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패션 명품 소비가치가 획득가치 지각에 미치는 영향과 유보가격의 역할
The Effects of Fashion Luxury Consumption Values on the Perceived Acquisition Value and the Role of Reservation Price 원문보기

The Research Journal of the Costume Culture = 복식문화연구, v.18 no.4, 2010년, pp.774 - 788  

윤남희 (한국컬러&패션트랜드센터 패션기획팀) ,  윤송이 (한양대학교 의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luxury consumption values for luxury consumers.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ir luxury consumption values and the effects of the values on the perceived acquisition value. This study also divided data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res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비자가 패션 명품에 대한 다면적인 소비 가치를 살펴보고, 구매 시 비용을 지불함으로써 소비자가 상품을 획득하는 가치지각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 밝히고자 한다. 또한, 소비자가 패션 명품을 획득하는데 대한 가치를 지각함에 있어 영향을 미치는 다면적인 명품 소비 가치의 차원이 소비자가 지불하고자 하는 가격의 수준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힘으로써 명품을 구매하는 소비자의 행동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한다.
  • 본 연구에서는 패션 명품을 국내에서 지속적으로 판매, 유통되고 전통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품의 미적 취향에서 품질이 좋고 세련된 디자인을 유지 하는 브랜드라고 보았다. 또한, 소비자가 고가의 가격을 기꺼이 지불해 개인의 상징적 가치를 사회적으로 표출시킬 수 있다고 여겨지는 브랜드로 규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패션 명품 브랜드를 소비하는데 있어 본원적인 명품의 가치를 상징성, 품질, 디자인 특성, 전통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최근 패션 명품을 구매한 경험을 토대로 패션 명품 소비가치와 소비 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설문지를 구성하였다. 최근의 연구58)에 의하면 명품 산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상품은 가방이며, 가방이 명품의 가시성 및 여러 속성을 가장 잘 나타낸다는 점을 감안하여, 본 연구에서 패션 명품 브랜드를 가방을 구매한 브랜드로 제한하였다.
  • 본 연구는 패션 명품 소비 가치의 하위 차원을 구분하고, 명품 소비 가치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살펴보고자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패션 명품의 소비가 증가함에 따라 소비자가 인식하는 명품의 가치가 실제 구매로 이어질 때 제품을 획득하게 되는 가치에 있어 관계가있는지, 그리고 소비자가 명품 브랜드에 지불하고자 하는 유보가격의 수준이 실제 구매 금액과의 상대적인 비교를 통해 명품을 획득하는 가치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명품의 소비 가치가 무엇인지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 본 연구에서는 브랜드를 구매하여 획득함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패션 명품을 획득함에 있어 효용가치를 지각하는데 소비자의 개인 혹은 사회적 차원의 다양한 소비 가치의 존재를 확인해 보고자한다. 특히 상징적 가치, 품질적 가치뿐 아니라, 패션 명품에서 나타나는 디자인 혁신 가치와 전통적 가치가 명품 획득함에 있어 지불하는 비용에 비해 소장 혹은 가격 효용에 대한 가치 지각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함으로써 소비자의 명품 구매에 대한 설명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 본 연구에서는 패션 명품을 국내에서 지속적으로 판매, 유통되고 전통성을 가지고 있으며 상품의 미적 취향에서 품질이 좋고 세련된 디자인을 유지 하는 브랜드라고 보았다. 또한, 소비자가 고가의 가격을 기꺼이 지불해 개인의 상징적 가치를 사회적으로 표출시킬 수 있다고 여겨지는 브랜드로 규정하고자 하였다.
  • 연구 문제 2. 소비자의 유보가격 형성에 따라 패션 명품 소비 가치가 명품 획득 가치 지각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있는지 밝힌다.
  • 또한, 소비자가 고가의 가격을 기꺼이 지불해 개인의 상징적 가치를 사회적으로 표출시킬 수 있다고 여겨지는 브랜드로 규정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패션 명품 브랜드를 소비하는데 있어 본원적인 명품의 가치를 상징성, 품질, 디자인 특성, 전통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22)은 명품 소비가치를 개인적 가치, 사회적 가치, 기능적 가치, 금전적 가치로 구분하면서 개인의 정체성, 즐거움, 물질주의, 과시적 성향 등이 포함되는 개인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를 동일 차원 선상에서 비교하고 있다. 즉, 명품의 상징성은 사회적 과시와 함께 개인의 만족과 즐거움에 대한 혜택도 주는 가치로23,24) 본 연구에서는 패션 명품 소비에 대한 사회적 개인적 가치 측면이 모두 포함된 중요한 패션 명품의 소비 가치 차원으로 보고자 한다.
  • . 특히 브랜드가 갖는 상징적인 의미를 소비하는 경향이 점차 커지면서 명품을 소유하고, 상류계층의 취향을 공유하려고 한다. 즉, 소비자는 전통적으로 고가격, 고품질, 권위와 연관된 가치를 얻을 뿐 아니라, 주관적인 패션 명품의 다양한 가치를 인정함으로 인해 소비하게 된다.
  • 연구 문제 1. 패션 명품 소비가치의 차원을 구분하고, 획득가치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 명품 소비가치를 밝힌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비자들이 중요하게 평가하는 명품의 소비 가치를 파악하는 것이 명품 소비 시장에서 소비자의 구매 행동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되는 이유는? 소비자들은 명품 브랜드를 소유함으로써 심리적 혹은 기능적 욕구를 충족시킨다3). 특히 브랜드가 갖는 상징적인 의미를 소비하는 경향이 점차 커지면서 명품을 소유하고, 상류계층의 취향을 공유하려고 한다. 즉, 소비자는 전통적으로 고가격, 고품질, 권위와 연관된 가치를 얻을 뿐 아니라, 주관적인 패션 명품의 다양한 가치를 인정함으로 인해 소비하게 된다. 따라서 소비들이 중요하게 지각하고 평가하는 명품의 소비 가치를 파악하는 것은 확대되는 명품 소비 시장에서 소비자의 구매 행동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될 수 있다.
국내에서 명품 브랜드는 대체적으로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가? 명품 브랜드는 브랜드의 명성이 있고 소비자들이 구매에 대한 열망을 가지며, 전통과 혁신을 가지는 글로벌 브랜드를 지칭한다12). 특히 국내에서는 대체로 외국으로부터 수입하여 지속적인 판매와 유통되고 있는 브랜드로13), 품질이 좋으며, 세련된 디자인을 갖는 상품으로 인식되고 있다14). Fionda 와 Moore15)의 연구에서는 패션 명품에서 전통성은 브랜드의 희귀성을 갖게 해주는 전략적 측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명품 브랜드는 어떠한 것을 지칭하는가? 명품 브랜드는 브랜드의 명성이 있고 소비자들이 구매에 대한 열망을 가지며, 전통과 혁신을 가지는 글로벌 브랜드를 지칭한다12). 특히 국내에서는 대체로 외국으로부터 수입하여 지속적인 판매와 유통되고 있는 브랜드로13), 품질이 좋으며, 세련된 디자인을 갖는 상품으로 인식되고 있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4)

