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지적 시간관리에 필요한 기능적 뇌 활성 영역과 반응시간의 상관관계
Correlation between Faster Response Time and Functional Activities of Brain Regions during Cognitive Time Management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2 no.2, 2010년, pp.7 - 13  

박지원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료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신화경 (대구가톨릭대학교 의료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장성호 (영남대학교 의과학대학 재활의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designed to determine the correlation between faster response time and functional activities of brain regions during cognitive time management. Methods: Twelve healthy subjects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Subjects performed the serial reaction time task (SRTT), which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이와 같이 많은 연구에도 불구하고 실제적인 운동타이밍과 관련이 있는 뇌 영역의 규명에는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속반응시간 과제를 이용하여 운동타이밍을 측정하는 동안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을 얻어 뇌 영역의 활성 정도와 반응시간의 빠르기를 비교함으로써 과제 수행시 빨라진 수행력과 관련이 있는 뇌 영역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연속반응시간 과제를 이용하여 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시간과 뇌 활성 영역과의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인지적 시간관리를 위해 사용된 영역은 복잡한 운동 수행 시 나타나는 감각운동영역, 전운동영역, 하두정영역, 상두정영역, 보완운동영역, 소뇌 등이었다.

가설 설정

  • 001보다 낮은 수준에서, 범위 역치(extent threshold)는 부피소 5개를 기준으로 활성 지도를 얻었다. 이는 생리학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적어도 유의미한 부피소가 5개 이상 있을 경우 활성이 된 것으로 가정하고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한 것으로, 각 활성의 p 값은 부피소의 높이 역치와 범위 역치의 상호작용에 의하여 계산하였다. 분석을 위한 주요 관심영역으로는 일차감각운동피질(primary sensorimotor cortex, SM1), 전운동영역(premotor area, PM), 보조운동영역(supplementary motor area, SMA), 전전두피질(prefrontal lobe), 후두정엽(posterior parietal lobe), 소뇌(cerebellum) 등으로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추신경계에 손상을 입게 되면 인지적인 시간 관리에 어떤 문제가 생기는가? 인지적인 시간 관리 기술은 인간의 정상적인 행동을 위해 필수적인 기능이기 때문에 다양한 병리학적인 원인으로 중추신경계에 손상을 입게 되면 타이밍을 맞추거나 시간을 인식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등 행동에 문제를 보이게 된다.2 따라서 이러한 환자를 치료하는 데 있어서 운동 타이밍과 인식에 대한 관점은 신경계 손상 환자의 회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많은 연구들이 시도되어 왔다.
연속반응시간 과제를 이용하여 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시간과 뇌 활성 영역과의 관련성을 연구한 결과, 인지적 시간관리를 위해 사용된 영역은? 본 연구에서는 연속반응시간 과제를 이용하여 자극에 대해 반응하는 시간과 뇌 활성 영역과의 관련성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인지적 시간관리를 위해 사용된 영역은 복잡한 운동 수행 시 나타나는 감각운동영역, 전운동영역, 하두정영역, 상두정영역, 보완운동영역, 소뇌 등이었다. 활성된 영역 중에서 오른쪽 상두정영역을 제외한 모든 영역에서 반응시간의 감소와 BOLD signal의 변화에 관련성을 보여 전체적으로 운동반응과 공간지각과 관련한 영역들에서의 뇌 활성이 높을수록 과제를 수행하는 반응시간이 빨라짐을 추론할 수 있었다.
연속반응시간 과제를 활용하여 무엇을 할 수 있는가? 그 중 고차원의 인지적인 시간 처리기능을 필요로 하는 운동순서의 수행과 학습에 대한 연구로 신경생물학적인 기전을 밝히려는 연구는 연속반응시간 과제(serial reaction-time task, SRTT)로 흔히 측정해 왔다.6-8 연속반응시간 과제는 시각적으로 제시되는 신호를 구분하여 반응하는 과제로써 주어진 순서에 자극-반응으로 조합된 순서를 반복하면서 신호에 대한 반응시간의 감소가 나타나는지를 살펴보는데 이를 활용하여 내재적 학습 정도를 측정하거나 또는 순서의 절차를 알려고 하면서 외재적 학습을 평가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Rubia K, Smith A. The neural correlates of cognitive time management: A review. Acta Neurobiol Exp (Wars). 2004;64(3):329-40. 

  2. Coull JT, Nobre AC. Dissociating explicit timing from temporal expectation with fmri. Current Opinion in Neurobiology. 2008;18(2):137-44. 

  3. Bueti D, Walsh V, Frith C et al. Different brain circuits underlie motor and perceptual representations of temporal intervals. J Cogn Neurosci. 2008;20(2):204-14. 

  4. Jantzen KJ, Oullier O, Marshall M et al. A parametric fmri investigation of context effects in sensorimotor timing and coordination. Neuropsychologia. 2007;45(4):673-84. 

  5. Park JW, Kwon YH, Lee MY et al. Brain activation pattern according to exercise complexity: A functional mri study. NeuroRehabilitation. 2008;23(3):283-8. 

  6. Dominey PF. A shared system for learning serial and temporal structure of sensori-motor sequences? Evidence from simulation and human experiments. Brain Res Cogn Brain Res. 1998;6(3):163-72. 

  7. Kwon YH, Jang SH, Kim CS. Changes of cortical activation pattern induced by motor learning with serial reaction time task. J Kor Soc Phys Ther. 2009;21(1):65-72. 

  8. Nissen MJ, Bullemer P. Attentional requirements of learning: Evidence from performance measurs. Cogn Psychol. 1987;19:1-32. 

  9. Park JW, Kim YH, Jang SH et al. Dynamic changes in the cortico-subcortical network during early motor learning. NeuroRehabilitation. 2010;26(2):95-103. 

