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인색채이미지에 기반한 통합적인 패션색채디자인 시스템 개발
Development of an Integrated Color Design System for Fashion Based on Personal Color Image 원문보기

服飾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v.60 no.7, 2010년, pp.61 - 73  

김영인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김희연 (연세대학교 생활디자인학과) ,  한은주 (연세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develop an fashion color design system based on personal color and sensorial images. This web-based system has a parallel structure which a user can search her own personal color, sensorial, and fashion images. The fashion image was presented according to the type of personal co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차 연구23)에서는 오감이미지를 다차원적로 측정하여 세부적인 오감이미지와 패션이미지와의 관련성을 밝혔지만, 이 연구에서는 오감별로 자신을 가장잘 나타내는 이미지 유형을 선택하여 이들을 통합한 오감이미지 유형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선행 연구에서 측정된 오감이미지 유형별 평균 측정값을 요인 분석하여 부하점수가 낮은 2개 항목을 제외한 후 신뢰도 검증을 하였으며, 신뢰도 계수가 낮은 1개 항목이 제거하고 최종적으로 5가지 오감이미지 유형을 도출하였다.
  •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개인색채 이미지에 근거하여 어울리는 패션색채를 제안하도록 하였다. 1차 연구33)와 PCDS 연구34)에 근거하여 청순한 이미지와 ‘pale, light, bright’톤, 화사한 이미지와 ‘vivid, strong’톤, 차분한 이미지와 ‘deep, dark, dark grayish’톤, 은은한 이미지와 ‘grayish, light grayish, soft, dull’톤을 연결하여 색채 팔레트를 구성하였다.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개인이미지의 다차원적 분석에 근거하여 적합한 패션이미지를 제안하고 상품 기획, 디자인 및 판매에 있어서 중요한 결정 요소가 되는 패션색채 디자인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개발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패션이미지를 결정하는 중요한 요인인 개인색채이미지와 개인의 통합적 오감이미지에 따른 패션이미지 및 패션색채를 실시간적으로 제시할 수 있는 웹 기반의 디자인시스템 개발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 내용 및 범위는 다음과 같다.
  • 이와 같은 기존의 시스템들은 <표 1>에서 보듯이, 주로 웹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며, 이미지 어휘 측정 및 설문을 통하여 색채이미지 혹은 디자인을 제시하는 특징을 갖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사용자의 접근이 용이한 웹을 기반으로 하며, 이미지 어휘 뿐 아니라 시각적 이미지 자료를 활용함으로써 감성적 측정을 즉각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개인색채이미지 유형별로 청순한 색채이미지는 pale, light와 bright tone, 화사한 색채이미지는 vivid와 strong tone, 은은한 색채이미지는 grayish, light grayish, soft와 dull tone, 차분한 색채이미지는 deep, dark와 dark grayish tone과 연관지어 나타내게 하였다. 또한, 개인색채이미지 유형별로 어울리는 패션색채 디자인을 지원하기 위하여 유사조화 및 대비조화의 배색 코디네이션이 제시되도록 하였다.
  • 개인색채이미지와 함께 개인이미지를 결정하는 변인으로서 투입되는 오감이미지는 2차 연구에서 도출된 시감, 청감, 촉감, 후감, 미감 이미지의 각 유형별 선택 여부를 측정하도록 하였다. 오감이미지의 감성 테스트에서 사용된 형용사 어휘 중에서 대표되는 어휘와 함께 감성 이미지의 전달을 즉각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시각적 이미지 자료가 함께 제시되게 하였다. 사용된 이미지 자료<표 4>는 웹 사이트9)10)11), 디자인 관련 서적12)13)14)15)16)17)18)19)20)21)22)에서 색채, 꽃, 인테리어, 제품디자인 등에 관한 시각 자료를 수집한 후 전문가 집단에 의해 대표 어휘를 연상하는 이미지를 선별하여 사용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개인색채이미지와 함께 다차원적 오감에 근거한 감성이미지를 토대로 개인화된 상품 기획과 디자인 뿐 아니라 체계적인 이미지 컨설팅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웹 기반의 패션색채디자인시스템을 설계, 구축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개인색채시스템의 한계는? 개인색채이미지를 측정하는 도구인 개인색채시스템(Personal Color System)은 개개인의 피부색을 객관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하여 어울리는 색을 진단하는 것으로, 외관에 나타난 개인 색채 유형을 비교적 객관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각적으로 드러난 개인색채 뿐 아니라 개인의 다차원적 감각에서의 감성 이미지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맞춤형 패션디자인을 지원하는 시스템의 경우도 패션이미지와 패션색채에 관한 활발한 연구에 비해 실용화된 시스템의 개발이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개인색채이미지 및 패션디자인 지원 시스템들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개인색채시스템이란? 개인색채이미지를 측정하는 도구인 개인색채시스템(Personal Color System)은 개개인의 피부색을 객관적으로 관찰하고 분석하여 어울리는 색을 진단하는 것으로, 외관에 나타난 개인 색채 유형을 비교적 객관적으로 진단할 수 있다. 그러나 시각적으로 드러난 개인색채 뿐 아니라 개인의 다차원적 감각에서의 감성 이미지를 고려하지 못하고 있다.
패션색채디자인시스템이 가진 구조는? 패션색채디자인시스템은 개인색채이미지와 오감이미지를 자가 측정하여 얻어진 개인이미지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여 연산과정을 거친 후 이에 적합한 패션 이미지, 패션색채 및 배색 팔레트가 제시되는 구조를 가졌다. 웹을 기반으로 하는 지원 시스템으로서 <그림 1>과 같이 조사자가 개별적으로 접속하여 화면상에서 정보를 입력하게 한 후 데이터베이스를 융합함으로써 분석된 결과를 출력하는 시스템 흐름도를 가졌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김영인, 한은주, 김희연 (2006). 개인색채이미지에 기반한 통합적인 패션색채디자인 시스템 개발연구I-개인색채이미지와 패션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색채학회지, 20(4), pp. 70-78. 

