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재학급 대상자 선발을 위한 관찰.추천 영재판별모형 개발 연구
Identification Model Development for Gifted Students Based on Class Observations and Nominations 원문보기

英才敎育硏究 =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v.20 no.1, 2010년, pp.257 - 287  

류지영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정현철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교육청 산하 영재학급의 영재선발에 적용되는 관찰과 추천에 의한 영재판별모형의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서 영재 판별의 정의와 가능성, 현재의 영재선발, 영재판별의 방법에 대해 조사하였다. 관찰 추천 영재판별모형은 모두 4단계로 구성되었다. 1단계는 다양한 정보들의 수집이고, 2단계는 포트폴리오 구성과 그 내용을 루브릭으로 평정하는 것이고, 3단계는 2단계에서 선발된 학생들을 대상으로 수업과 면접을 실시하여 학생들의 문제해결능력과 정의적 특성을 알아본 다음, 4단계인 영재선정심사위원회에서 최종적으로 영재선발을 결정한다. 본 영재판별모형은 영재프로그램에 배치되고 나서도 영재에 대한 지속적인 관찰을 통하여 영재의 재배치나 상위 영재기관에의 추천 근거자료로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본 모형은 현재 영재성을 발휘하거나 앞으로 발휘할 가능성이 높은 잠재적인 영재의 선발에 도움을 주며, 특히 소외계층의 영재선발에 일익을 담당할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identification model for gifted students, based on class observations and nominations. The definition, issues and methods of identification were examined to achieve the research goal. Gifted identification model based on class observations and nominations 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집단 지능 검사의 장점은 무엇인가? 집단을 대상으로 한꺼번에 그들의 지능검사를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를 위해 만든 검사도구들은 적은 비용으로 지능검사를 실시한다는 점에서 경제적이고, 실제 능력과 학교 성적간의 불일치가 심한 학생들을 판별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개인 지능 검사보다 타당도나 신뢰도에서 떨어지고, 언어 사용에 초점을 두므로 언어영역에 뛰어나지 않은 영재나, 내성적인 영재 등의 지능지수는 실제보다 낮게 측정되거나 간과되기 쉽다.
면접이란 무엇인가? 면접은 참여자로부터 정보나 의견, 신념에 대한 자신의 관점을 표현하도록 유도하는 언어적 의사교환 또는 목적을 가진 대화(김영천, 2006)로, 학생들의 지식, 능력, 흥미, 동기 부여의 여부를 추론할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에서(이순묵, 1999), 영재성을 판별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면접관에 의한 일방적인 질문과 응답이 아니라, 학생을 면접의 중심에 두고 그 학생이 경험해 온 내용과 현재의 관심, 생각, 포부 등에 대해 질문하여 아동의 인지적인 특성과 비인지적인 특성을 함께 파악할 수 있는 경험면접과 상황 면접 등을 사용하면 영재성을 지닌 영재를 판별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영재를 판별하는 데 있어 논란이 되고 있는 것은 무엇인가? 영재를 판별하는 데 있어 논란이 되고 있는 몇 가지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판별 방식의 찬반에 관한 것으로, 일반적으로 표준화된 검사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판별 절차들이 과연 학생들의 능력을 제대로 평가하고 있느냐에 대한 지적이다. 지능검사 자체의 문제점과 한계, 다양한 지능이론의 등장으로 지능의 진정한 의미에 대한 논의, 능력 측정에 대한 대안적 방법들과의 대립적 논의 등이 지능검사와 같은 표준화된 검사에 대한 비판이다(이신동, 2006). 둘째, 영재의 범위를 어디까지 볼 것인가에 대한 것이다. 현재 우리나라는 1% 미만의 학생들이 영재프로그램에 등록되어 있지만, 미국과 같은 선진국의 경우에는 표준화된 검사도구를 통해 판별되는 전체의 상위 3∼5% 가량의 학생들이 영재프로그램의 대상이 되고 있다. 하지만, 판별검사도구의 객관성과 신뢰성의 문제 때문에 적어도 상위 15∼20%의 학생을 재능자원으로 판별하여야 한다는 논의도 있다(Renzulli, 1986). 셋째, 소외된 영재의 판별 가능성에 관한 것이다. 지능검사나 창의성 검사의 경우, 생활환경의 차이, 지능검사나 유사한 문항들에 대한 경험 유무에 따라 다른 결과를 낳을 수 있으며, 아동의 정확한 능력을 파악한다고 보기 힘들때도 있다. 또한 영재성에 대한 판별을 지필고사로 실시할 경우, 가정의 경제적 지위 차이로 인해 특정 집단이 보다 유리한 위치에 있을 수도 있다는 논란이 있다(VanTassel-Baska, Johnson, & Avery, 2002). 넷째, 검사의 신뢰도에 관한 것이다. 실제로 몇 년의 격차를 두고 동일학생에게 실시한 지능검사가 동일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은 경우가 있어, 표준화된 검사도구의 신뢰도에 대해 의문이 제기되기도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6)

  1. 교육과학기술부 (2010). 올해부터 시험 없이 과학영재 발굴. 교육과학기술부 2010년 4월 1일 보도자료. 

