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여성의 체질량지수, 체중인식 및 비만관련 삶의 질 분석
Analysis of Women's Body Mass Index, Weight Perception and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 원문보기

기본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v.17 no.3, 2010년, pp.419 - 426  

송미령 (호서대학교 간호학과) ,  이혜원 (부천성모병원) ,  조지영 (성빈센트 병원) ,  김은경 (수원과학대학 간호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Women's weight perception and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 were analyzed according to BMI (Body Mass Index). Methods: A survey was conducted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s from 178 participants. The data analysis included descriptive statistics, frequency, percentage, t-test, ANOVA, F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많은 여성들이 자신의 몸에 대해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다. 본 연구는 날씬함 혹은 마름을 이상적 체형으로 여기는 사회적 인식 속에서 여성의 삶과 건강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체중인식과 비만관련 삶의 질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는 성인여성의 BMI, 체중인식 및 비만관련 삶의 질을 분석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10대 후반에서 50대까지의 여성 대상자 178명에게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대상자에게 자가 보고식으로 기입하도록 하여 조사하였다.
  • 본 연구는 여성을 대상으로 BMI, 체중인식 및 비만관련 삶의 질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그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성인여성 대상자의 BMI, 체중인식 및 비만관련 삶의 질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자신의 체중상태에 대한 주관적 인식과 판단으로서 본 연구에서는 자신의 체중정도가 어떠하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대해 대상자가 저체중, 정상, 과체중, 비만 중에서 스스로 선택하도록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모를 중요시하고 상품화하는 현대사회에서 체중증가는 어떤 경향이 있나요? 외모를 중요시하고 상품화하는 현대사회에서 체중증가는 외적인 결함을 의미하고 나아가 행동과 능력에서도 부정적인 평가를 받는 경향이 있다. 즉, 비만한 사람은 사회적으로 게으르고 지저분하며 둔하고 못생긴 사람이라고 낙인이 찍히거나, 타인이 이러한 이유 때문에 자신을 싫어한다고 여기게 된다(DeJong, 1980).
주관적인 체중 인식은 무엇에 중요한 요소입니까? 주관적인 체중 인식은 객관적 체중상태를 반영하지 않으면서도 식이와 체중감량 행위에 중요한 요소이므로(Chang & Christakis, 2003) 자신의 신체에 대한 왜곡된 지각은 결과적으로 무리한 체중조절 시도를 초래하여 건강을 해치게 된다. 비현실적인 체중목표와 신체이미지의 잘못된 지각으로 인한 무리한 체중감량은 부작용을 초래하는데 Hong, Park, Shin과 Park (1997)은 청소년 여학생들이 본인이 선택한 체중감량 방법으로 43.
여성을 대상으로 BMI, 체중인식 및 비만관련 삶의 질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무엇인가요? • 성인여성 대상자의 연령과 체중인식별 BMI의 차이를 분석한다. • 성인여성 대상자의 체중조절관련 특성에 따른 BMI의 차이를 확인한다. • 성인여성 대상자의 BMI별 체중인식의 차이와 그에 따른 비만관련 삶의 질의 차이를 확인한다. • 성인여성 대상자의 BMI, 체중인식 및 비만관련 삶의 질 간의 상관관계를 파악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Burns, C. M., Tijhuis, M. A. R., & Seidell, J. C. (2001).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perceived body weight and dieting history in Dutch men and women. International Journal of Obesity, 25, 1386-1392. 

  2. Chang, E. Y., Kim, J. S., & Shin, S. J. (2009). Health promotion lifestyle according to self-perception of obesity and objective status measured by bioelectric impedance analysis in college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9, 693-699. 

  3. Chang, V. W., & Christakis, N. A. (2003). Self-perception of weight appropriateness in the United States.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24, 332-339. 

  4. Chaung, S. K. (2009). Body mass index and waist circumference for screening obesity in young adult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6(1), 14-20. 

  5. Choi, M. S., & Cheon, S. H. (2007). Internalization of the sociocultural attitudes, body shape satisfaction, anger and eating attitudes in college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3, 327-335. 

  6. DeJong, W. (1980). The stigma of obesity: the consequences of naive assumptions concerning the causes of physical devianc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1, 75-87. 

  7. Duggan, S. J., & McCreary, D. R. (2004). Body image, eating disorders, and the drive for muscularity in gay and heterosexual men: The influence of media images. Journal of Homosexuality, 47(3-4), 45-58. 

