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군병원 퇴원환자의 전환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평가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Transitional Care Program for Patients Discharged from Military Hospitals 원문보기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 대한간호학회지, v.40 no.4, 2010년, pp.599 - 609  

조순영 (국군간호사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evaluate a transitional care program for patients discharged from military hospitals. The study consists of two phases: developing the program and evaluating its effectiveness. Methods: The conceptual framework used to guide the development of t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체적으로, 기존의 『퇴원환자 건강정보지』와 프로그램에 포함된 개별적인 『○○○의 퇴원 후 주의사항』의 차이점은 첫째, 의료진들끼리 작성하고 확인하는 것이 아니라 퇴원병사의 의견이 반영될 수 있도록 작성 전에 함께 의논하여 구체적으로 훈련일정 등을 명시하거나 열외조치를 의견으로 제시하며 둘째, 자대간부에게만 서류를 주는 것이 아니라 자가관리를 위해 퇴원병사에게도 제공하고 셋째, 전반적인 질병관리 정보와 금연, 자대에서 할 수 있는 근육/관절강화운동 등 구체적인 내용을 포함시켰다. 무엇보다도 의학용어로 기술하는 것이 아니라 퇴원병사와 자대간부가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기술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의 퇴원 후 주의사항』은 향후 군병원 『퇴원환자 건강정보지』개선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는 군병원 퇴원환자들이 순조로운 퇴원전환 경험을 통해 건강관리뿐만 아니라 원만한 자대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Meleis 등(2000)의 전환이론을 기초로 전환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검증하였다.
  • 본 연구는 군병원 퇴원환자를 대상으로 Meleis의 전환이론을 이론적 기틀로 군병원 퇴원환자의 전환관리 프로그램을 개발∙적용하여, 퇴원환자의 개인적 조건을 촉진하고, 퇴원 1주 후 건강한 퇴원전환 반응양상과 순조롭게 퇴원전환을 경험하는데 돕는데 효과적임을 규명한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설계의 유사실험연구이다. 연구결과 개발된 군병원 퇴원환자 전환관리 프로그램은 군병원 퇴원환자의 퇴원준비를 촉진시키고 퇴원전환의 결과보다는 과정에 더 효과적이며, 전환반응양상 중 연결감과 상호작용이 향상되어 퇴원환자의 순조로운 퇴원전환을 촉진하였다.
  • 본 연구는 군병원 퇴원환자의 전환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퇴원환자의 퇴원준비, 1주 후 퇴원전환, 5주 후 퇴원전환, 순조로운 퇴원전환 경험에 미치는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비동등성 대조군 사후실험설계(Nonequivalent control group posttest design)를 이용한 유사실험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군병원 퇴원환자가 건강하게 퇴원전환을 경험할 수 있도록 전환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그 효과를 평가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연구는 군병원 퇴원환자의 건강한 퇴원전환을 돕기 위한 전환관리 프로그램을 Meleis 등(2000)의 전환이론에 기초하여 개발함으로써 군병원 퇴원환자의 순조로운 퇴원전환 경험에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군병원 퇴원환자 전환관리 프로그램 개발 및 중재제공을 위한 이론적 기틀은 Figure 1과 같다.
  • 이에 본 연구는 군병원 퇴원환자의 순조로운 퇴원전환 경험을 돕고 군 생활 적응을 도모하여, 군병원 퇴원관련 정책 변화 및 군전투력 보존에 이바지하고자 Meleis의 전환이론을 근거로 군병원 퇴원환자를 위한 전환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효과를 평가하였다.
  • 즉, 개발된 프로그램의 대상은 정신과에 입원하지 않았고, 자대로 퇴원하는 계급이 상병 이하인 군병원 입원환자이며, 프로그램의 목적은 군병원 퇴원환자가 병원에서 자대로의 전환을 순조롭게 경험하도록 돕고, 군병원 퇴원병사의 건강과 자대 생활 문제점을 규칙적으로 사정하여 실제 혹은 잠재적인 문제를 확인하고 조기중재가 가능하게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연구자가 대상자가 입원했던 병실 선임간호장교들의 도움을 받아 전환관리 프로그램을 실시하였으며, 군병원 퇴원 1주전부터 퇴원환자의 퇴원준비를 돕고 퇴원 5주후까지 지속적인 추후관리 제공과 자대 지휘관과 퇴원환자간의 효과적인 상호작용을 증진하는 중재를 제공하였다(Table 1).

