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근재교육훈련이 급성안면신경마비 환자의 안면마비 회복정도와 기능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 of Muscle Reeducation Training on Recovery and Function in People with Acute Facial Nerve Paralysis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6 no.4, 2014년, pp.240 - 248  

박상규 (대전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신원섭 (대전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muscle reeducation training in patients with acute facial nerve paralysis. Methods: Thirty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n=15) or the control group (n=15).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muscle reeduc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18 이에 본 연구는 안면신경마비가 환자의 증상의 정도가 24-48시간 사이에 급속한 진행을 보이다 5일 이내에 마비정도가 최대가 됨19에 따라 실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고려하여 발병한지 7일이 되지 않고 H-B등급체계가 Ⅲ등급 이상인 초기 편측성 안면신경마비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근재교육훈련과 일반적 물리치료가 안면마비 회복정도와 기능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 28 이에 본 연구는 정량화된 수치와 환자의 상태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하여 비순각과 입의 이동거리를 측정하였다. 비순각의 차이 비교는 안면신경마비 환자의 안면부의 틀어짐이 외관상 관찰이 쉬워 후유증을 평가하는 좋은 평가 방법이다.
  • 은침전기자극 치료는 10 Hz 이하의 주파수에서 전압을 올려가면 주파수에 따라서 연축(twich)이 일어나며, 이것은 근육의 마사지 효과와 동시에 말초순환을 촉진하는 효과가 있다.30 발목관절 염좌 후에 통증과 강도 및 종창둘레를 유의하게 감소시키는 결과를 보고 하였다.31 Sardaru과 Pendefunda17는 안면신경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고유수용성감각촉진을 적용한 근재교육훈련이 안면 마비환자의 회복에 더 효과적이라고 하였다.
  • 는 안면신경마비의 물리치료로 수동적인 치료인 전기적 자극치료와 능동적인 치료인 운동치료를 추천하고 있지만, 어느 치료방법이 더 효과적인지 연구한 임상 대조군 실험은 거의 없었기 때문에 치료효과를 입증할만한 충분한 근거가 없다고 보고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안면신경마비 환자에게 전통적인 수동적 중재방법인 전기자극 치료와 비교하여 근재교육훈련이 안면 신경마비 환자의 안면신경회복과 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안면신경마비란 무엇인가? 안면신경마비는 얼굴의 표정근을 지배하는 운동신경의 병변이다. 안면신경마비는 한쪽 안면 표정근이 마비 혹은 약화가 오는 질환으로 비교적 자주 경험하는 신경질환 중의 하나이다.1 일시적으로 7번째 안면신경으로부터 기인하는 말초성 안면신경마비가 가장 많이 나타나고, 말초성 안면신경마비는 전체 안면신경손상의 75%를 차지한다.
안면신경마비의 치료 방법 중 물리치료 방법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일반적으로 안면신경마비의 치료 목적은 기능장애를 회복시키고, 신경 및 근육이 퇴행되는 것을 예방하며 안면신경의 재생을 촉진 시키는데 있다.11 안면신경마비에 대한 물리치료 방법은 마비된 근육에 전기적 자극치료, 안면근육에 대한 능동 운동과 수동운동, 거울을 이용한 근재교육훈련, 마사지, 그리고 총체적 안면운동(gross facial exercise), 등이 있다.12 Targan 등13은 만성안면신경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장기간 동안 전기자극치료를 시행한 후, 운동신경 잠복시(motor latencies)과 임상적 손상정도(residual clinical impairment)를 비교하였다.
안면신경마비의 증상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안면신경마비의 증상으로는 통증, 편두통, 안면근의 비대칭 운동성장애, 미각장애, 타액분비 감소, 청각과민, 이명 등이 포함된다. 안면신경마비의 특성은 급성으로 발생하며, 절반 정도는 귀, 코, 혀 등에서 얼얼함이나 통증이 발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Adams RD, Victor M. Principle of neurology: Disease of spinalcord, peripheralnerve, and muscle. New York, McGraw Hill, 2005:1181-2. 

  2. Holland NJ, Weiner GM. Recent developments in bell's palsy. BMJ. 2004;329(7465):553-7. 

  3. Finsterer J. Management of peripheral facial nerve palsy. Eur Arch Otorhinolaryngol. 2008;265(7):743-52. 

  4. Coulson SE, O'Dwyer N J, Adams RD et al. Expression of emotion and quality of life after facial nerve paralysis. Otol Neurotol. 2004;25(6):1014-9. 

  5. Roob G, Fazekas F, Hartung HP. Peripheral facial palsy: Etiology, diagnosis and treatment. Eur J Neuro. 1999;41(1):3-9. 

  6. Peitersen E. Bell's palsy: The spontaneous course of 2,500 peripheral facial nerve palsies of different etiologies. Acta Oto-Laryngologica. 2002;122(7):4-30. 

  7. Youn IH, Kim NK. A clinical study to observe nasolabial angle on facial palsy sequelae by disproportional muscles of expression. J Korean Med. 2008;29(3):131-43. 

  8. Hong HJ. Analysis of patients with bell's palsy, Yonsei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6. 

  9. Macgregor FC. Facial disfigurement: Problems and management of social interaction and implications for mental health. Aesth Plast Surg. 1990;14(1):249-57. 

