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도시녹지 유형에 따른 도시민의 이용 특성 연구 - 수원시를 대상으로 -
Analysis on the Use Characteristics of Citizen based on Urban Green Spaces Type - Focuses on Suwon-City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42 no.5, 2014년, pp.31 - 40  

김예성 (국토연구원) ,  김현 (단국대학교 녹지조경학과) ,  고진수 (광운대학교 경영대학원 도시계획부동산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도시에서의 녹지의 중요성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법에서는 도시공원을 도시계획시설로 정의하고 1인당 공급면적을 규정하고 있지만, 공원조성 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지방자치단체는 높은 지가와 재원부족으로 인해 도시공원의 조성 및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그러나 도시민의 경우 이용의 개념으로 도시녹지를 인지하기 때문에 법정도시공원뿐 아니라 하천, 저수지, 학교 운동장 등 기타녹지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 공원녹지를 이용하는 도시민들은 이용 자체에 목적을 두고 있으므로 법정도시공원뿐 아니라 하천, 저수지, 학교 운동장 등 기타녹지도 공원과 유사하게 인지하는 경향을 보인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녹지를 법정공원녹지인 도시공원과 기타 녹지로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에 따른 공원 이용행태와 이용만족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두 유형 간에 주목할 만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다. 이 같은 사실에서 향후 1인당 공원면적 산정 시 현행 법정공원녹지 외에도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여 하천, 저수지, 학교녹지, 아파트 녹지 등 기타녹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방식의 도시녹지 면적 산정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 부담을 줄이고 향후 도시공원정책의 유효성을 제고할 수 있으며, 재원 부족으로 인한 장기 미집행시설에 대한 해제에 대비하는 방안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또한 도로 만족도, 접근 편리성, 동선 편리성 등 접근성에 대한 요인이 도시공원 이용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은 도시공원에 대한 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공원면적의 양적인 확대뿐만 아니라 도시공원에 대한 접근성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도시녹지로 이동하는 수단이 대부분 도보임을 감안할 때 도시녹지로 이용하는 경로 분석을 통해 베리어 프리, 도보 안정성 확보 등 도시녹지 접근 편의성에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importance of green spaces in the city is growing each day. Local governments are taking charge of park development works that are having difficulty in developing and managing urban parks due to high land value as well as a shortage in finances. This is even though an urban park is defined as a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장안구, 팔달구, 영통구, 권선구 등 수원시의 4개구를 대상으로 행정구역 면적 대비 도시공원 면적, 기타 녹지 면적, 인구밀도, 1인당 공원면적 등이 높은 곳과 낮은 곳을 선정하여 각 지역에서의 이용행태 및 만족도를 설문을 통해 조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시녹지 유형 차이가 시민의 공원 이용행태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향후 도시공원 정책 수립 및 제도 개선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그러나 연구결과 도시민은 도시공원과 하천, 저수지, 운동장, 아파트 녹지 등 기타 녹지를 모두 도시녹지로 체감하고 있음을 밝혀냈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녹지를 도시공원과 기타 녹지로 분류하여 이용행태와 이용 만족도 사이에 차이가 존재하는 지를 살펴보았으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녹지를 도시공원과 기타 녹지로 유형을 구분하고 유형에 따른 이용행태와 이용만족도에 대한 차이를 분석하고자 한다. 도시공원은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제2조 3항에서 정의하고 있는 도시계획시설로서의 공원녹지를 의미하여, 기타 녹지는 도시공원 이외의 공원 녹지로 본 연구에서는 기타 녹지를 하천, 저수지, 학교녹지(운동장), 문화재, 공공기관녹지, 아파트 녹지로 분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도시공원이란 무엇인가? 급속한 도시화와 국민소득증가로 도시민이 건강과 여가를 위해 이용할 수 있는 도시공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에서는 도시공원을 도시자연경관의 보호와 시민의 건강·휴양 및 정서생활의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도시관리계획으로 결정된 도시계획시설로 정의하고 있으며, 동법 시행규칙 제4조에서 도시공원 공급 면적 기준을 도시지역 1인당 6m2, 그 외 지역에서는 1인당 3m2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공원조성 업무는 지방자치단체의 고유 업무로 분류되어 있으나 도시지역의 높은 지가로 인한 과도한 토지 매입비, 지방자치단체의 열악한 재정형편 등으로 도시공원에 대한 투자가 미흡하여 도시공원 조성 및 관리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도시공원 공급 면적 기준은 무엇인가? 급속한 도시화와 국민소득증가로 도시민이 건강과 여가를 위해 이용할 수 있는 도시공원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제2조에서는 도시공원을 도시자연경관의 보호와 시민의 건강·휴양 및 정서생활의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도시관리계획으로 결정된 도시계획시설로 정의하고 있으며, 동법 시행규칙 제4조에서 도시공원 공급 면적 기준을 도시지역 1인당 6m2, 그 외 지역에서는 1인당 3m2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공원조성 업무는 지방자치단체의 고유 업무로 분류되어 있으나 도시지역의 높은 지가로 인한 과도한 토지 매입비, 지방자치단체의 열악한 재정형편 등으로 도시공원에 대한 투자가 미흡하여 도시공원 조성 및 관리에 어려움이 발생하고 있다.
도시공원에서 생활권 공원과 주제공원은 어떤 것들이 있는가? 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은 공원녹지를 쾌적한 도시환경을 조성하고, 시민의 휴식과 정서함양에 기여하는 공간 또는 시설을 말하며, 공간과 시설로는 도시공원, 녹지, 유원지, 공공공지, 저수지, 나무, 잔디, 꽃, 지피식물 등의 식생이 자라는 공간 또는 시설이라고 정의하고 있다. 도시공원은 크게 생활권 공원과 주제공원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생활권 공원에는 소공원, 어린이공원, 근린공원이 있으며, 주제공원에는 역사공원, 문화공원, 수변공원, 묘지공원, 체육공원, 도시농업공원, 시·도 또는 대도시 조례로 정하는 공원 등이 있다(도시공원 및 녹지 등에 관한 법률 제15조).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Jang, N. J.(2011) A Study on the Urban Park Management System with Special Use Permits in Seoul. Seoul Development Institute. 