  2. 김영천 (2006). 질적연구방법론 I. 문음사. 

  3. 박춘성 (2006). 초등영재선별을 위한 평정척도의 타당화 연구. 박사논문. 서울대학교. 

  4. 서울경제신문 2010. 2. 1일자 사회면 기사: 방과 후 학교 형태 '영재학급' 설치. 

  5. 서혜애 (2009). 세계의 영재교육기관에 대한 이해. 과학고 입학사정관 전문연수 자료집. KAIST 과학영재교육연구원. 

  6. 이순묵 (1999). 대학생 선발용 면접의 기능과 방법에 대한 통합적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산업 및 조직, 19, 56-75. 

  7. 이신동 (2006). 영재판별을 위한 지능검사의 타당성 고찰. 영재와 영재교육, 5(1). 

  8. 이신동, 이정규, 박춘성 (2009). 최신영재교육학개론. 학지사. 

  9. 한국교육개발원(KEDI) (2008). 한국교육개발원 영재교육센터 영재교육현황. 

  10. Archambault, F., Westberg, K., Brown, S., Hallmark, B., Emmons, C., & Zhang, W.(1993). Classroom practices used with gifted third and fourth grade students.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16, 103-119. 

  11. Baum, S., Owen, S., & Oreck, B. (1996). Talent beyond words: Identification of potential talent in dance and music in elementary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40(2), 93-101. 

  12. Bolig, E., & Day, J. (1993). Dynamic assessment of giftedness: The promise of assessing training responsiveness. Roeper Review, 16, 110-113. 

  13. Borland, J. H. (1978). Teacher identification of the gifted: A new look.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2, 22-32. 

  14. Borland, J. H. (2008). Identification, In J. A. Plucker & C. M. Callahan (Eds.), Critical issues and practices in gifted education (pp.261-280). Waco, TX: Prufrock Press. 

  15. Borland, J. H., & Wright, L. (1994). Identifying young, potentially gifted, economically disadvantag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38, 164-171. 

  16. Bracken, B. (2000). An approach for identifying underrepresented populations for G/T programs. Presentation at the College of William and Mary, Williamsburg, VA. 

  17. Brown, S., Renzulli, J., Gubbins, E., Siegle, D., Zhang, W., & Chen, C. (2005). Assumptions underlying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Gifted Child Quarterly, 49(1). 68-79. 

  18. Clark, B. (2008). Growing up gifted: developing the potential of children at home and at school (7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rson Prentice Hall. 

  19. Clasen, D. R., Middleton, J. A., & Connell, T. J. (1994). Assessing artistic and problem-solving performance in minority and nonminority students using a nontraditional multidimensional approach. Gifted Child Quarterly, 38, 27-37. 

  20. Cleary, T. A., Humperys, L. G., Kendrick, S. A., & Wesman, A. (1975). Educational uses of tests with disadvantaged students. American Psychologist, 30, 15-41. 

  21. Coleman, L. (1994). Portfolio assessment: A key to identifying hidden talents and empowering teachers of young children. Gifted Child Quarterly, 38, 65-69. 

  22. Coleman, M. R. (2003). The identification of students who are gifted. East Lansing, MI: National Center for Research on Teacher Learning. (ERIC Digest ED480431). 

  23. Council of State Directors of Programs for the Gifted. (1999). The 1998-99 state of the states gifted and talented report. Longmont, CO: Author. 

  24. Cunningham, C. M., Callahan, C. M., Plucker, J. A., Roberson, C., & Rapkin, A. (1998). Identifying hispanic students of outstanding talent: Psychometric integrity of a peer nomination form. Exceptional Children, 64, 197-210. 

  25. Ford, D. Y. (2003). desegregating gifted education. In J. Borland(Ed.), Rethinking gifted education(pp.143-158).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26. Friedman, R. C., & Rogers, K. B. (1998). Talent in context: Historical and social perspectives on giftedness.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7.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New York: Basic Books. 

  28. Gardner, J. W. (1984). Excellence: Can we be equal and excellent too?, New York, NY: W. W. Norton and Company. 

  29. Gear, G. H. (1978). Effects of Training on Teachers' Accuracy in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Children. Gifted Child Quarterly, 22(1), 90-97. 

