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현장 열응답 시험을 통한 수직 밀폐형 지중열교환기용 그라우트와 열교환 파이프 단면의 성능 평가
Evaluation of Performance of Grouts and Pipe Sections for Closed-loop Vertical Ground Heat Exchanger by In-situ Thermal Response Test 원문보기

韓國地盤工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geotechnical society, v.26 no.7, 2010년, pp.93 - 106  

이철호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박문서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민선홍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최항석 (고려대학교 건축.사회환경공학부) ,  손병후 (한국건설기술연구원 건축도시연구본부 설비플랜트연구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장 열응답 시험을 통해 지중 유효 열전도도를 산출하여 각 보어홀의 성능을 비교하기 위해 강원도 원주 현장에 6개의 보어홀을 시험 시공하였다. 6개의 보어홀은 그라우트 종류와 첨가재 종류, 지중열교환기 파이프 단면에 따른 영향을 검토하도록 시공되었다. 그라우트 재료는 벤토나이트와 시멘트를 사용하였으며 첨가재는 천연규사와 흑연, 파이프 단면은 기존 U-tube 파이프 단면과 유입과 유출 파이프 사이에 파이프를 추가로 삽입한 새로운 3공형 파이프 단면을 적용하였다. 현장 열응답 시험으로 산정한 지중 유효 열전도도 결과는 시멘트 그라우트로 시공한 보어홀의 경우가 벤토나이트 그라우트로 시공한 경우에 비해 전열 성능이 향상됨을 보였으며 흑연을 추가로 사용한 경우가 천연규사만 사용한 경우보다 높은 효율을 보였다. 또한, 유입과 유출 파이프 사이에 물을 채워 부분적 단열 구간을 형성한 새로운 3공형 파이프 단면의 경우가 기존 U-tube 파이프 단면에 비해 높은 효율을 보였다. 가상 건물에 대한 지중열교환기 설계를 수행하여 지중열교환기 시공비를 비교한 결과, 시멘트 그라우트에 첨가재로 천연규사와 흑연을 함께 사용한 경우가 벤토나이트 그라우트에 첨가재로 천연규사를 사용한 기존의 시공방법 보다 낮은 시공비로 설계가 가능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현장 열응답 시험결과를 바탕으로 일련의 경제성 분석을 통하여 새로이 제시된 첨가제와 3공형 파이프 단면의 적용성을 평가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performing a series of in-situ thermal response tests, the effective thermal conductivities of six vertical closed-loop ground heat exchangers were experimentally evaluated and compared one another, which were constructed in a test bed in Wonju. To compare thermal efficiency of the ground heat ex...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그라우트의 종류와 첨가재 종류, 지중 열교환기 파이프 단면의 성능을 비교한 결과는? (1) 시멘트 그라우트와 벤토나이트 그라우트로 지중열교환기를 시공하고 현장 열응답 시험을 통해 지중 유효 열전도도를 산출하여 비교한 결과 첨가재 종류와 파이프 단면에 상관없이 시멘트 그라우트를 사용한 경우가 높게 나타났다.  (2) 첨가재로 천연규사만 사용한 경우와 천연규사와 흑연을 함께 사용한 경우를 비교한 결과 천연규사와 흑연을 함께 사용한 경우에 시료의 실내 열전도도 측정값과 현장 열응답 시험 결과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다.  (3) 지중열교환기의 유입과 유출 파이프 사이에 절연구 간을 갖도록 하는 3공형 파이프 단면이 기존 U-tube 파이프 단면에 비해 지중 유효 열전도도가 높게 나타났다.  (4) 본 현장 시험 결과를 토대로 가상 건물에 대해 지중 열교환기 파이프 소요 길이를 설계한 결과 기존에 국내에서 시공되는 U-tube 파이프 단면으로 벤토나이트와 천연규사 혼합물을 사용한 경우에 비해 3공형 파이프 단면으로 시멘트와 천연규사, 흑연 혼합물을 사용한 경우 가상 건물 지중열교환기 시공비의 약 40%를 절감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5) 시멘트 그라우트의 경우 경화과정에서 수화열이 발생하므로 실내 열전도도 측정이나 현장 열응답 시험 시 최소 14일 양생을 거친 후 수화열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하여 시험을 수행해야 한다. 따라서 시멘트 그라우트로 시공한 지중열교환기는 기존 현장 열응답 시험 기준일인 “최소 3일 이후”는 적합하지 않으며 대부분의 수화열이 소산되도록 최소 14일 이후에 현장 열응답 시험을 수행해야 한다.  (6) 지중열교환기 성능 향상을 위해서는 그라우트재의 전열성 향상뿐만 아니라 지중열교환기 파이프 단면의 열간섭 효과도 함께 고려해야 한다. 
지열 냉난방 시스템이란 무엇인가? 비록 2009년 기후변화협의는 개발도상국과 선진국간의 이견으로 법적 구속력이 있는 합의문 도출이 이루어지지 않고 우리나라가 2013년부터 적용되는 의무감축 국가로 분류되지 않았으나 세계적인 이산화탄소 배출 규제 추세를 대비하기 위한 신재생 에너지 개발 및 활용이 절실히 필요한 시점에 있다. 지열 냉난방 시스템은 이러한 온실가스 감축과 화석연료를 대체할 재생에너지 중 하나로서 지하 50~200m 사이에 연중 일정한 지중 온도를 유지하는 천부 지열을 이용하여 건물의 냉난방에 적용하는 시스템이다. 지열 냉난방 시스템은 지중에 설치된 열교환기를 통해 필요한 열에너지를 흡수 또는 방출하며 지상에 설치한 열펌프(Heat pump)를 사용하여 건물의 냉난방 시스템을 운영하게 된다.
지중열교환기에 시공되는 그라우트는 어떤 목적으로 시공되는가? 수직 밀폐형 지중열교환기의 단면은 그림 2(a)와 같이 일반적으로 직경 15cm 보어홀에 지중과 열교환을 위한 부동액을 순환 시킬 수 있도록 유입과 유출 파이프가 U-tube 형태로 삽입되고 벤토나이트나 시멘트 그라우트 등으로 뒤채움하게 된다. 지중열교환기에 시공되는 그라우트는 순환 파이프의 부동액과 지반 사이에 열적 단락을 방지하고 지하수 오염을 방지하는 목적으로 시공된다(IGSHPA and OSU, 2000). 국내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배합비의 벤토 나이트 그라우트의 열전도도는 대략 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건설교통부 (1998), "귀래-매지간 도로확장 및 포장공사 토질조사보고서", 시추 주상도 (BB1-BB5), 국토관리청, 원주. 

