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덕산·금대봉 자연생태계보전지역의 관속식물상과 약용자원식물
Flora and Medical Plant Resources of Natural Ecosystem Conservation Area at Mt. Daedeoksan·Geumdaebong 원문보기

韓國資源植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plant resources, v.33 no.5, 2020년, pp.501 - 515  

박성혁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 ,  손용환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 ,  이다현 (국립백두대간수목원) ,  손호준 (국립산림과학원 산림약용자원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대덕산·금대봉 생태계보전지역 내 분포하는 관속 식물상을 파악하여 식물분포를 밝히고, 향후 대덕산-금대봉 생태계보전지역의 주요 식물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와 보전을 위해 수행하였다. 2017년 4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총 14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대덕산-금대봉 생태계보전지역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상은 83과 245속 372종 4아종 45변종 8품종으로 총 428분류군이 조사되었다(Appendix 1). 이 중 한국특산식물은 키버들, 참개별꽃, 진범, 갈퀴현호색 등 19분류군이며, 환경부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은 개병풍, 가시오갈피, 대성쓴풀, 복주머니란으로 총 4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산림청 지정 희귀식물은 19과 34속 34종 2변종 총 36분류군이 나타났다. 침입외래식물은 토끼풀, 달맞이꽃, 지느러미엉겅퀴 등 4과 8속 8종 총 8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도시화지수(UI)는 2.5%, 귀화율(NI)은 1.9%로 나타났다. 본 조사지역의 양치식물은 7과 9속 7종 2변종으로 총 9분류군이 나타났고, 양치식물계수는 0.52로 나타났다. 대한약전 기준 약용자원식물은 16과 24속 24종 2변종 1품종 2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민속식물은 772과 175속 216종 28변종 3품종 4아종 251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대덕산·금대봉에서 출현한 428분류군 중 58.6%가 민속식물로 나타났다. 민속식물을 분류 별로 보면 가장 많은 213분류군이 식용식물로 분류되었다. 약용식물은 161분류군이었으며, 향신용식물은 1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환경부에서 멸종위기 식물로 지정된 대성쓴풀과 복주머니란 등의 희귀식물은 시급히 보호 및 보전에 필요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나도범의귀는 북방계식물로 남한 내 자생지가 검룡소 1곳이 보고되고 있어 자생지보호의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s attempted to prepare criteria to determine target species for conservation, through analyzing vascular flora and medicinal resources plants of Mt. Daedeok and Geumdae-bong in Gangwon Province, Korea. Flora Surveys were conducted 14 times from April, 2017 to October, 2019. Total 428 tax...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덕산・금대봉 생태계보전지역 일대의 관속식물상 분석으로 출현한 식물종을 대상으로 식물의 전초, 뿌리, 잎 등 여러 부위가 질병을 치료하는 목적으로 이용되는 약용자원식물을 정리하였다. 약용자원식물의 정리는 대한약전(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3)과 대한약전외한약(생약)규격집(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을 기준으로 작성하였고, 추가적으로 한국의 약용자원식물 목록(Son et al.
  • 향후 탐방객들의 증가로 인한 외래종의 침투는 생태계 교란의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생태경관보전지역의 관속식물상 및 약용자원 식물의 현황 파악을 통해 체계적인 종 목록 구축과 희귀․특산식물 등 관리대상종의 자생지 및 관리방안의 수립에 기초적인 도움이 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대덕산・금대봉 생태계보전지역 내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파악하여 식물분포를 밝히고, 향후 대덕산-금대봉 생태계보전지역의 주요 식물에 대한 효율적인 관리와 보전을 위해 수행하였다. 2017년 4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총 14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대덕산・금대봉 생태계보전지역 내 분포하는 관속식물상을 파악한 현지 조사 결과는 어떠한가? 2017년 4월부터 2019년 10월까지 총 14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실시하였다. 대덕산-금대봉 생태계보전지역에 자생하는 관속식물상은 83과 245속 372종 4아종 45변종 8품종으로 총 428분류군이 조사되었다(Appendix 1). 이 중 한국특산식물은 키버들, 참개별꽃, 진범, 갈퀴현호색 등 19분류군이며, 환경부지정 희귀 및 멸종위기 식물은 개병풍, 가시오갈피, 대성쓴풀, 복주머니란으로 총 4분류군이 조사되었고, 산림청 지정희귀식물은 19과 34속 34종 2변종 총 36분류군이 나타났다. 침입외래식물은 토끼풀, 달맞이꽃, 지느러미엉겅퀴 등 4과 8속 8종 총 8분류군으로 조사되었으며. 도시화지수(UI)는 2.5%, 귀화율(NI)은 1.9%로 나타났다. 본 조사지역의 양치식물은 7과 9속 7종 2변종으로 총 9분류군이 나타났고, 양치식물계수는 0.52로 나타났다. 대한약전 기준 약용자원식물은 16과 24속 24종 2변종 1품종 27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민속식물은 772과 175속 216종 28변종 3품종 4아종 251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대덕산‧금대봉에서 출현한 428분류군 중 58.6%가 민속식물로 나타났다. 민속식물을 분류 별로 보면 가장 많은 213분류군이 식용식물로 분류되었다. 약용식물은 161분류군이었으며, 향신용식물은 1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환경부에서 멸종위기 식물로 지정된 대성쓴풀과 복주머니란 등의 희귀식물은 시급히 보호 및 보전에 필요한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나도범의귀는 북방계식물로 남한 내 자생지가 검룡소 1곳이 보고되고 있어 자생지보호의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백두대간이란 무엇인가? 백두대간이란 백두에서 금강산을 걸쳐 지리산까지 이어지는 큰 산줄기를 말하며, 백두대간 보호지역은 백두대간 구간 중 생태계, 자연경관 또는 산림 등에 대하여 특별히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지역으로 핵심구역과 완충구역으로 나뉘며, 한반도의 등뼈가 되는 동시에 산림자원의 중요한 근간이 된다(Mountain culture, 2005, Sung et al., 2019).
백두대간 보호지역은 무엇인가? 백두대간이란 백두에서 금강산을 걸쳐 지리산까지 이어지는 큰 산줄기를 말하며, 백두대간 보호지역은 백두대간 구간 중 생태계, 자연경관 또는 산림 등에 대하여 특별히 보호할 필요가 있다고 인정되는 지역으로 핵심구역과 완충구역으로 나뉘며, 한반도의 등뼈가 되는 동시에 산림자원의 중요한 근간이 된다(Mountain culture, 2005, Sung et al., 201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un, S.H., H.S. Lee and J.H. Lim. 2009. Distributional patterns of understory vegetation at Mt. Geumda's protected area for forest genetic resources. J. Kor. For. Soc. 98(3): 339-350. 

