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과 무릎관절 위치가 편마비 환자의 안쪽넓은근과 가쪽넓은근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oot and Knee Position on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the Vastus Medialis and Vastus Lateralis for Hemiplegic Patients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v.22 no.4, 2010년, pp.21 - 28  

장준혁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김경환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김태호 (대구보건대학 물리치료과) ,  한동욱 (신라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lectromyographic (EMG) activity of vastus medialis oblique (VMO) and vastus lateralis (VL) muscles on foot position and knee angle for hemiplegia patients. Methods: Ten stroke subjects (10 males) participated in the study. Subjects were all ri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와 반대로 발의 위치가 벌림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엉덩관절의 벌림과 가쪽돌림 동작이 발생되면서 무릎관절이 굽힘되었다. 본 연구는 세 가지 다른 발 위치에서 무릎관절을 굽힘해서 유지하고 있을 때 발생되는 안쪽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도를 연구한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닫힌 사슬에서 하지 위치와 무릎관절 각도를 변화시켜 비마비측과 마비측의 안쪽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도 변화를 살펴보았다. 닫힌 사슬 상태에서 서 있는 상태에서 각각의 발의 위치를 취할 때 정강뼈의 돌림이 함께 발생하도록 하였다.
  • 이상의 선행 연구를 볼 때 정상인과 무릎넙다리통증을 지닌 사람들을 대상으로 닫힌 사슬에서 발과 엉덩관절의 위치를 변화시키거나, 무릎관절의 굽힘 각도를 변화시켜 안쪽넓은근과 가쪽넓은근의 근활성도를 높이는 방법들을 제시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상인과 무릎넙다리통증을 지닌 사람들처럼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에 있어서도 발의 위치와 무릎관절 각도 변화가 비마비측과 마비측 안쪽넓은근과 외가쪽넓은근의 근활성도 증가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 환자의 근력 연구 중 Gerrits이 연구한 내용은? 뇌졸중 환자의 근력 연구 중 Gerrits등5은 뇌졸중 환자의 양측 무릎관절 폄근과 동일 연령대의 건강한 대상자의 무릎관절 폄근의 기능을 비교한 결과 뇌졸중 환자의 비마비측과 마비측의 폄근 토크 발생률이 건강한 대상자들보다 낮다고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 볼 때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의 경우 마비측뿐만 아니라 비마비측 안쪽넓은근과 가쪽넓은근에 대한 근력 강화운동이 필요하다.
뇌졸중 발생 이후 생기는 근력 약화의 특징은? 1-7 뇌졸중 발생 이후 운동 조절 능력의 감소와 무용성 근위축으로 인해 대부분 근육에서 근력 저하가 발생한다. 근력 약화는 뇌졸중 환자에 있어 일반적인 문제점이며 보조없이 의자에서 일어서기와 같은 일상생활동작 수행을 어렵게 한다. 뇌졸중 이후 근력은 이동, 보행, 계단 오르기와 같은 독립된 기능적 활동을 위해 필수적이며, 입원에서 퇴원을 위한 기능적 상태, 입원을 해서 치료하는 동안 머무르는 기간과 같은 미래의 운동 기능 상태를 예측할 수 있다.
뇌졸중 환자에 있어 흔히 나타나는 문제점은 무엇이 있는가? 감각 결함, 근육 약증, 변화된 근육 긴장과 운동 조절의 어려움은 뇌졸중 환자에 있어 흔히 나타나는 문제점들이며, 보행 수행에 있어 광범위하게 연구되는 것 중의 하나는 근력이다.1-7 뇌졸중 발생 이후 운동 조절 능력의 감소와 무용성 근위축으로 인해 대부분 근육에서 근력 저하가 발생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Sharp SA, Brouwer BJ. Isokinetic Strength training of the hemiparetic knee: effects on function and spasticity. Arch Phys Med Rehabil. 1997;78(11):1231-6. 

  2. Flansbjer UB, Dounham D, Lexell J. Knee muscle strength, gait performance, and perceived participation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6;87(8):974-80. 

  3. Barbic S, Brower B. Test position and hip strength in healthy adults and people with chronic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8;89(4):784-7. 

  4. Anrews AW, Bohannon RW. Short-term recovery of limb muscle strength after acute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3;84(1):125-30. 

  5. Cerrits KH, Beltman MJ, Koppe PA et al. Isometric muscle function of knee extensior and the relation with functional performance in patients with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9;90(3):480-7. 

  6. Horstman AM, Gerrits KH, Beltman MJ et al. Intrinsic properties of the knee extensor muscles after subacute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10;91(1):123-9. 

  7. Lomaglio MJ, Eng JJ. Muscle strength and weight-bearing symmetry relate to sit-to-stand performance in individuals with stroke. Gait Posture. 2005;22(2)126-31. 

  8. Miochael KM. Allen JK, Macko RF. Reduced ambulatory activity after stroke: the role of balance, gait, and cardiovascular fitness. Arch Phys Med Rehabil. 2005;86(8):1552-6. 

  9. Wade DT, Hever RL, Wood VA, Skilbeck CE, Ismail HM. The hemiplegic arm after stroke: measurement and recovery.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83;46(6):521-4. 

  10. Andrews AW, Bohannon RW. Discharge function and length of stay for patients with stroke are predicted by lower extremity strength on admission to rehabilitation. Neurorehabil Neural Repair 2001;15(2):93-7. 