  2. Kim, H. J., E. J. Kang and J. H. Cho(2010) An evaluation on management types by characteristics of urban parks.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8(5): 21-30. 

  3. Kim, H. B., M. A. Lee and S. J. Hong(2012) Analysis on provision standards for urban infrastructure based on demand characteristics of gender and cohort. Journal of Korean Planners Association 47(3): 123-131. 

  4. Lee, J. J., S. C. Park and H. Kim(2009) A study on the effective plans to increase urban parks through activating private participation: Focusing on the plans to improve park facilities at the balance point of public and private interes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Professional Geographers 43(4): 675-684. 

  5. Lee, H. W.(2009) A study the distributional property and utilizing behaviour of city parks in Geangju. Journal of Urban Geographers Association 12(3): 27-40. 

  6. Lee, Y. J. and H. C. Sung(2009) A Study on Improving the Unbalanced Development of urban Parks. Gyeonggi Research Institute. 

  7. Lee, Y. J. and M. S. Park(2014) A Suggestion for Managing Local Demands Oriented Urban Parks. Gyeonggi Research Institute. 

  8. Moon, C. H.(2001) A study on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urban park in Seoul through the analysis of decisive factors about degree of users' satisfaction. Geographic and Environmental Education 9(1): 97-118. 

  9. Park, E. J., H. C. Sung, J. Y. Seo, K. Y. Kang and M. S. Sung(2007) Analyses of residents satisfaction with the differences in green space infrastructure for three cities, Gwacheon, Uiwang, and Hanam. Journal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0(3): 60-70. 

  10. Park, C. I.(2010) A study on expansion of urban park and green belt based on resident's attitude of park and green belt. Journal of Korea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Welfare 14(3): 29-37. 

  11. Seo, J. Y. and H. C. Sung(2009) A study on the user-driven urban park development plan awareness survey: Focusing on lawns.grass area. Journal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12(2): 61-72. 

  12. Sim, J. Y. and S. Y. Lee(2009) Differences of park satisfaction in new and oldtown as public service: Focused on the city of Daejeon. Korea Journal of Community Living Science 20(4): 481-491. 

  13. Son, S. W. and TM. Ahn, (2013) Sensitivity analysis on the population within and outside of the urban park service area: Focused on Daegu Metropolitan city neighborhood parks and resident registration number data.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5): 9-18. 

  14. Yeom, S. J. and C. I. Park(2011) Satisfaction experienced in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according to their component and arrangement: A case study on Tama Nertown, Japa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9(5): 12-2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