  2. Chung, G.Y., K.S. Chang, J.M. Chung, H.J. Choi, W.K. Paik and J.O. Hyun. 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 J. of P. Tax. 47(3):264-288. 

  3. Daegu Regional Environmental Office. 2003. Report Observation of Ecosystem Change. Daegu, Korea. pp. 95-115. 

  4. Jung, H.R. 2014. Ethnobotanical study on the traditional knowledge of medicinal plants in Korea. Department of Forest Environmental Resources, Ph.D.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 Korea. p. 149. 

  5. Kim, J.S. 2009. Pre-feasibility Study for Ecological Learning Center in Daeduk Mountain and Keumdaebong Ecology and Scenery Preservation Area. Research Institute for Gangwon, Korea. p. 93. 

  6. Kim, Y.S., D.O. Lim, H.K. Oh and H.T. Shin. 2002. Vascular plants of Taebaeksan, Hambaeksan, Geumdaebong (Peak) and Maebongsan in the Baekdudaegan. J. Kor. Env. Eco. 15(4):293-31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Korean Fern Society. 2005.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Pulishing Co., Seoul, Korea. 

  8. Korea National Arboretum. 2008. Rare Plants Data Book of Korea. Geobook Publishing Co., Seoul, Korea. 

  9.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a.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Pocheon. Korea. p. 1,000. 

  10. Korea National Arboretum. 2017b. Invasive Alien Plants in South Korea. Pocheon. Korea. p. 265. 

  11. Lee, T.B. 2004. Coloured Flora of Korea. Vol. I, II. Hyangmunsa, Seoul, Korea. 

  12.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Vol. I, II. Gyohaksa, Seoul, Korea. 

  13.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eaeger, Berlin, Germany. p. 666. 

  14. Ministry of Environment. 1990. 90 Nature Ecosystem Area Survey-Daesungsan, Daedeoksan Survey. 

  15. Ministry of Environment. 2017. Endangered Wild Animals and Plants; Protection of Wild Fauna and Flora Act No. 2. 

  16.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03. The Korean Pharmacopoeia. 200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p. 1,439. 

  17.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13. The Korean Herbal Pharmacopoeia. 2013.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p. 674. 

  18. Mountain Culture. 2005. Atlas of Baekdudaegan & Ridge Line Utilizing GPS. Mountain Culture Publishing Co., Seoul, Korea. pp. 1-156. 

  19. Numata, M. 1975. Naturalized Plants. Japan Society of Library. Tokyo, Japan. p. 116. 

  20. Park, Y.M. 2017. Research Trends and Prospects of Forest Medicinal Resources.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Seoul. Korea. 

  21. Seo, D.J., W.K. Paik, W.T. Lee and K.O. Yoo. 2006. Flora and vegetation of Mt. Daedeok. J. Kor. Plant Res. 19(2):277-295 (in Korean). 

  22. Son, H.J., S.H. Park, H.J. Eo, G.H. Park, M.J. Kim, C.H. Ahn and Y.K. Park. 2019. List of Medicinal Resources Plant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Forest Science. p. 237. 

  23. Sung, J.W., J.W. Yoon, H.T. Shin, J.G. Bae, S.G. Gang and M.H. Yi. 2019. The vascular plants in Mt. Guryong, Korea. Korean J. Plant Res. 32(5):589-614. 

  24. Yim, Y.J. and E.S. Jeon. 1980. Distribution of naturalized plants in the Korean Peninsula. J. Kor. Plant Biol. 23:69-8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