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객의 생체신호 분석을 통한 감성 변화
Measurement of Emotional Transition Using Physiological Signals of Audiences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10 no.8, 2010년, pp.168 - 176  

김완석 (숭실대학교 대학원 미디어학과) ,  함준석 (숭실대학교 대학원 미디어학과) ,  손충연 (숭실대학교 대학원 미디어학과) ,  윤재선 (숭실대학교 대학원 미디어학과) ,  임찬 (숭실대학교 미디어학부) ,  고일주 (숭실대학교 미디어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영상을 주의 깊게 시청하는 관객은 보이는 영상의 성격에 따라 여러 심적 변화를 경험한다. 기쁨, 슬픔, 놀람 등 관객이 느낄 수 있는 다양한 감정 상태는 심리학에서 많이 활용되는 제임스 러셀(James Russell)이 정의한 감정 원형모형을 통해 정리된다. 관객이 느낄 수 있는 감정들 중에서도 특히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가 언급한 언캐니(uncanny)는 기존의 명료한 정서적 개념들의 틈새에 존재하는 첨예한 중간자로 대변된다. 언캐니 현상은 비윤리적으로 인식되는 영상을 시청하는 관객이 보편적으로 느끼는 불쾌한 부분이 쾌로 수용되는 상태, 즉 사회적 금기에 대해 긍정적인 상태이기 때문에 이는 사회윤리적인 해석과 더불어 명확한 수리적 분석이 후행될 때 비로소 첨예한 심리상태로서 분석 가치를 지닌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감정 원형모형과 언캐니 상태를 분석하고, 관객의 언캐니 상태에 관한 가설을 설립하여 ECG(Electronic Cardiogram)와 GSR(Galvanic Skin Response) 신호 측청과 같은 생체신호 실험을 수치화한 결과를 러셀의 감정 원형모형을 기반으로 분포, 거리, 시간 등을 분석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udience observing visual media with care experience lots of emotional transition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media. Enjoy, sadness, surprising, etc, a variety of emotional state of audiences is often arranged by James Russell's 'A circumplex model of affect' utilized on psychology. Especially,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언캐니 현상은 사디즘이 반영된 포르노그래피와 같이 비윤리적으로 인식되는 영상을 시청하는 관객이 느낄 수 있는 다소 불쾌한 부분이 쾌로 전환되는 상태, 즉 사회적 금기에 대해 긍정적인 상태이기 때문에 이를 과학적으로 명확하게 분석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일정시간 동안 관객 심리의 과학적 분석을 통해 언캐니 현상의 적용 여부를 연구하는 목적을 지닌다.
  • 반면 생체신호와 쾌-불쾌 간의 연관 관계는 통설이 될 만한 이론이 나오지 않고 있다. 본 논문에서 밝히고자하는 언캐니 현상은 정확한 감정 수치보다는, 전반적인 변화 측정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므로 러셀의 감정원형모델에 적용하기 적합한 연구를 이용하여 감정 변화를 측정한다.
  • 관객이 이와 같은 비윤리적 영상을 시청하면서 ‘쾌’의 감정 상태를 짧은 시간이라도 지니게 된다면, 이는 불쾌한 영상물을 시청하며 쾌의 감정을 느끼는 것이므로, 언캐니 상태의 일종이다. 본 논문에서는 영상 시청을 가장 적극적으로 즐기는 연령대인 20대에게 비윤리적으로 인식되는 종류의 스팽킹 영상을 보여줌으로써 언캐니 현상을 측정하였다. 만약 영상의 스토리라인이 변화하게 되면 이에 따른 관객의 감정변화가 생길 것이므로, 스토리의 변화 없이 단순 체벌하는 장면만 반복되는 영상으로 선정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제임스 러셀(J. Russell)의 감정 원형 모형(A circumplex model of affect) 분석을 시작으로, 언캐니 상태를 과학적 분석의 토대가 가능케 정리하고, 영상을 시청하면서 관객이 느낄 수 있는 언캐니 상태는 쾌와 불쾌의 감정이 동시다발적이라는 가능성을 가설의 시발점으로 세운다. 이러한 가설은 영상을 시청하는 관객의 생체신호가 원형모형의 그래프 위치에 따라 이동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2가지로 설정한다.
  • 피험자는 대학생 7명으로 남자 5명, 여자 2명으로 구성했다. 즉, 본 논문은 영상물 시청에 대한 피험자의 상태 분석을 통해 쾌와 불쾌에 관련된 언캐니 상태를 과학적 시도로서 증명하려 한다.

