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성인의 혼밥 횟수와 건강 관련 요인 조사: 2016년 국민건강영양조사 데이터를 이용하여
Frequency of Eating Alone and Health Related Outcomes in Korean Adults: Based on the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26 no.2, 2020년, pp.85 - 100  

안지현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  박유경 (경희대학교 국제캠퍼스 동서의학대학원 의학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Eating alone has recently become a very common dietary pattern in modern societ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requency of eating alone and health related issues including chronic diseases, depression, and the quality of life (QOL). The 2016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7기 1차년도(2016)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19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증가되고 있는 홀로 식사의 빈도 현황을 파악하고, 한국 성인의 혼밥 횟수에 따른 건강 및 체형 관련 사항, 식품섭취량, 대사증후군 유병률, 우울증 및 삶의 질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혼밥족의 바람직한 식생활과 건강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7기 1차년도(2016)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19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증가되고 있는 홀로 식사의 빈도 현황을 파악하고, 한국 성인의 혼밥 횟수에 따른 건강 및 체형 관련 사항, 식품섭취량, 대사증후군 유병률, 우울증 및 삶의 질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혼밥족의 바람직한 식생활과 건강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 그러나 홀로 식사와 관련된 국내 선행연구들은 특정 끼니에 제한을 두어 분석하거나, 청소년, 노인 등의 특정 연령층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고, 홀로 식사 횟수에 따른 건강 관련 요인에대해 분석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증가되고 있는 홀로 식사의 빈도 현황을 파악하고, 혼밥 횟수에 따른 건강 및 체형 관련 사항, 식품섭취량, 만성질환 관련 대사증후군 유병률, 우울증 및 삶의 질에 대하여 다양하게 살펴보고자 시행되었다. 본 연구는 제7기 1차년도(2016) 국민건강영양조사에 참여한 만 19세 이상의 성인 4,9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홀로 식사를 하는 혼밥족들이 선호하는 식품은? 한편, 홀로 식사를 하는 혼밥족들은 주로 라면, 빵, 김밥, 샌드위치 등의 간편 단일 식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Oh 2016), 이러한 식생활은 단백질, 칼슘 등의 영양소 섭취는 부족하게 되고, 당질, 나트륨 등은 과잉섭취하게 되어 영양불균형을 초래할 수 있으며, 비만, 고혈압 등의 대사증후군 유병률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Shin 등 2017). 심혈관계 질환의 발생과 사망률을 높이는 위험인자인 대사증후군은 복부비만, 고혈압, 고지혈증 등의 여러 질환이 한 사람에게 동시에 복합적으로 나타나는 상태로(Ford 2005), 삶의 질을 저하시키며(Ford & Li 2008) 다양한 합병증이 발병될 수 있으므로 심각성이 크다(Eckel 등 2002).
홀로 먹는 식사가 영향을 미치는 정신적 질환은? 또한 홀로 먹는 식사는 우울증 및 삶의 질과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울증이란 현대 사회에서 흔한 정신질환 중 하나로써, 슬프거나 울적한 기분 상태에서 지속적으로 무기력한 정신 상태를 보이며, 일상 기능의 저하를 일으키는 질환을 의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Reynolds 등 2012).
홀로 식사가 보편적인 식생활 형태로 자리잡게 된 원인은? 최근 홀로 식사를 하거나, 혼자 영화를 보거나, 혼자 여행을 다니는 등의 ‘혼자족’과 관련된 용어가 생겨나면서 홀로 식사하는 이들을 지칭하는 ‘혼밥족’이라는 신조어가 생성될 만큼 홀로 식사는 현대 사회의 보편적인 식생활 형태로 자리 잡고 있다(Song 등2017). 이러한 현상의 원인으로는 경제성장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 여성의 사회진출 등이 있지만 특히, 핵가족화 및 1인 가구의 급격한 증가와 밀접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ark & Ahn 2014). 2018년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2000년 222만 가구(1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o SE, Nam BW, Seo JS (2018): Impact of eating-alone on depression in Korean female elderly: findings from the sixth and seven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 and 2016. Mood Emot 16(3):169-177 

  2. Choi HS, Choi JH, Park KH, Joo KJ, Ga H, Ko HJ, Kim SR (2007): Standardiz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Patient Health Questionnaire-9 as a screening instrument for major depressive disorder. J Korean Acad Fam Med 28(2):114-119 

  3. Eckel RH, Barouch WW, Ershow AG (2002): Report of the national heart, lung, and blood institute-national institute of diabetes and digestive and kidney diseases working group on the pathophysiology of obesity-associated cardiovascular disease. Circulation 105(24):2923-2928 

  4. Ford ES (2005): Prevalence of the metabolic syndrome defined by the 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among adults in the U.S. Diabetes Care 28(11):2745-2749 