  2. 김영인, 한은주, 김희연 (2008). 개인색채이미지에 기반한 통합적인 패션색채디자인 시스템 개발연구II-개인의 오감이미지와 패션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4(1), pp. 46-55. 

  3. 이윤주 (1999). 색채이미지에 기반한 패션 색채 계획도구의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25-119. 

  4. 나까마찌미쥬오, 김연민 (1994). 감성공학: 감성을 디자인에 활용하는 기술. 울산: 울산대학교출판부, pp.37-76. 

  5. 박혜원, 박회창 (2005). 웹 기반 스트리트 패션디자인 분석시스템 설계 및 구현. 패션비지니스학회지, 9(2), pp. 160-173 . 

  6. 김영인 (2003). 개인 색채 디자인 시스템(Personal Color Design System) 개발보고서. (주)태평양, pp. 1-25. 

  7. 김영인, 한은주, 김희연 (2006). 개인색채이미지에 기반한 통합적인 패션색채디자인 시스템 개발연구I-개인색채이미지와 패션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색채학회지, 20(4), p. 72. 

  8. 김영인, 한은주, 김희연 (2008). 개인색채이미지에 기반한 통합적인 패션색채디자인 시스템 개발연구II-개인의 오감이미지와 패션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4(1), p. 49. 

  9. retrieved 2006. June-August, from http://www.creative.gettyimages.com; 

  10. retrieved 2006. June-August, from http://www.corbis.com 

  11. retrieved 2006. June-August, from http://www.nationalgeographic.com 

  12. Beazley, Mitchell (2000). Colour Healing Home. Octopus Publishing Group, pp. 56-110. 

  13. Bloom (2004). Bloom November(Issue 12). United Publishers. 

  14. Bloom (2005). Bloom July(Issue 13). United Publishers. 

  15. Copestick, Joanna & Lloyd, Meryl (1998). Vital Colour. Ryland Peters & Small, pp. 17-98. 

  16. Edelkoort, Li (2001). Bloom. Flammarion, pp. 102-170. 

  17. Guild, Tricia (1999). White Hot. Quadrille Publishing, pp. 120-188. 

  18. Intakul, Sakul & Ayudhya, Wongvipa Devahastin na & Tettoni, Luca Invernizzi (2002). Tropical Colors -The Art of Living with Tropical Flowers. Periplus, pp. 76-103. 

  19. Jackson, Carole (1987). Color Me Beautiful Color Make up Book. New York: Ballantine books. 

  20. Lloyd, Claire (1998). Sensual Living. London: Conran Octopus, pp. 21-116. 

  21. Love, Gilly (2000). Insideout. Conran Octopus. 

  22. Rashid, Karim (2001). Karim Rashid-I want to change the world. London: Thames & Hudson, pp. 9-27. 

  23. 김영인, 한은주, 김희연 (2008). 개인색채이미지에 기반한 통합적인 패션색채디자인 시스템 개발연구II-개인의 오감이미지와 패션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디자인문화학회지, 14(1), pp. 53. 

  24. 김영인, 한은주, 김희연 (2006).개인색채이미지에 기반한 통합적인 패션색채디자인 시스템 개발연구 I-개인색채이미지와 패션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색채학회지, 20(4), p. 75. 

  25. 이윤주 (1999). 색채이미지에 기반한 패션 색채 계획도구의 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43-117. 

  26. 추선형 (2000). 색채와 질감에 의한 패션소재 이미지.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66-70 . 

  27. 김수윤 (2001). 1990년대 전반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색채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21-148. 

  28. 김하니 (2001). 1990년대 후반 패션 컬렉션에 나타난 색채특성.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pp. 134-164. 

  29. 박현숙, 박연선 (2000). 패션디자인의 색채이미지 언어와 색채배색. 한국색채학회지, 14(2), pp. 17-23 

  30. 조주연 (2005). 패션색채의 활용에 있어서 색차에 의한 이미지 배색 방법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27-146 

  31. 박화순 (2002). 개인색채 유형에 따라 어울리는 의복색 경향. 복식, 52(6), pp. 20-24 

  32. Matsuura, Sumie, 조기여 (2004). 일본에서의 퍼스널 컬러 시스템의 추이, 한국의류산업학회지, 6(5), pp.535-538. 

  33. 김영인, 한은주, 김희연 (2006). 개인색채이미지에 기반한 통합적인 패션색채디자인 시스템 개발연구I-개인색채이미지와 패션이미지를 중심으로-. 한국색채학회지, 20(4), p. 76. 

  34. 김영인. (2003). 개인 색채 디자인 시스템(Personal Color Design System) 개발보고서. (주)태평양,, pp. 39-82. 

  35. retrieved 2006. June-August, from http://www.samsungdesign.net 

  36. retrieved 2006. June-August, from http://www.ifp.co.kr 

  37. retrieved 2006. June-August, from http://www.firstview.com/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