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RFD 설계를 위한 현장타설말뚝의 주면지지력 저항계수 산정
Determination of Resistance Factors of 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for Drilled Shaft Based on Load Test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26 no.7, 2010년, pp.17 - 24  

김석중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권오성 (대림산업(주) 기술연구소) ,  정성준 (한국해양연구원 연안개발에너지연구부) ,  한진태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김명모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기초구조물의 설계에 있어 전세계적으로 하중저항계수설계법(LRFD)이 확산되는 추세이다. 현재 국내의 현장타설 말뚝 설계에 있어 AASHTO(2007)에서 제안한 저항계수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는 미국 내 분포하는 무결암에 대한 저항계수이며 지역적 가변성이 큰 저항계수의 특성상 국내 암반에 적용하기에 부적합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내에서 수행된 재하시험 자료를 이용하여 국내 지반에 적합한 저항계수를 산정하였다. 측정지지력 확인이 가능한 8개 현장의 재하시험 결과 중 22개의 자료를 이용하여 4가지의 지지력 공식에 대한 저항편향계수를 산정하였으며, 이를 이용하여 신뢰성분석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현장타설말뚝의 안전율이 3.0일 때 목표 신뢰도지수는 약 2.01~2.30 으로 산정되었다. 또한 최적화를 이용하여 저항계수 및 하중계수를 산정한 결과 저항계수는 약 0.48~0.56, 사하 중계수는 약 1.25, 활하중 계수는 약 1.75로 산정되었다. 하지만 목표 신뢰도지수를 AASHTO에서 제안한 3.0을 이용하여 저항계수를 산정하면 목표 신뢰도지수 2.0을 적용하였을 때 산정한 저항계수의 약 50% 값을 가진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ad Resistance Factor Design method is used increasingly in geotechnical design world widely and resistance factors for drilled shafts are suggested by AASHTO. However, these resistance factors are determined for intact rock conditions; by comparison, most of bedrocks in Korea have weathered cond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수행된 현장타설말뚝의 재하시험자료를 이용하여 국내지반에 적용 가능한 주면지지력의 저항계수를 산정하였다. 총 8개 현장에서의 재하시험 자료를 분석하고, 일축압축강도로 주면지지력을 산정하는 지지력 공식들을 이용하여 통계적 특성을 산정한 후 신뢰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국내에서 수행된 현장타설말뚝의 재하시험자료를 이용하여 국내지반에 적용 가능한 주면지지력의 저항계수를 산정하였다. 총 8개 현장에서의 재하시험 자료를 분석하고, 일축압축강도로 주면지지력을 산정하는 지지력 공식들을 이용하여 통계적 특성을 산정한 후 신뢰성 분석을 수행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최적화기법으로 저항계수와 하중계수를 동시에 산정하여 AASHTO LRFD에서 제안한 저항 계수 및 하중계수와 비교하였다. 이 때 하중계수의 변동성을 고려하기 위하여 Nowak(1995)과 FHWA(2001)에서 제안한 하중의 편향계수와 통계적 특성(표 7)을 이용하였다.

가설 설정

  • 1): TP2의 경우 변형계수 산정을 위한 프레셔미터 시험이 수행되지 않음.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에서 현장타설말뚝의 재하시험자료를 이용하여 국내지반에 적용 가능한 주면지지력의 저항계수를 산정한 이유는? 하지만 AASHTO LRFD에서 제안한 저항계수는 일반적으로 기반암이 무결암인 북미의 실정에 적합하게 제안한 값이다. 국내의 경우 대표적 암종인 화강암 및 편마암은 암석강도 기준으로는 보통암-경암에 해당하지만 말뚝의 지지층으로 사용되는 기반암 상부는 절리 및 풍화가 발달하여 풍화암 또는 연암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AASHTO LRFD에서 제안한 저항계수를 국내의 설계기준에 직접 적용하기에는 부적절하다.
기초구조물의 설계에 있어 전세계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설계법은? 기초구조물의 설계에 있어 전세계적으로 하중저항계수설계법(LRFD)이 확산되는 추세이다. 현재 국내의 현장타설 말뚝 설계에 있어 AASHTO(2007)에서 제안한 저항계수를 이용하고 있지만, 이는 미국 내 분포하는 무결암에 대한 저항계수이며 지역적 가변성이 큰 저항계수의 특성상 국내 암반에 적용하기에 부적합하다.
하중저항계수설계법의 장점은? 현재 전세계적으로 기초구조물의 설계에 있어서 기존의 허용응력법(Allowable Stress Design) 대신 하중저항계수설계법(Load and Resistance Factor Design, LRFD)의 적용이 확산되는 추세이다. 하중저항계수설계법은 신뢰성 분석을 기반으로 저항의 불확실성을 고려하기 때문에 구조물의 파괴확률을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어 일관된 신뢰도로 설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는데 이를 위하여 신뢰성 있는 저항계수와 하중계수의 산정은 필수적이다. 미국의 경우 2007년부터 교량 구조물 설계시 LRFD적용이 의무화되었으며, AASHTO LRFD 교량설계기준(2007)에서 현장타설말뚝의 저항계수를 주면지지력과 선단지지력에 대하여 분리하여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윤홍준, 정성준, 김명모 (2007), 풍화암에 근입된 현장타설말뚝의 저항계수 산정,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제 21권 8호, pp.107-116. 

  2. AASHTO (2007), AASHTO LRFD Bridge Design Specification, 4rd edition, AASHTO, Washington, D.C. 

  3. Kunt O. Ronold (1999), "Reliability-Based Optimization of Design Code for Tension Piles", Jou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pp.690-695. 

  4. Ng, C. W. W., Li, J. H. M. and Yau, T. L. Y. (2001), "Behavior of Large Diameter Floating Bored Piles in Saprolitic Soils", Soil and Foundations, Vol.41, No.6, pp.37-52. 

  5. Nowak, A. S. (1995), NCHRP Report 368: Calibration of LRFD Bridge Design Code, Transportation Research Board, Washington, D.C. 

  6. O'Neil, M. W., and Reese, L. C. (1999), Drilled Shafts: Construction Procedures and Design Methods. Publication No. FHWA-IF-99-025, U.S. Department of Transportation, Federal Highway Administraion, 1999. 

  7. Sumanta Haldar and G. L. Sivajumar Babu (2008), "Load Resistance Factor Design of Axially Loaded Pile Based on Load Test Results", Jounal of Geotechnical and Geoenvironmental Engineering, pp. 1106-111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