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노인의 우울증과 일상생활동작능력의 관련성
Correlation of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 Elderly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2 no.2, 2010년, pp.31 - 38  

정순미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박래준 (대구대학교 물리치료학과) ,  노효련 (강원대학교 작업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of depression and the ability to engage in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the elderly. Methods: Subjects (n = 182) were 60 years or older and who attended the Senior College of Gimhae Senior Welfare Center. We collected data via a questionnaire, through a Sel...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선행 연구의 결과들을 근거로 만성질환을 지닌 노인의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일상생활동작과 관련되는 요인을 파악하고 노인들의 우울과 일상생활 동작에 영향을 미치는 상호관계를 인식함으로 만성질환을 지닌 노인의 우울과 일상생활동작과의 관계의 의미와 중요성을 강조하고, 나아가 노인의 신체적·정신적 건강관리와 증상 개선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여 노인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전반적인 우울 증상과 일상생활동작 능력과의 관련성에 대해서 알아보고, 기본적 일상생활동작과 도구적 일상생활동작에 따른 우울증과 관련성,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일상생활동작과 우울증과의 관련성, 마지막으로 우울증 정도에 따른 일상생활동작의 관련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우울증상과 일상생활동작능력과의 관련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한다. 이에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노인복지관의 노인대학을 이용하고 있는 60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우울 증상과 일상생활동작능력과의 관련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우울증은 일상생활동작에 많은 영향을 주므로 노인의 건강한 생활을 위해서는 우울증을 조기에 인식하고 감소시키므로 일상생활동작의 수행능력이 향상됨을 알 수 있었다.
  • 이 연구는 노인복지관을 이용하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우울증 정도와 일상생활동작능력과의 관계에 대해서 알아보았고 아래와 같은 연구결과를 얻었다.
  • 항목별 일상생활동작과 우울증의 비교에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 일상생활동작이 우울증 정도에 따라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지 알아보았다(Table 4). 경증 우울증을 가진 노인은 우울증이 없는 노인과 비교할 때 모든 동작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중등도의 우울증을 가진 노인의 비교에서는 노인의 누웠다가 일어나서 의자에 앉기, 집안일 하기의 동작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노인의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무엇인가? 또한 노인의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 모두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는 일상생활수행 능력으로, 일상생활동작 능력의 향상은 생활의 활력을 유지하고 더 나아가 노인의 건강한 삶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다.9 2000년도에 미국인의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 중 하나로 신체적 비활동 상태라고 보고되었다.
노인의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한 이유는? 오늘날 의학의 발달과 영양상태의 향상으로 평균수명이 증가하면서 노인의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였다. 통계청의 장래인구 특별추계 자료에 의하면 2005년 현재 우리나라 노인의 평균수명은 77.
노인들의 우울증상에 대한 심각성을 보여주고 있는 지표는? 최근 노인들의 우울증상이 증가되고 있는데 Kim과 Kim6의연구에 의하면 현대 노인들의 80% 이상이 약한 우울증상을 경험하고 있으며, 약 37%가 심각한 우울증상을 보이고 있으며, 해마다 10% 이상씩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우울증상으로 인한 자살률이 10여년 전에 비해 100% 이상 증가한 것만 보더라도 노인의 우울증에 대한 심각성은 날로 높아지고 있다. 이는 노인의 건강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심리적인 안정을 통한 우울증 예방이 필수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으며7 우울증이 건강상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보여주는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Future population projection. 2005. 

  2.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Classification of the elderly. 2008. 

  3. Ryu AY. Study on the needs of the aged in the farm area for the integrated service of health care and welfare: focused on chilgok-gun in kyungbuk province. Keimyung University. Dissertation of Master's Degree. 2007. 

  4. Katz IR. Drug treatment of depression in the frail elderly. Disscussion of the NIH consensus development conference on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depression in the late life. Psychopharmacol Bull. 1993;29:101-108.5. 

  5. Ro HL, Kim SJ, Gong WT. A study on relations between health status and physical therapy in rural area elderly women. J Kor Soc Phys Ther 2009;21(4):81-8. 

  6. Kim JH, Kim KB. Comparative study of perceived health status, self-esteem,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between institutionalized elders and elders living home. J Korean Gerontol Nurs. 2008;10(2):182-92. 

