 슬관절의 기능적 제한과 통증을 동반한 환자에게 Mulligan 도수치료를 적용하여 기능적 회복과 통증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Mulligan 도수치료를 적용하여 기능적 회복과 통증 감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연구에서 연구 대상자는 어떤 조건을 만족 해야 하나요? 1) 독립적 일상생활동작이 가능하고, 슬관절 통증은 있으나 관절 가동 범위에 제한이 없는 자 2) 규칙적으로 운동을 하고 있지 않는 자 3) 슬관절 수술 병력이 없는 자 4) 최근 1개월 전에 스테로이드 주사를 맞은 병력이 없는 자 5) 균형과 보행에 영향을 줄만한 신경학적 손상이 없는 자 6) 환자의 상태가 운동을 하기에 적절하다고 의사의 진단을 받은 자 7) 퇴행성 슬관절염의 증상 정도가 Lequense 지수<7인 대상자
퇴행성 관절 질환은 어떤 질환인가요? 퇴행성 관절 질환은 유동성 관절연골의 황폐 및 마모와 관절면의 신생골 형성으로 특징 지워지는 비 염증성 질환으로, 관절연골의 세포외 기질과 연골세포에 의한 합성 및 퇴행과정의 불균형과 관련된 역학적 측면과 생물학적 측면의 결과이다 (Mollenhaer과 Erdmann, 2002). 이러한 퇴행성 관절염은 체중부하가 많은 슬관절이 가장 높고, 그 다음 척추관절과 고관절 순으로 나타나며 (Felson 등, 1995), 슬관절에서 퇴행성 관절염이 발생하는 부위는 외측보다 내측이 약 10배 정도 호발 율이 높고, 남성에 비해 여성의 호발 율이 높고, 호발 연령대는 40대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50~60대에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박미희, 2000).
퇴행성 관절염은 어디에서 호발 율이 높고, 호발 성비와 연령대는 어떻게 되나요? 퇴행성 관절 질환은 유동성 관절연골의 황폐 및 마모와 관절면의 신생골 형성으로 특징 지워지는 비 염증성 질환으로, 관절연골의 세포외 기질과 연골세포에 의한 합성 및 퇴행과정의 불균형과 관련된 역학적 측면과 생물학적 측면의 결과이다 (Mollenhaer과 Erdmann, 2002). 이러한 퇴행성 관절염은 체중부하가 많은 슬관절이 가장 높고, 그 다음 척추관절과 고관절 순으로 나타나며 (Felson 등, 1995), 슬관절에서 퇴행성 관절염이 발생하는 부위는 외측보다 내측이 약 10배 정도 호발 율이 높고, 남성에 비해 여성의 호발 율이 높고, 호발 연령대는 40대부터 급격히 증가하여 50~60대에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다 (박미희,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고태성 (2007). . 박사학위논문, 삼육대학교 대학원. 

  2. 대한정형외과학회 (2006). , 최신의학사, 서울. 

  3. 박미희 (2000). .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4. Altman, R. D. (1991). Criteria for classification of clinical osteoarthritis. Journal of Rheumatology Supplement, 27, 10-12. 

  5. Amin, S., Luepongsak, N. and McGibbon, C. A. (2004). Knee adduction moment and development of chronic knee pain in elders. Arthritis & Rheumatism, 51, 371-376. 

  6. Choi, Y. W. and Kang, K. H. (2009). On statistical methods used in medical research.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 357-367. 

  7. Deyle, G. D., Allison, S. C., Matekel, R. L., Ryder, M. G., Stang, J. M. and Gohdes, D. D. (2005). Physical therapy treatment effectiveness for osteoarthritis of the knee: A randomized comparison of supervised clinical exercise and manual therapy procedures versus a home exercise program. Physical Therapy, 85, 1301-1317. 

  8. Deyle, G. D., Henderson, N. E., Matekel, R. L., Ryder, M. G., Garber, M. B. and Allison, S. C. (2000). Effectiveness of manual physical therapy and exercise in osteoarthritis of the knee.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nnals of Internal Medicine, 132, 173-181. 

  9. Ekdahl, C., Eberhardt, K., Andersson, S. I. and Svensson, B. (1988). Assessing disability in rheumatoid arthritis, Use of a swedish version of the stanford health assessment questionnaire. Scandinavian Journal of Rheumatology, 17, 263-277. 

  10. Felson, D. T., Zhang, Y. and Hannan, M. (1995). The incidence and natural history of knee osteoarthritis in the elderly. The Framingham Osteoarthritis Study. Arthritis & Rheumatism, 38, 1500-1505. 

  11. Gong, W. T., Cheun, H. J. and Lee, K. M. (2010). The effect of cervical stabiliazed exercise and joint mobilization on maximum muscle strength and static muscle endurance of cervical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1, 33-42. 

  12. Gong, W. T., Ma, S. Y. and Kim, T. H. (2009). The effects of ankle joint mobilization technique within supination foot on equilibrium.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 527- 539. 

  13. Han, T. R. and Bang, M. S. (2008). Rehabilitation medicine, 3rd Ed., Kunja, Seoul. 

  14. Hopper, D., Samsson, K., Hulenik, T., Ng, C., Hall, T. and Robinson, K. (2009). The influence of Mulligan ankle taping during balance performance in subjects with unilateral chronic ankle instability. Physical Therapy in Sport, 10, 125-130. 

  15. Lee, S. Y., Ma, S. Y. and Cho, G. Y. (2009). The effects of mat and field exercise on the balance and gait in older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 Information Science Society, 20, 661-672. 

  16. Miyazaki, T., Wada, M. and Kawahara, H. (2002). Dynamic load at baseline can predict radiographic disease progression in medial compartment knee osteoarthritis. Annals Rheumatic Diseases, 61, 617- 622. 

  17. Mollenhauer, J. A. and Erdmann, S. E. (2002). Introduction: Molecular and biomechanical basis of osteoarthritis. Cellular and Molecular Life Sciences, 59, 3-4. 

  18. Mulligan, B. R. (2003). Manual therapy NAGS, SNAGS, MWMS ect, 5th Ed., Plain View Services,Wellington. 

  19. Stoneman, P. D. (2001). Effect of manual therapy and exercise on pain, stiffness and function in persons with knee osteoarthriti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righam Young University. 

  20. Vicenzino, B., Paungmali, A. and Tey, P. (2007). Mulligan's mobilization with movement, positional faults and pain relief: Current concepts from acritical review of literature. Manual Therapy, 12, 98-108. 

  21. Wilson, E. (2001). The Mulligan concept: NAGS, SNAGS and mobilizations with movement. Journal of the Bodywork and Movement Therapies, 5, 81-89.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