  5. Ford ES, Li C (2008): Metabolic syndrome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U.S. adults. Ann Epidemiol 18(3): 165-171 

  6. Kim CK, Kim HJ, Chung HK, Shin D (2018): Eating alone is differentially associated with the risk of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men and women.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15(5):E1020 

  7. Kim HK, Chung J (2019): Associations of the eating alone behavior with nutrient intake,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in middle-aged adults based on the 2013-2017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Nutr Health 52(5):435-448 

  8. Kimura Y, Wada T, Okumiya K, Ishimoto Y, Fukutomi E, Kasahara Y, Chen W, Sakamoto R, Fujisawa M, Otsuka K, Matsubayashi K (2012): Eating alone among communitydwelling Japanese elderly: association with depression and food diversity. J Nutr Health Aging 16(8):728-731 

  9. Korea Statistics (2018). Results of the 2017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 Available from: http://kostat.go.kr/portal/korea/kor_nw/1/2/2/index.board?bmoderead&bSeq&aSeq370806&pageNo1&rowNum10&navCount10&currPg&searchInfo&sTargettitle&sTxt. Accessed September 28, 2018 

  10. Kroenke K, Spitzer RL, Williams JB (2001): The PHQ-9: validity of a brief depression severity measure. J Gen Intern Med 16(9):606-613 

  11. Lee KI, Hwang YJ, Ban HJ, Lim SJ, Jin HJ, Lee HS (2015a). Impact of the growth of single-person households on the food market and policy tasks. Available from: http://www.krei.re.kr/eng/researchReportView.do?key355&pageType010101&biblioId395430&pageUnit10&searchCndall&searchKrwd&pageIndex16&engViewY. Accessed January 26, 2016 

  12. Lee Y, Oh YJ, Cho W, Jo PK (2015b): Differences in solo eating perceptions and dietary behaviors of university students by gender. J Korean Diet Assoc 21(1):57-71 

  13. Lowe B, Kroenke K, Herzog W, Grafe K (2004): Measuring depression outcome with a brief self-report instrument: sensitivity to change of the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PHQ-9). J Affect Disord 81(1):61-66 

  14. Oh YJ (2016): Analysis of nutrients and food behaviors of eating alone according to increasing in single households. Proceedings of 2016 Spring Conference of the Korean Society of Community Nutrition. Seoul. pp.1-14 

  15. Park H, Na K (2015): Study on restaurant francise service reflected on a single household consumer patterns - focus on 2030 generation. J Digit Des 15(3):697-704 

  16. Park M, Ahn B (2014): Impacts of food consumption lifestyle on the expenditure for the processed food: using cluster analysis and matching method. J Rural Dev 37(3):25-58 

  17. Reynolds CF 3rd, Cuijpers P, Patel V, Cohen A, Dias A, Chowdhary N, Okereke OI, Dew MA, Anderson SJ, Mazumdar S, Lotrich F, Albert SM (2012): Early intervention to reduce the global health and economic burden of major depression in older adults. Annu Rev Public Health 33:123-135 

  18. Shin GN, Kim YR, Kim MH (2017): Nutritional evaluation of convenience meals in convenience stores near the universities. Korean J Community Nutr 22(5):375-386 

  19. Song EG, Yoon YS, Yang YJ, Lee ES, Lee JH, Lee JY, Park WJ, Park SY (2017): Factors associated with eating alone in Korean adults: findings from the six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4. Korean J Fam Pract 7(5):698-706 

  20. Spitzer RL, Kroenke K, Williams JB (1999): Validation and utility of a self-report version of PRIME-MD: the PHQ primary care study. Primary Care Evaluation of Mental Disorders. Patient Health Questionnaire. JAMA 282(18):1737-1744 

  21. Sung SJ, Kwon S (2010): Effect of eating with family or alone on the self-rated mental or physical health: the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Daejeon area. Korean J Community Nutr 15(2):206-226 

  22. Wang X, Shen W, Wang C, Zhang X, Xiao Y, He F, Zhai Y, Li F, Shang X, Lin J (2016): Association between eating alone and depressive symptom in elders: a cross-sectional study. BMC Geriatr 16:19 

  23. Ware JE, Kosinski M, Dewey JE, Gandek B (2001): How to score and interpret single-item health status measures: a manual for users of the of the SF-8 health survey: (with a supplement on the SF-6 health survey). QualityMetric Inc. Lincoln. p.5 

  24. Yang JS, Bae EJ, Hong JE, Kang J, Jeon WJ (2017): Eating alone among Korean elderly association with depressive symptoms: the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2013. Korean J Fam Pract 7(6):904-908 

  25. Yoon H (1997): Factors affecting quality of life of the Korean aged stroke patients. Int J Aging Hum Dev 44(3):167-18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