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경남 합천군의 관속식물 분포와 자원특성에 관한 연구 - 오도산, 황매산, 대암산, 무월봉을 중심으로 -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and Plant Resources Characteristics in Hapcheon-gun, Gyeongsangnamdo Province - Mt. Odo, Mt. Hwangmae, Mt. Daeam, and Muweol Peak -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4 no.4, 2010년, pp.406 - 425  

한종원 (세명대학교 자연약재과학과) ,  김현준 (세명대학교 자연약재과학과) ,  강신호 (세명대학교 자연약재과학과) ,  양선규 (충북대학교 생물학과) ,  박정미 (국립생물자원관 고등식물연구과) ,  장창기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2009년 3월부터 10월까지 경상남도 합천군일대의 자원식물분포조사를 수행하였다. 본 조사를 통해 확인된 조사지역내의 소산 관속식물은 82과 292속 427종 4아종 49변종 9품종으로 총 489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조사 지역에서 분포하고 있는 식물의 자원 유용도를 분석한 결과, 식용자원식물이 187분류군, 섬유용 자원식물이 9분류군, 약용 자원식물이 137분류군, 관상용 자원식물이 52분류군, 초지 자원식물이 126분류군, 공업원료자원이 2분류군, 염료용 자원식물이 112분류군, 목재용 자원식물이 16분류군,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이 134분류군로 구분되었다 특기할만한 식물로는 한국 특산 관속식물이 총 18분류군, 환경부지정 특정식물종이 33분류군, 희귀식물은 2분류군으로 각각 조사되었고, 귀화식물은 44분류군으로서 전체분류군의 약 8.9%를 차지하였다. 한편 조사지역의 식생은 비교적 양호한 편이었으나, 레저시설이 형성되거나, 중계소, 사찰 등으로 인한 임도와, 저지대의 많은 농경지로 인해, 귀화식물의 분포가 빠르게 확산될 우려가 크므로 이에 따른 적절한 조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lora for resource plants in Hapcheon-gun were investigated 10 times from March to October, 2009. Based on collected voucher specimens, the flora of this area consisted of 489 taxa in total; 82 families, 292 genera, 427 species, 4 subspecies, 49 varieties and 9 forms. The resources plants in the...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이러한 연구는 단지 합천군 내의 지엽적인 산지나 일부 지역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합천군전 지역에 걸쳐 수행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합천군의 식물상을 대표할 수 있는 고산 4지역을 선정하여 채집된 증거표본을 바탕으로 자원식물을 조사하고, 주요 특기할 만한 식물들의 현황을 조사하여 자연자원의 효율적인 관리와 자연생태계 보전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조사지역의 식물구계학상은 어디에 해당하는가? 본 조사지역은 식물구계학상으로 한반도 남부아구에 속하며(Lee and Yim, 1978; 2002), 식물 군계 수준에서는 냉 온대남부와 난온대북부에 해당된다(Yim and Kira, 1975). 또한 식생지리학적으로는 대륙형이며 한반도아형의 남부/산지형이다(Kim, 1992).
조사지역에서 생육이 확인된 한국특산식물중 공통적으로 제시되는 분류군은 무엇인가? , 2005) 보다 다양한 특산식물이 분포한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 중 공통적으로 특산이라 제시한 분류군은 진범(Aconitum pseudolaeve Nakai), 개나리(Forsythia koreana (Rehder) Nakai, 식재), 오동나무(Paulownia coreana Uyeki, 식재), 병꽃나무(Weigela subsessilis (Nakai) L.H.Bailey)로 총 4분류군이었다(Table 5).
합천군 일대 조사 지역의 자원식물은 어떻게 구분되는가? 조사 지역의 자원식물을 용도별로 구분해보면(Lee, 1976) 식용자원식물이 187분류군(38.2%), 섬유용 자원식물이 9분류군(1.8%), 약용 자원식물이 137분류군(28.0%), 관상용 자원식물이 52분류군(10.6%), 초지 자원식물이 126분류군(25.8%), 공업원료자원이 2분류군(0.4%), 염료용 자원식물이 112분류군(22.9%), 목재용 자원식물이 16분류군(3.3%), 용도가 밝혀지지 않은 식물이 134분류군(27.4%)로 구분되었다. 이 중 식용자원, 약용자원, 초지자원, 염료용자원이 비교적 많이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Chung, M.S, P.S. Park and H.J. Kahng(1996) A Floristic Study of Mt. Jagul. Agric. Tech Res. Inst.(Chinju Nat. Univ.) 9: 169-177. 