  10. Hwang JH, Lim DJ, Lee HJ et al. Clinical comparison studies on bell's palsy patients by existence of postauricural pain. J Kor Acup Mox. 2006;23(6):9-18. 

  11. Teixeira LJ, Soares B, Vieira VP et al. Physical therapy for bell s palsy (idiopathic facial paralysis).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08;3. 

  12. Gittins J, Martin K, Sheldrick J et al. Electrical stimulation as a therapeutic option to improve eyelid function in chronic facial nerve disorders. Ophthalmol Vis Sci. 1999;40(3):547-54. 

  13. Targan RS, Alon G, Kay SL. Effect of long-term electrical stimulation on motor recovery and improvement of clinical residuals in patients with unresolved facial nerve palsy.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0;122(2):246-52. 

  14. Wolf SR. Idiopathic facial paralysis. Hno. 1998;46(9):786-98. 

  15. Barbara M, Antonini G, Vestri A et al. Role of kabat physical rehabilitation in bell's palsy: A randomized trial. Acta otolaryngologica. 2010;130(1):167-72. 

  16. Diels HJ, Combs D. Neuromuscular retraining for facial paralysis. Otolaryngol Clin North Am. 1997;30(5):727-43. 

  17. Sardaru D, Pendefunda L. Neuro-proprioceptive facilitation in the re-education of functional problems in facial paralysis. A practical approach. Rev Med Soc Med Nat Iasi. 2012;117(1):101-6. 

  18. Cardoso JR, Teixeira EC, Moreira MD et al. Effects of exercises on bell's palsy: Systematic review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tol Neurotol. 2008;29(4):557-60. 

  19. Lee HY, Kim BE. The effect of meridian points massage nursing intervention on the recovery of facial paralysis. J Korean Acad Nurs. 2001;31(6):1044-54. 

  20. House JW, Brackmann DE. Facial nerve grading system. Otolaryngol Head Neck Surg. 1985;93(2):146. 

  21. Coulson SE, Croxson GR, Adams RD et al. Reliability of the "sydney," "sunnybrook," and "house brackmann" facial grading systems to assess voluntary movement and synkinesis after facial nerve paralysis.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5;132(4):543-9. 

  22. Moon H, Park MC, Hong SH et al. A research on quality of life of facial palsy patients. J Korean Med Ophthalmol Otolaryngol Dermatol. 2009;22(1):157-71. 

  23. VanSwearingen JM, Brach JS. The facial disability index: Reliability and validity of a disability assessment instrument for disorders of the facial neuromuscular system. Phys Ther. 1996;76(12):1288-98. 

  24. Jette AM, Davies AR, Cleary PD et al. The functional status questionnaire. J Gen Intern Med 1986;1(3):143-9. 

  25. Hwang JH, Lee DG, Lee HJ et al. Effect of combined silver spike point therapy and electroacupuncture on patients with peripheral facial paralysis. J Kor Acup Mox. 2007;24(4):69-80. 

  26. Beurskens CH, Heymans PG. Positive effects of mime therapy on sequelae of facial paralysis: Stiffness, lip mobility, and social and physical aspects of facial disability. Otol Neurotol. 2003;24(4):677-81. 

  27. Shafshak T. The treatment of facial palsy from the point of view of physical and rehabilitation medicine. Eura Medicophys. 2006;42(1):41. 

  28. Kim JI, Seo JC, Lee SH et al. The clinical observation on bell's palsy according to facial nerve grading system. J Kor Acup Mox. 2002;19(5):112-23. 

  29. Kim YJ, Lee EJ, Cho SJ et al. Effects of acupuncture - like transcutaneous electrical nerve stimulation and silver spike point therapy on pressure pain sensitivity. Phys Ther Kor. 1995;2(2):66-72. 

  30. Min KO. Electrotherapy. Seoul, Hyunmoonsa, 2001:493-521. 

  31. Kim GY, Woo KH. The effects of alphabet exercise with ssp electrotherapy on lateral ankle sprain. J Kor Soc Phys Ther. 2004;16(2):33-43. 

  32. Kim DK, Kim YN.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exercise on the bmd, balance and lower muscular strength in patients with osteoporosis. J Kor Soc Phys Ther. 2012;24(5):313-8. 

  33. Kim K, Kim EK, Lee DK. Pnf on unstable surfaces pain functional disability fab in lbp. J Kor Soc Phys Ther. 2014;26(2):110-6. 

  34. Klein DA, Stone WJ, Phillips WT et al. Pnf training and physical function in assisted-living older adults. J Aging Phys Act. 2002;10(4):476-88. 

  35. Kofotolis ND, Kellis E. Cross-training effects of a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exercise programme on knee musculature. Phys Ther in Sport. 2007;8(3):109-16. 

  36. Manikandan N. Effect of facial neuromuscular re-education on facial symmetry in patients with bell's palsy. Clin Rehabil. 2007;21(4):338-43. 

  37. Cronin G, Steenerson R. The effectiveness of neuromuscular facial retraining combined with electromyography in facial paralysis rehabilitation. Otolaryngol Head Neck Surg. 2003;128(4):534-8.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