  30. Geary, D. C., & Brown, S. C. (1991). Cognitive addition: Strategy choice and speed-ofprocessing differences in gifted, normal, and mathematically disabled children. Developmental Psychology, 27, 398-406. 

  31. Gronlund, N. E., & Waugh, C. K. (2009). Assessment of student achievement. 9th ed. 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32. Hadaway, N., & Marek-Schroer, M. F. (1992).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the gifted minority student. Roeper Review, 15, 73-77. 

  33. Johnsen, S. (1997). Assessment beyond definitions. Peabody Journal of Education, 72, 136-152. 

  34. Lee, S.-Y., & Olszewski-Kubilius, P. (2006). Comparison between talent search students qualifying via scores on standardized tests and via parent nomination. Roeper Review, 28, 157-166. 

  35. Maker, C. J., Nielson, A. B., & Rogers, J. A. (1994). Giftedness, diversity, and problemsolving: Multiple intelligences and diversity in educational settings. Teaching Exceptional Children, 27, 4-19. 

  36. McCarney, S. B., & Anderson, P. D. (1998). The Gifted Evaluation Scale-Technical Manual(2nd ed.). Columbia, MO: Hawthorne Educational Services. 

  37. Monks, F. J. & Pfluger, R. (2005). Gifted education in 21 European countries: Inventory and perspective. Radbond University Nijmegen. 

  38. Naglieri, J. A. (1999). The essentials of CAS assessment. New York: Wiley. 

  39. Pfeiffer, S. I. (2002). Identifying gifted and talented students: recurring issues and promising solutions. Journal of Applied school Psychology, 19(1), 31-50. 

  40. Pfeiffer, S., & Blei, S., (2008). Gifted identification beyond the IQ test. In Pfeiffer, S. I., Handbook of Giftedness in Children, pp. 177-196. 

  41. Pfeiffer, S., & Jarosewich, T. (2003). Gifted Rating Scales. TX: Psych Corp. 

  42. Pfeiffer, S., Kumtepe, A., & Rosado, J. (2006). Gifted identification: Measuring changes in a student's profile of abilities using the Gifted Rating Scales. The School Psychologist, 60, 106-111. 

  43. Renzulli, J. S. (1986). Systems and models for developing programs for the gifted and talented.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44. Roedell, W. C., Jackson, N. E., & Robinson, H. B. (1980). Gifted young children. New York: 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45. Ryser, G. R., & McConnell, K. (2004). Scales for identifying gifted students: Age 5 through 18. Waco, TX: Prufrock Press. 

  46. Sarouphim, K. M. (1999). DISCOVER: A promising alternative assessment for the identification of gifted minorities. Gifted Child Quarterly, 43(4), 244-251. 

  47. Schack, G. D., & Starko, A. (1990). Identification of gifted students: An analysis of criteria preferred by preservice teachers, classroom teachers, and teachers of the gifted. Journal for the Education of the Gifted, 13, 346-363. 

  48. Shore, B. M., & Tsiamis, A. (1986). Identification by provision. In K. A. Hellerand J. F. Feldhusen(eds). Identifying and Nurturing their Gifted. Berne: Huber. 

  49. Smutny, J. F. (1998). The young gifted child: Potential and promise, and anthology. Cresskill, NJ: Hampton Press. 

  50. Sternberg, R. J. (1985). Beyond IQ: A triarchic theory of human intelligenc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51. Sternberg, R. J., & Grigorenko, E. L. (2002). The theory of successful intelligence as a basis for gifted education. Gifted Child Quarterly, 46, 265-277. 

  52. Stevens, D. D., & Levi, A. J. (2005). Introduction to rubrics. Sterling, VA: Stylus. 

  53. VanTassel-Baska, J. (2002). Assessment of gifted student learning in the language arts. The Journal of Secondary Gifted Education, 13, 67-72. 

  54. VanTassel-Baska, J., Feng, A. X., & Evans, B. L. (2007). Patterns of identification and performance among gifted students identified through performance Tasks: a three-year analysis. Gifted Child Quarterly, 51(3), 218-231. 

  55. VanTassel-Baska, J., Johnson, D., & Avery, L. D. (2002). Using performance tasks in the identification of economically disadvantaged and minority gifted learners: Findings from Project STAR. Gifted Child Quarterly, 46, 110-123. 

  56. Vygotsky, L. S. (1978). In M. Cole, V. John-Steiner, S. Scribner, & E. Souberman (Eds. & Trans.), Mind in society: The development of higher psychological processes(pp. 92-104). Cambridge, MA: Harvard University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