가설 설정

  • 제1가설: 군병원 퇴원환자 전환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군병원 퇴원전환의 개인적 조건이 촉진되어 퇴원준비점수가 높을 것이다.
  • 제2가설: 군병원 퇴원환자 전환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퇴원 1주 후 시점에서 대조군보다 건강한 반응양상이 나타나 퇴원전환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제3가설: 군병원 퇴원환자 전환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퇴원 5주 후 시점에서 대조군보다 건강한 반응양상이 나타나 퇴원전환 점수가 높을 것이다.
  • 제4가설: 군병원 퇴원환자 전환관리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군은 퇴원 1주 후부터 퇴원 5주 후까지 퇴원전환기간동안 대조군보다 순조롭게 퇴원전환을 경험하여 퇴원전환 점수가 높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환이란 무엇인가? 전환(transition)은 하나의 상태나 조건 또는 장소에서, 또 다른 상태나 조건 또는 장소로의 이동과정이며, 단순한 사건이나 변화 자체가 아니라 일정시간에 걸쳐 발생하는 필연적인 변화와 적응과정이다(Kralik, Visentin, & Vanloon, 2006).
전환의 예측 가능여부에 따른 분류는 무엇이 있는가? 전환의 여러 가지 분류들 중에서 공통적인 것은 전환의 예측가능 여부와 역할변화를 근거로 한다는 것이다. 전환의 예측 가능여부에 따른 분류에는 사춘기, 결혼, 임신, 퇴직과 같이 연령과 관련된 발달적-성숙적 전환이 있고, 갑작스런 자녀의 죽음이나 실직과 같은 상황적 전환이 있으며, 급성 또는 만성질병 경험과 관련된 건강/질병 전환도 있다. 또한, 역할변화의 기간, 역할의 명확성이나 모호함의 정도, 역할을 위한 준비 등에 따라 전환의 결과가 달라지므로, 역할변화를 근거로 전환상태를 분류하기도 한다(Murphy, 1990).
군병원 퇴원환자를 대상으로 전환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의미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특히, 군병원 퇴원환자는 가족이 돌봐주는 집으로 퇴원하는 것이 아니라 상하급자와 공동체 생활을 해야하는 자대로 복귀하며, 자신의 임무를 즉시 수행해야 하는 환경에 처하게 됨으로서 민간병원환자와는 다른 전환을 경험한다. 군병원 퇴원은 퇴원결정시 자발성이 결여되고, 퇴원 후 환경통제가 어려워 퇴원 전환이 순조롭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인간호 측면에서의 퇴원환자 건강관리는 체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군병원 퇴원환자를 대상으로 안녕감과 안정회복을 도울 수 있는 전환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은 의미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nthony, M. K., & Hudson-barr, D. (2004). A patient-centered model of care for hospital discharge. Clinical Nursing Research, 13, 117-136. 

  2. Cho, I. S., & Park, Y. S. (2004). Transition model of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515-524. 

  3.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 

  4. Davidson, P. M., Dracup, K., Phillips, J., Padilla, G., & Daly, J. (2007). Maintaining hope in transition: A theoretical framework to guide intervention for people with heart failure. Journal of Cardiovascular Nursing, 22, 58-64. 

  5. Davis, S. (2005). Meleis's theory of nursing transitions and relatives' experiences of nursing home entry.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2, 658-671. 

  6. Kralik, D., Visentin, K., & VanLoon, A. (2006). Integrative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es. Transition: A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5, 320-329. 

  7. Lee, J. S., Park, M. H., & Kim, J. H. (2002). A descriptive study on health management of soldiers after hospitalization. The Journal of the Korean Military Medical Association, 34, 208-228. 

  8. Lynn, M. R. (1986). Determination and quantification of content validity. Nursing Research, 35, 382-385. 

  9. Meleis, A. I., Sawyer, L. M., Im, E. O., Hilfinger Messias, D. K., & Schumacher, K. L. (2000). Experiencing transitions: An emerging middle-range theory. Advances in Nursing Science, 23, 12-28. 

  10. Murphy, S. A. (1990). Human responses to transition: A holistic nursing perspective. Holistic Nursing Practice, 4(3), 1-7. 

  11. Park, Y. S. (1991). Transition to motherhood of primipara in postpartum period.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2. Schlossberg, N. K. (1981). A model for analyzing human adaptation to transition. The Counseling Psychologist, 9(2), 2-18. 

  13. Schumacher, K. L., & Meleis, A. I. (1994). Transition: A central concept in nursing.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26, 119-127. 

  14. Sindhu, S., Suttipong, C., & Ratinthorn, A. (2007, February). Nursing therapeutic for research application of transition theory. In K. O. Oh (Chair), Meeting Dr. Afaf Ibrahim Meleis: Situationspecific theory and transition theory. Conference conducted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International Annual Conference, Daejon, Korea. 

  15. Shin, H. J. (2004). Maternal transition in mothers with high risk newborn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243-251. 

  16. Shin, T. S. (1982).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olider's ego identity and the solider's adjustment during army life.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7. Walker, L. O., & Avant, K. C. (2005). Strategies for theory construc- tion in Nursing (4th ed.). New Jersey: PEARSON Prentice Hall. 

  18. Weiss, M. E., & Piacentine, L. B. (2006).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readiness for hospital discharge scale. Journal of Nursing Measurement, 14, 163-180. 

  19. Weiss, M. E., Piacentine, L. B., Ancona, J., Gresser, S., Toman, S., & Vega-Stromberg, T. (2007). Perceived readiness for hospital discharge in adult medical-surgical patients. Clinical Nurse Specialist, 21, 31-42.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