  11. Sackley cm. Falls, sway, and symmetry of weight-bearing after stroke. Int Disabil Stud 1991 13(1):1-4. 

  12. Lee HY, Jeong DH, Park RJ et al. Biomechanical analysis on the shift of gravity line in hemiplegic patients. J Kor Soc Phys Ther. 1999;11(1):63-70. 

  13. Stevens JE, Binder-Macleod S, Synder-Mackler L. Characterization of the human quadriceps muscle in active elders. Arch Phys Med Rehabil. 2001;82(7):973-8. 

  14. Escamilla RF, Fleisig GS, Zheng N et al. Biomechanics of the knee during closed kinetic chain and open kinetic chain exercises. Med Sci Sports Exerc. 1998;30(4):556-69. 

  15. Boling MC, Bolgla LA, Mattacola CG et al. Outcomes of a weight-bearing rehabilitation program for patients diagnosed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Arch Phys Med Rehabil. 2006;87(11):1428-35. 

  16. Ng GY, Zhang AQ, Li CK. Biofeedback exercise improved the EMG activity ratio of the medial and lateral vasti muscles in subjec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J Electromyogr Kinesiol. 2008;18(1):128-33. 

  17. Syme G, Rowe P, Martin D et al. Disability in patient with chronic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A randomised controlled trial of VMO selective training versus general quadriceps strengthening. Man Ther. 2009;14(3):252-63. 

  18. Stensdotter AK, Grip H, Hodges PW et al. Quadriceps activity and movement reactions in response to unpredictable sagittal support-surface translations in women with patellofemoral pain. J Electromyogr Kinesiol. 2008;18(2):298-307. 

  19. Forrester LW, Hanley DF, Macko RF. Effects of treadill exercise on transcranial magnetic stimulation-induced excitability to quadriceps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6;87(2):229-34. 

  20. Lathinghouse LH, Trimble MH. Effects of isometric quadriceps activation on the Q-angle in women before and after quadriceps exercise. J Orthop Sports Phys Ther. 2000;30(4):211-6. 

  21. Newsam CJ, Baker LL. Effect of an electric stimulation facilitation program on quadriceps motor unit recruitment after stroke. Arch Phys Med Rehabil. 2004;85(12):2040-5. 

  22. Kim EJ, Hwang BY, Kim JH. The effect of core strength exercises on balance and walking in patients with stroke. J Kor Soc Phys Ther. 2009;21(4):17-21. 

  23. Kim MS, Hwang BY, Kim JH. The effect of modified golf swing training on walking pattern in patient with hemiplegia-a case study-. J Kor Soc Phys Ther. 2009;21(1):25-31. 

  24. Bourbonnais D, Vanden Noven S. Weakness in patients with hemiparesis. Am J Occup Ther. 1989;43(5):313-9. 

  25. Harris ML, Polkey MI, Bath PM et al. Quadriceps muscle weakness following acute hemiplegic stroke. Clin Rehabil. 2001;15(3):274-81. 

  26. Canning CG, Ada L, Adams R et al. Loss of strength contributes more to physical disability after stroke than loss of dexterity. Clin Rehabil. 2004;18(3):300-8. 

  27. Doucette SA, Child DD. The effect of open and closed chain exercise and knee joint position on patellar tracking in lateral patellar compression syndrome.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6;23(2):104-10. 

  28. Hanten WP, Schulthies SS. Exercise effect on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the vastus medialis oblique and vastus lateralis muscles. Phys Ther. 1990;70(9):561-5. 

  29. Lam PL, Ng GY. Activation of the quadriceps muscle during semisquatting with different hip and knee positions in patients with anterior knee pain. Am J Phys Med Rehabil. 2001;80(11):804-8. 

  30. Mellor R, Hodges PW. Motor unit synchronization of the vasti muscles in closed and open chain tasks. Arch Phys Med Rehabil. 2005;86(4):716-21. 

  31. Cowan SM, Bennell KL, Hodges PW et al. Delayed onset of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vastus medialis obliquue relative to vastus lateralis in subject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Arch Phys Med Rehabil. 2001;82(2):183-9. 

  32. Earl JE, Schmitz RJ, Arnold BL. Activation of the VMO and VL during dynamic mini-squat exercises with and without isometric hip adduction. J Electromyogr Kinesiol. 2001;11(6):381-6. 

  33. 33. SerrAo FV, Cabral CN, BEzin F et al. Effect of tibia rotation on the electromygraphic activity of the vastus medialis oblique and vastus lateralis longus muscles during isometric leg press. Phys Ther Sport. 2004;6(1):15-23. 

  34. Herrington L, Blacker M, Enjuanes N et al. The effect of limbposition, exercise mode and contraction type on overall activity of VMO and VL. Phys Ther Sport. 2006;7(2):87-92. 

  35. Coqueiro KRR, Bevilaqua-Grossi D, Bezin F et al. Analysis on the activation of the VMO and VLL muscles during semisquat exercises with and without hip adduction in individuals with patellofemoral pain syndrome. J Electromyogr Kinesiol. 2005;15(6):596-603. 

  36. Hung YJ, Gross MT. Effect of foot position on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the vastus medialis and vastus lateralis during lower-extremity weight-bearing activities. J Orthop Sports Phys Ther. 1999;29(2):93-10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