  2. Flora of Korea Editorial Committee(2007) The Genera of Vascular Plants of Korea. Academy Publishing Co., Seoul. 

  3. Hapcheon Province(2009) http://hc.go.kr/index.php. 

  4. Kang, D.S. and W.K. Paik(2007)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plant in northern region on Gyeonggi-Province. Korean J. Pl. Taxon 3(1): 41-59. (in Korean) 

  5. Kim, C.S. and K.H. Oh(1999) Vegetative Regeneration in the Disturbed Wetland of Parksil-nup, Hapcheon. Juornal of Institute of Evironment Protection. Gyeongsang National Univ. 7: 1-17. 

  6. Kim, J.W.(1992) Vegetation of Northeast Asia: On the syntaxonomy and syngeography of the oak and beech forests. Ph.D. Thesis, University of Vienna, Vienna. 

  7. Kim, M.Y.(2004) Korean Endemic Plants. Solkwahak, Seoul. (in Korean) 

  8. Kim, Y.S., G.T Kim and J.S. Woo(1989) A study on the vegetation in Kaya Mountain National Park. Kor. J. Env. Ecol. 3: 16-27. (in Korean) 

  9.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2004-2008) Annual Climatological Report. Seoul. (in Korean) 

  10. Korea National Arboretum and The Plant Taxonomic Society of Korea(2007) A Synonymic 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in Korean) 

  11. Korea National Arboretum(2008) Rare plants data book in Korea. Geo Book, Seoul. (in Korean) 

  12. Lee, W.B. and Y.M. Jeon(2001) A flora of Mt. Odosan (Hapcheon. Goryeong) and its neighboring areas. Bull. Nat. Sci. Yong-In Univ. 6(1): 123-150. 

  13. Lee, T.B.(1976) Vascular plants and their uses in Korea. Bull. Kwanak Arb. 1: 1-137. (in Korean) 

  14. Lee, T.B.(2003) Coloured Flora of Korean Vols I and II. Hyangmunsa, Seoul. (in Korean) 

  15. Lee, W.T.(1996a) Standard Illustration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Seoul. (in Korean) 

  16. Lee, W.T. and Y.J. Yim(1978) Studies on the distribution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8: 103-107. (in Korean) 

  17. Lee, W.T. and Y.J. Yim(2002) Plant geography with special reference to Korea, Kangwon National University Press, Chucheon. (in Korean) 

  18. Lee, Y.N.(1996b) Flora of Korea. Kyohak Publishing Co, Seoul. (in Korean) 

  19. Ministry of Environment(2002) Second Rround of the National Natural Environmental Research. Seoul. (in Korean) 

  20. Ministry of Environment(2006) Third Round of the National Natural Environmental Research Guidelines. pp. 127-155. (in Korean) 

  21. Oh, B.U., D.G. Jo, K.S. Kim and C.G. Jang(2005) Endemic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in Korean) 

  22. Paik, W.K.(1994) Substance of the Korean endemic plants and investigation of their distribution. Bulletin of the KACN 13: 5-84. (in Korean) 

  23. Park, G.W., Y.H. Kwon, H. Choi, S.H. Oh, D.K. Kim and J.H. Kim(2005) Forest vegetation and floristic studies of Mt. Gaya National Park-Especially on the Danji-bong area-. Korean J. Environ. Biol. 23(1): 1-20. (in Korean) 

  24. Park, S.H.(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in Korean) 

  25. Yim, Y.J. and T. Kira(1975) Distribution of forest vegetation and climate in the Korean Peninsula I. Distribution of some indices of thermal climate. Jap. J. Ecol. 25: 77-88.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