가설 설정

  • ’ 는 것이고, 가설 2는 ‘영상을 시청하는 동안 측정된 감정은 쾌/불쾌 영역을 급진적으로 이동하는 양상을 띨 것이다.
  • 가설 1은‘영상을 시청하는 동안 측정된 감정은 특정 영역에만 존재하지 않고, 감정 원형모형 상에 고르게 분포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영상을 시청하는 동안 관객의 감정이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가에 대한 연구는 어떤 것이 있는가? 영상을 시청하는 동안 관객의 감정이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가에 대한 연구는 여러 가지 시도가 있어왔다, 예를 들어 다니라 파롬바 외[1]는 관객이 불쾌한 영상을 볼 때 심박신호를 이용하여 공포, 혐오, 분노, 슬픔, 놀람, 행복의 감정 변화를 측정했다. 한편 알바라도[2]는 영상을 볼 때 느끼는 분노, 혐오, 공포, 행복, 고통, 슬픔 등의 감정들을 자기보고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폴 에크만이 증명한 6가지 기본 감정은 무엇인가? Ekman)[3]은 여러 가지 표정이 담긴 사진을 여러 국가, 여러 인종(미국, 유럽, 아시아 같은 현대 문명권에서 파푸아뉴기니의 오지에 사는 포레 족까지 이르는 비문명권까지)에게 보여줘서 같은 여섯 가지 기본이 되는 감정(Basic Emotion)이 있음을 증명했다. 6가지 기본 감정은 행복(Happiness), 슬픔(Sadness), 분노(Anger), 공포(Fear), 혐오(Disgust), 놀람(Surprise)으로 많은 응용 분야에서 기본 감정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폴 에크만의 기본감정은 전부 표정을 나타내는 단어이므로, ‘들뜬’, ‘피곤한’과 같이 표정으로 명확히 나타내기 힘든 감정은 표현할 수 없다.
언캐니 현상 이란? 관객이 느낄 수 있는 감정들 중에서도 특히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가 언급한 언캐니(uncanny)는 기존의 명료한 정서적 개념들의 틈새에 존재하는 첨예한 중간자로 대변된다. 언캐니 현상은 비윤리적으로 인식되는 영상을 시청하는 관객이 보편적으로 느끼는 불쾌한 부분이 쾌로 수용되는 상태, 즉 사회적 금기에 대해 긍정적인 상태이기 때문에 이는 사회윤리적인 해석과 더불어 명확한 수리적 분석이 후행될 때 비로소 첨예한 심리상태로서 분석 가치를 지닌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감정 원형모형과 언캐니 상태를 분석하고, 관객의 언캐니 상태에 관한 가설을 설립하여 ECG(Electronic Cardiogram)와 GSR(Galvanic Skin Response) 신호 측청과 같은 생체신호 실험을 수치화한 결과를 러셀의 감정 원형모형을 기반으로 분포, 거리, 시간 등을 분석하는 방향으로 진행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Daniela Palomba, Michela Sarlo, Alessandro Angrilli, “Alessio Mini, Luciano Stegagno, Cardiac responses associated with affective processing of unplesant film stimuli,” International Jounal of Psychophysiology, Vol.36, pp.45-57, 2000. 

  2. Nancy Alvarado, "Arousal and Valence in the Direct Scaling of Emotional Response to Film Clips," Motivation and Emotion, Vol.21, No.4, pp.323-348, 1997. 

  3. P. Ekman, Basic Emotion in:T.Dalgleish, M.Power, Handbook of Cognition and Emotion, 1999. 

  4. L. Guttman, "A new approach to factor analysis: The radex. In P. F. Lazarsfeld," Mathematical thinking in the social sciences, pp.258-348, 1954. 

  5. G. A. Fisher, "Theoretical and methodological elaborations of the circumplex model of personality traits and emotions. In R. Plutchik & H. R. Conte," Circumplex models of personality and emotions, pp.245-269, 1997. 

  6. J. Russell, "Two pancultural dimensions of emotion word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45, pp.1285, 1983. 

  7. D. Galati and B. Sini, "Les Mots Pour Dire les Emotions: Recherche sur la structire du Lexique Emotional Italien," Revue de Semantique et Pragmatique, Vol.4, p.151, 1998. 

  8. D. Galati and B. Sini, "chelonnement Multidimensionnel de Termes du Lexique Francais des Emotions : Une Comparison Entre Trois Procedes Analyse," Les Cahiers Internationaux de psychologie Sociale, Vol.37, p.87, 1998. 

  9. R. Myllyniemi, The interpersonal circle and the emotional undercurrents of human sociability. In R. Plutchik & H. R. Conte, Circumplex Models of Personality and Emotion, 1997. 

  10. G. S. Action and W. Revelle, "Evaluation of Ten Psychometric Criteria for Circumplex Structure," Methods of Psychological Research Online, Vol.9, No.1, pp.1-27, 2004. 

  11. R. Plutchik, H. R. Conte, Circumplex models of personality and emotion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97. 

  12. S. Freud, "The 'Uncanny'(1919).," The Standard Edition of the Complete Psychological Works of Sigmund Freud Trans. James Strachey. London: Hogarth P, Vol.17, pp.224-226, 1955. 

  13. http://en.wikipedia.org/wiki/Uncanny_Valley, 2007 

  14. M. Mori, "Bukimi no tani the uncanny valley," Energy, Vol.7, pp.33-35, 1970. 

  15. D. Hanson, Exploring the aesthetic range for humanoid robots, Proceedings of the ICCS/CogSci-2006 Symposium: Toward Social Mechanisms of Android Science, Vancouver, Canada, 2006. 

  16. http://en.wikipedia.org/wiki/Spanking 

  17. Gary E. Schwarz, and A. Daniel, Weinberger, Jeferson A. Singer, "Cardiovascular Differentiation of Happniss, Sadness, Anger, and Fear Following Imagery and Exercise," Psychosomatic Medicine, Vol.43, No.41981, 1981. 

  18. C. Christian, V. Evelyne, D. Georges, and D. Andre, "Autonomic nervous system response patterns specificity to basic emotions," Journal of the autonomic nervous system, Vol.62, pp.45-57, 1996. 

  19. T. Y. Kwon, "A World Where a Solution is Another Problem: the Uncanny of Freud and Tonni Morrison," Univ. Kyung-Hee research of humanities, Vol.1, pp.343-364,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