  8. Duval, K., Marceau, P., Perusse L., & Lacasse, Y. (2006). An overview of obesity-specific quality of life questionnaires, Obesity reviews, 7, 347-360. 

  9. Gutierrez-Fisac, J. L., Lopez Garcia, E., Rodriguez-Artalejo, F., Banegas Banegas, J. R., & Guallar-Castillon, P. (2002). Self-perception of being overweight in Spanish adults. Europe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56, 866-872. 

  10. Hong, E. K., Park, S. B., Shin, Y. S., & Park, H. S. (1997). Body image perception and self-reported weight control activities in adolescent girl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8, 714-721. 

  11. Hwang, S. H., Wang, S. K., & Shin, Y. O. (1998). Body-shape satisfaction and adjustment functions in obese adolescent school girls. Journal of Korean Neuropsychiatric Association, 37, 952-961. 

  12. Jang, Y. A., Chung, H. R., & Lee, H. J. (2002). Change of perception after weight management education among som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8, 269-279. 

  13. Jung, D. J. (2006). Influence of weight control behavior, body image, self-esteem, health promotion behavior and mental health promotion behavior in university female students by BMI. Exercise Science, 15, 365-376. 

  14. Jung, M. J., Yoon, K. L., & Shin, K. S. (2008).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ption of physique, self-esteem, sociality,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in children. Korean Journal of Pediatric Association, 51, 1052-1057. 

  15. Kang, Y., Sohn, M., Jin, K., Kim, H., Ohr, H., & Suh, S. (1998). Factors influencing weight control behavior and intention of obese children and adolescents.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31, 199-214. 

  16. Kim, B. S. (2009), A difference on body-type recognition and weight adjustment according to BMI of sport center members.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g In University, Yongin. 

  17. Kim, C. S., Jeong, T. H., Kim, M. C., & Park, J. W. (2004). Factors associated with distorted self-perception of body weight in Korean adul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5, 462-468. 

  18. Kim, E. M. (2002). Diet and nutrition problem in wome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11(3), 257-262. 

  19. Kim, J. E. (2008). Comparative study on weight perceptions and practice and food behavior of middle school students by BMI.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nam University, Daejoen. 

  20. Kim, K. H., Kim, O. R., Chung, K. O., Jeong, K. S., & Lee, E. J. (2004). Weight control experience, body image and coping according to obesity in college female student. Journal of Kimcheon Science College, 30, 63-76. 

  21. Kim, Y. K., & Shin, W. S. (2008). A comparison study on perception of body image and dietary habits of high school students between urban and rural areas.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13, 153-163. 

  22. Kushner, R. F., & Foster, G. D. (2000). Obesity and quality of life. Nutrition, 16, 947-952. 

  23. Lee, K. J., Park, N. J., Kim, J. S., & Song, Y. M. (2008). Relationship between body mass index and perception of body image in school-aged children. Journal of Korean Academy Family Medicine, 29, 424-430. 

  24. Lim, I. S. (2004). Sociocultural context of diet focussed on college women's look-discriminatory experience and the body images of mass media. The Korean Journal of Sociology, 38, 165-187. 

  25. Lim, Y. T., Park, Y. W., Kim, C. H., Shin, H. C., & Kim, J. W. (2001). Effect of weight loss on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obese pati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2, 556-564. 

  26. Niskar, A., Baron-Epel, O., Garty-Sandalon, N., & Keinan- Boker, L. (2009). Body weight dissatisfaction among Israeli Jewish and Arab women with normal or overweight-obese body mass index, Israeli INHIS-1, 2003-2004. Preventing Chronic Disease, 6(2), Retrieved July 2, 2010 from http://www.cdc.gov/pcd/issues/2009/apr/08_0118.htm. 

  27. Park, H. S., Sun, W. S., Ou, S. W., Lee, K. Y., Kim, B. S., Han, J. H., et al. (2003). Development of Korean version of obesity-related quality of life scal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12, 280-293 

  28. Park, Y. W., Shin, H. C., & Kim, C. H. (2000).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eople with overweigh and large waist circumference.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21, 753-761. 

  29. Salazar, S. S. (2006). Assessment and management of the obese adult female: A clinical update for providers. Journal of Midwifery & Women's Health, 51, 202-207. 

  30. Wong, Y., & Huang, Y. C. (1999). Obesity concerns, weight satisfaction and characteristics of female dieters: A study on female Taiwanese college students. Journal of the American College of Nutrition, 18, 194-200.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