  1. 고은주, 오선민 (2009). "럭셔리 브랜드의 고객자산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3권 7호. 

  2. 김광수, 김미승 (2002). "외국 유명 브랜드 구매의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광고연구 55권. 

  3. 김영이, 김재영, 신창락 (2007). "브랜드애호도에 따른 가격할인율의 차이가 소비자의 획득 가치와 거래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마케팅과학회지 17권 4호. 

  4. 김지영, 고은주 (2010). "럭셔리 패션 브랜드의 디자인 특성에 따른 브랜드 태도와 구매 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의류학회지 34권 2호. 

  5. 박주영, 이상호, 최자영 (2008). "명품 브랜드를 향한 태도에 대한 소비 가치 및 신념의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0권 2호. 

  6. 박찬수 (2002). 마케팅원리. 서울: 법문사. 

  7. 보스하르트 (2002). 소비의 미래. 박종대 역. 서울: 생각의 나무. 

  8. 윤남희 (2008). "의복구매 의사결정과정에 나타나는 가격관련반응."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9. 이승희, 이랑, 정소연 (2003). "패션 명품 브랜드에 대한 구매 행동연구."한국의류학회지 27권 11호. 

  10. 이승희, 임숙자 (2000). "가격과 상표가 의복의 품질, 가치,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4권 4호. 

  11. 임지훈, 김형식, 이학식 (2006). "브랜드 명품성 측정 도구의 개발." 광고연구 73권. 

  12. 정인희 (2009). "고기능성 스포츠레저웨어의 프리미엄가격 지각에 대한 연구: 스포츠레저활동도, 웰빙 건강 의식 및 인구통계적 특성과의 관련성을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3권 9호. 

  13. 정지원, 정순희, 차경욱 (2003). "물질주의 성향과 과시 소비 성향이 수입명품 선호도에 미치는 여향: 대학생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1권 5호. 

  14. 최미영 (1997). "의류제품의 품질평가에 있어서 가격단서의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최미영, 이은영 (1998). "의류제품의 품질평가과 가격 단서의 영향." 복식문화학회지 22권 

  16. 최선형 (2001). "패션 명품에 대한 태도연구." 복식문화연구 9권 6호. 