  7. Sim MK, Park JM. Study on the physical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health behaviors of the elderly.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4;15(3):438-59. 

  8. Gurland BJ. The impact of depression on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Clinical Geriatric Med. 1992;8:377-86. 

  9. Lee YS. The relationships among leisure sports participa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for the elderly. J Korean Sociology sport. 2008;21(2):343-364. 

  10. Kang YH, Kim MY, Lee ELJ. The relationship of perceived health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nutrition status in the community-dwelling Korean elderly. Journal of Koreanf Academy of Nursing. 2008;38(1):122-30. 

  11. Song MS, Kim NC, Lee DH. Factors related to depress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elders with symptoms of depression. J Korean Gerontol Nurs. 2008;10(1):20-6. 

  12. Nho YJ, Kim CK. Comparisons of physical Fitness, self efficacy,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quality of life between institutionalized and noninstitutionalized elderly. J Korean Nurs Academic Soci. 1995;25(2):259-78. 

  13. Park JM. A comparative study of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in the urban and rural elderly. 2003;10:77-90. 

  14. Son SY. A comparative study on the quality of life of the elderly and its' affecting factors between rural and urban areas. J Korean Gerontol Soci 2006;26(3):601-15. 

  15. Seo HS, Han YH. Effects of health-related indexes on life satisfaction for the elderly people. J Koeran Rasearch in Gerontol. 2006;15:159-70. 

  16. Kartz PP, Yelin EH. The development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women with rheumatoid arthritis. the role of function. Arthritis Rheum. 1995;38(1):49-56. 

  17. Park SY, Son JT, Park DH et al. Effects of self help program for pain, ADL, exercise self-efficacy and knowledge about arthritis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Korean Rheumatism Associ. 2004;11(1):31-41. 

  18. Chang SO, Park YJ, Yhun JW. Study on relations of variables; attributions of somatic symptoms, fatigue, chronic pain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J Korean Society of Nursi Scie. 2003;33(1):26-33. 

  19. Sim MK, Park JM. Study on the physical health status, depression and health behaviors of the elderly.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4;15(3):438-59. 

  20. Kim YS, Lee ES, Chun JH et al. The attention of primary physician on depression of the elderly patients. Korean Academy of Family Med. 2004;25:818-25. 

  21. Sun WD, Oh JS. Policy issues for maintaining the living activity function of elderly people. Health and Welfare Forum. 2009;3:64-70. 

  22. Kim JH, Kim KB. Comparative study of perceived health status, self-esteem, depression, and life satisfaction between institutionalized elders and elders living home. J Korean Gerontol Nurs. 2008;10(2):182-92. 

  23. Katz S, Stroud MW. Functional assessment in geriatrics. A review of progress and directions. J Am Geriatr Soc. 1989;37(3):267-71. 

  24. Lawton MP, Brody EM. Assessment of older people, self-maintaining and instrumental activities of daily living. Gerontologist. 1969;9(3):179-86. 

  25. Jung YM. Health status and associated factors of depression according to depression in elderly women. J Korean Gerontol Soci. 2007;27(1):71-86. 

  26. Kim YK. Physical disability and depression in older adults: Predictability of structural and functional aspects of social support. J Korean Psychological Associ. 2001;20(1):49-66. 

  27. Lee SS. Relationship between functional capacity of daily living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in Koje city. J Korean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 2000;9(4):543-57. 

  28. Ryan MC, Patterson J. Loneliness in the elderly. J Gerontol Nurs. 1987;13(5):6-12. 

  29. You JE, Jung EH. The Effects of traditional physical therapy on pain reduction and depression level of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J Kor Soc Phys Ther. 2001;13(3):677-83. 

  30. Im ES, Lee KJ. Effect of physical ability,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in low income elders living at home. J Korea Gerontol Nurs Soci. 2003;5(1):38-49. 

  31. Kwon WA, Kim HS. A study o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ypes of leisure activity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in bukgu district, daegu city. J Kor Soc Phys Ther. 2008;20(4):51-9. 

  32. Law M, Letts L. critical review of scales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Am J Occup Ther. 1989;43(8):522-8. 

  33. Kang HS, Kim GJ. The correlation between depression and physical health among the aged. J Korean Public Health Associ. 2000;26(4):451-9. 

  34. Cobbs. Presidential Address-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or of life stress. Psychosom Med. 1976;38(5):300-1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