  10. Park JW, Jang SH. The difference of cortical activation pattern according to motor learning in dominant and non-dominant hand: An fmri case study. J Kor Soc Phys Ther. 2009;21(1):81-8. 

  11. Yoo WK, You SH, Ko MH et al. High frequency rtms modulation of the sensorimotor networks: Behavioral changes and fmri correlates. Neuroimage. 2008;39(4):1886-95. 

  12. Grafton ST, Hazeltine E, Ivry R. Functional mapping of sequence learning in normal humans. J Cognit Neurosci. 1995;7:497-510. 

  13. Hazeltine E, Grafton ST, Ivry R. Attention and stimulus characteristics determine the locus of motor-sequence encoding. A pet study. Brain. 1997;120(Pt 1):123-40. 

  14. Toni I, Krams M, Turner R et al. The time course of changes during motor sequence learning: A whole-brain fmri study. Neuroimage. 1998;8(1):50-61. 

  15. Halsband U, Freund HJ. Premotor cortex and conditional motor learning in man. Brain. 1990;113(Pt 1):207-22. 

  16. Petrides M. Visuo-motor conditional associative learning after frontal and temporal lesions in the human brain. Neuropsychologia. 1997;35(7):989-97. 

  17. Verstynen T, Diedrichsen J, Albert N et al. Ipsilateral motor cortex activity during unimanual hand movements relates to task complexity. J Neurophysiol. 2005;93(3):1209-22. 

  18. Seitz RJ, Hoflich P, Binkofski F et al. Role of the premotor cortex in recovery from middle cerebral artery infarction. Arch Neurol. 1998;55(8):1081-8. 

  19. Rubia K, Overmeyer S, Taylor E et al. Prefrontal involvement in "Temporal bridging" And timing movement. Neuropsychologia. 1998;36(12):1283-93. 

  20. Harrington DL, Haaland KY. Neural underpinnings of temporal processing: A review of focal lesion, pharmacological, and functional imaging research. Rev Neurosci. 1999;10(2):91-116. 

  21. Curtis CE. Prefrontal and parietal contributions to spatial working memory. Neuroscience. 2006;139(1):173-80. 

  22. Ricciardi E, Bonino D, Gentili C et al. Neural correlates of spatial working memory in humans: A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study comparing visual and tactile processes. Neuroscience. 2006;139(1):339-49. 

  23. Rubia K, Overmeyer S, Taylor E et al. Functional frontalisation with age: Mapping neurodevelopmental trajectories with fmri. Neurosci Biobehav Rev. 2000;24(1):13-9. 

  24. Emond V, Joyal C, Poissant H. [structural and functional neuroanatomy of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Encephale. 2009;35(2):107-14. 

  25. Schell GR, Strick PL. The origin of thalamic inputs to the arcuate premotor and supplementary motor areas. J Neurosci. 1984;4(2):539-60. 

  26. Halsband U, Ito N, Tanji J et al. The role of premotor cortex and the supplementary motor area in the temporal control of movement in man. Brain. 1993;116(Pt 1):243-66. 

  27. Mostofsky SH, Powell SK, Simmonds DJ et al. Decreased connectivity and cerebellar activity in autism during motor task performance. Brain. 2009;132(Pt 9):2413-25. 

  28. Braitenberg V. Is the cerebellar cortex a biological clock in the millisecond range? Prog Brain Res. 1967;25:334-46. 

  29. Smith A, Taylor E, Lidzba K et al. A right hemispheric frontocerebellar network for time discrimination of several hundreds of milliseconds. Neuroimage. 2003;20(1):344-50. 

  30. Pouthas V, George N, Poline JB et al. Neural network involved in time perception: An fmri study comparing long and short interval estimation. Hum Brain Mapp. 2005;25(4):433-41. 

  31. Basso G, Nichelli P, Wharton CM et al. Distributed neural systems for temporal production: A functional mri study. Brain Res Bull. 2003;59(5):405-11. 

  32. Ortuno F, Ojeda N, Arbizu J et al. Sustained attention in a counting task: Normal performance and functional neuroanatomy. Neuroimage. 2002;17(1):411-20. 

  33. Eliassen JC, Souza T, Sanes JN. Experience-dependent activation patterns in human brain during visual-motor associative learning. J Neurosci. 2003;23(33):10540-7. 

  34. Grafton ST, Hazeltine E, Ivry RB. Motor sequence learning with the nondominant left hand. A pet functional imaging study. Exp Brain Res. 2002;146(3):369-78. 

  35. Nelson AJ, Staines WR, McIlroy WE. Tactile stimulus predictability modulates activity in a tactile-motor cortical network. Exp Brain Res. 2004;154(1):22-32. 

  36. Burton H. Cerebral cortical regions devoted to the somatosensory system: Results from brain imaging studies in humans. In: Nelson RJ, eds, The somatosensory system: Deciphering the brain's own body image, Boca Raton, FL, CRC Press, 2002:27-72. 

  37. Hansson T, Brismar T. Tactile stimulation of the hand causes bilateral cortical activation: A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study in humans. Neurosci Lett. 1999;271(1):29-32. 

  38. Iwamura Y. Bilateral receptive field neurons and callosal connections in the somatosensory cortex. Philos Trans R Soc Lond B Biol Sci. 2000;355(1394):267-73. 

  39. Schnitzler A, Salmelin R, Salenius S et al. Tactile information from the human hand reaches the ipsilateral primary somatosensory cortex. Neurosci Lett. 1995;200(1):25-8. 

  40. Cavada C, Goldman-Rakic PS. Topographic segregation of corticostriatal projections from posterior parietal subdivisions in the macaque monkey. Neuroscience. 1991;42(3):683-9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