  17. 최선형 (2003). "지각된 제품특성과 과시적 소비 성향이 패션 명품 관여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7권 2호. 

  18. "명품시장 5조원시대-럭셔리 대명사 루이비통 한국매출 연 5900억" (2010년 7월 5일 [2010년 7월7일 검색]).한국경제 [온라인뉴스]; available from World Wide Web@http://www.hankyung.com/ news/app/newsview.php?aid2010070552181&si d&nid&type106 

  19. Aaker, D. (1991). Managing Brand Equity: Capitalizing on the Value of Brand Name. New York: Free Press. 

  20. Aaker, D. A. and R. Jacobson (1994). "The Financial Information Content of Perceived Qualit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31. 

  21. Dodds, W. B. and K. B. Monroe (1985). "The Effect of Brand & Price Information on Subjective Product Evaluations."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 12. 

  22. Dodds, W. B., K. B. Monroe and G. Dhruv (1991). "Effects of Price, Brand, and Store Information on Buyers' Product Evaluation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28, No. 3. 

  23. Dubois, B. and P. Duquesne (1993). "The Market for Luxury Goods: Income Versus Culture."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Vol. 27, No. 1. 

  24. Fionda, A. M. and C. M. Moore (2008). "The Anatomy of the Luxury Fashion Brand." Brand Management Vol. 16, No. 5/6. 

  25. Fornell, C. and D. F. Larcker (1981).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18, No. 1. 

  26. Grewal, D., K. B. Monroe and R. Krishnan (1998). "The Effects of Price-Comparison Advertising on Buyers' Perceptions of Acquisition Value, Transaction Value, and Behavior Intentions." Journal of Marketing Vol. 62, No. April. 

  27. Grossman, G. M. and C. Shapiro (1988). "Counterfeit- Product Trade." The American Economic Review Vol. 78. 

  28. Holbrook, M. B. (2006). "Consumption Experience, Customer Value, and Subjective Personal Introspection: An Illustrative Photographic Essay."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 59. 

  29. Holt, D. B. (1995). "How Consumers Consume: A Typology of Consumption Practice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22, No. June. 

  30. Husic, M. and M. Cicic (2009). "Luxury Consumption Factors." Journal of Fashion Marketing and Management Vol. 13, No. 2. 

  31. Kwon, K. and D. W. Schumann (2001). "The Influence of Consumers' Price Expectations on Value Perception and Purchase Intention."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Vol. 28. 

  32. Lichtenstein, D. R., N. M. Ridgway and R. G. Netemeyer (1993). "Price Perceptions and Consumer Shopping Behavior: A Field Study."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30, No. 2. 

  33. Mason, R. S. (1984). "Conspicuous Consumption: A Literature Review." European Journal of Marketing Vol. 18, No. 3. 

  34. Monroe, K. B. (1990). Pricing: Making Profitable Decisions. New York: McGraw-Hill. 

  35. Monroe, K. and R. Krishnan. "The Effect of Price on Subjective Product Evaluations," in Perceived Quality: How Consumers View Stores and Merchandise, ed. J. Jacoby and J. C. Olson, MA: Lexington Book. 

  36. Nia, A. and J. L. Zaikowsky (2000). "Do Counterfeits Devalue the Ownership of Luxury Brands?" Journal of Product and Brand Management Vol. 9, No. 7. 

  37. Okonkwo, W. (2007). Luxury Fashion Branding. Hampshire: Palgrave Macmillan. 

  38. Prahalad, C. K. and V. Ramaswamy (2004). "Co-creating Unique Value with Customers." Strategy & Leadership Vol. 32, No. 3. 

  39. Thaler, R. (1985). "Mental Accounting and Consumer Choice." Marketing Science Vol. 4. 

  40. Vickrey, W. (1961). "Counter Speculation Auctions and Competitive Sealed Tenders." Journal of Finance Vol. 16. 

  41. Vigneron, F. and L. W. Johnson (2004). "Measuring Perceptions of Brand Luxury." Journal of Brand Management Vol. 11. 

  42. Vigneron, F. and L. W. Johnson (1999). "A Review and a Conceptual Framework of Prestige-seeking Consumer Behavior."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Review Vol. 1. 

  43. Wiedmann, K. P., N. Hennigs and A. Siebels (2009). "Value-based Segmentation of Luxury Consumption Behavior." Psychology & Marketing Vol. 26, No. 7. 

  44. Zaichkowsky, J. L. (1985). "Measuring the Involvement Construct."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129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