  2. 길후정, 이강자, 이철호, 최항석 (2009), "Numerical Evaluation on Thermal Performance and Sectional Efficiency of Closed-Loop Vertical Ground Heat Exchanger",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제 25 권 3호, pp.57-64. 

  3. 손병후, 신현준, 안형준 (2005), "열응답 시험과 변수 평가 모델을 이용한 그라우트/토양 혼합층의 열전도도 산정", 대한설비공학회 논문집, 제 17권 2호, pp.173-182 

  4. 손병후, (2007), "그라우팅 재료가 지중 유효 열전도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기계학회 2007 춘계학술대회 강연 및 논문 초록집, pp.1333-1338. 

  5. 이세균, 우정선, 김대기 (2008), "지중유효열전도율 해석에 사용되는 선형열원 모델의 초기제외시간 결정에 관한 연구", 에너지공학회 논문집, 제 17권 3호, pp.167-174. 

  6. 임효재, 정계훈, 한지원, 박경우 (2007), "국내의 주요 지역에서 밀폐형 열교환기의 열전도도 측정", 대한기계학회 2007 춘계학 술대회 초록집, pp.1363-1368. 

  7. 정영만, 구경민, 황유진, 장세용, 이영호, 이동혁, 이재근 (2008), "지중열전도도 측정과 지중열교환기의 열확산 특성 분석", 대한설비공학회 논문집, 제 20권 11호, pp.739-745. 

  8. 지식경제부 (2008), "신.재생에너지설비의 지원.설치.관리에 관한 기준", 지식경제부고시 제2008 - 232호. 

  9. 최항석, 이철호, 최효범, 우상백 (2008), "지중 열교환기용 뒤채움재의 물리적 특성 연구", 한국지반공학회 논문집, 제24권 1호, pp.37-49. 

  10. Carslaw, H. S. and Jaeger, J. C. (1959), Conduction of Heat in Solids, 2nd edition, Oxford Science Publications, pp.261-262. 

  11. Gaia Geothermal, LLC (2005), Ground Loop Design 5.0. 

  12. Gehlin, S. (2002), Thermal Response Test (Method Development and Evaluation, Doctoral Thesis, Lulea Univ. of Tech. 

  13. Kavanaugh S. P. and Rafferty K. (1997), Ground-Source Heat Pumps : Design of geothermal systems for commercial and institutional buildings, ASHRAE. 

  14. IGSHPA and Oklahoma State University (2000), Closed-Loop /Ground-Source Heat Pump System : Design and Installation Standards 2000, Oklahoma State University, Stillwater Oklahoma. 

  15. Ingersoll, L. R. Zobel O. J. and Ingersoll A. C. (1954), Heat Conduction : with Engineering and Geological Applications, 2nd ed. McGraw-Hill, New York. 

  16. Paul, N. D. and Remund, C. P. (1997), "Physical, thermal and hydraulic properties of bentonite-based grouts",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Final Report No.TR109160, ERI Project RP38 81-1. 

  17. PCA (Portland Cement Association) (1997), "Portland Cement, Concrete and Heat of Hydration", Concrete Technology Today, Vol.18, No.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