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와 폴리우레탄 복합화 필름의 물성특성
The Physical Property of MWNT/PU Composite Films 원문보기

韓國染色加工學會誌 = Textile coloration and finishing, v.22 no.3, 2010년, pp.246 - 256  

김정현 (영남대학교 섬유패션학부) ,  박준형 (영남대학교 섬유패션학부) ,  김승진 (영남대학교 섬유패션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studies on the physical property of MWNT/PU composite film for electrostatic dissipation (ESD) function by dispersing multi-wall carbon nanotubes (MWNT) in dimethylformamide (DMF) and by combining it with polyurethane(PU). For this purpose, four kinds of MWNT were selected and the composi...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도성을 지닌 정전방전 필름 및 발포필름의 제조·개발을 위해 먼저 국내에서 제조 및 판매 되고 있는 다중벽 탄소나노튜브를 폴리우레탄과 복합화하여 MWNT/PU필름을 제조하고 이들의 분산특성과 전기전도 특성 등을 비교·분석함으로서 정전 방전 필름의 제조에 최적인 다중벽 탄소나노튜브의 선정과 그에 따른 필름 제조공정 특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 박 등20)의 연구와 이 등21)의 논문에 의하면 탄소나노튜브의 용액상의 분산상태의 확인을 위해 UV/VIS/NIR 분광광도계를 이용한 반사율 측정을 통하여 용액상의 분산성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상기 두 논문의 반사율 방법에 의한 분산성 측정 방법에 착안하여 MWNT가 PU필름 내에 분산되어 있는 형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액체 상태뿐만 아니라 고체와 젤 상태도 측정이 가능한 UV/VIS/NIR 분광광도계를 이용하여 가시광선영역(350~750nm)의 전자기복사선을 MWNT/PU 필름에 조사하여 반사율을 측정하고 이 결과를 이용하여 MWNT가 필름에 고르게 분산되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Fig.
  • 본 연구에서는 탄소나노튜브를 폴리우레탄과 복합화하여 전도성을 지닌 정전방전 필름개발을 위해 국내에서 제조되는 탄소나노튜브의 특성을 비교․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탄소나노튜브란 무엇인가? 탄소나노튜브(carbone nanotube)는 1991년 일본 NEC의 수미오 이지마1)에 의해 처음 발견된 나노구조의 탄소물질로 나노스케일의 직경과 미크론스케일 길이의 큰 종횡비를 가지고 있으며 1TPa 수준의 탄성률을 가지는 강직성 재료로 기계적, 물리적, 전기적, 열적 전도성이 매우 뛰어나다.
탄소나노튜브 복합체가 전도성을 가지기 위해서 반드시 극복해야 할 문제 중의 하나는 무엇인가? 탄소나노튜브 복합체가 전도성을 가지기 위해서 반드시 극복해야 할 문제 중의 하나는 고분자내에 탄소나노튜브를 효과적으로 분산시키는 것이다. 효과적 분산을 위해 많이 사용하는 방법은 질산, 황산의 혼합용매에 의하여 탄소나노튜브를 산처리하거나11-13), 탄소나노튜브 표면을 유기물질이나 고분자를 탄소나노튜브 표면에 기능화하는 방법이 있다.
고분자 탄소나노튜브 복합재료의 대표적인 예시는 무엇이 있는가? 최근에는 고분자 매트릭스에 탄소나노튜브를 첨가하여 전도성 또는 기계적 성능이 우수한 고분자 탄소나노튜브 복합재료를 개발하려는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pitch SWNT 복합섬유2), polystyrene/MWNT3), PMMA/ SWNT4), 그리고 polypropylene/carbon nano fiber 등5)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 연구에서는 탄소나노튜브가 고분자 매트릭스를 보강하는 효과는 뛰어나지만, 이와 같은 효과를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탄소나노튜브를 고분자 매트릭스에 균일하게 분산시켜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S. Ijima, Helical Microtubules of Graphitic Carbon, Nature, 354, 56-58(1991). 

  2. R. Andrews, D. Jacques, A. M. Rao, T. Ranrtell, F. Derbyshire, Y. Chen, J. Chen, and R. C. Haddon, Nanotube Composite Carbon Fibers, Appl. Phys. Lett., 75, 1329-1331(1999). 

  3. O. Morales-Teyssier, S. Sanchez-Valdes, and L. F. Ramos-de Valle, Effect of Carbon Nanofiber Functionalization on the Dispersion and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Polystyrene Nanocomposites, Macromol Mat Eng, 291, 1547-1555(2006). 

  4. R. Haggenmueller, H. H. Gommans, A. G. Rinzler, J. E. Fisher, and K. I. Winey, Aligned Singled-wall Carbon Nanotubes in Composites by Melt Processing Methods, ChemPhysLett, 330, 219-225(2003). 

  5. S. Kumar, H. Doshi, M. Srinivasrao, J. O. Park, and D. A. Schiraldi, Fibers from Polypropylene/nano Carbon Fiber Composites, Polymer, 43, 1701-1703(2002). 

  6. J. W. Kim, Y. C. Jung, and J. W. Cho, Carbon Nanotube-Polyurethane Nanocomposites Having Characteristics of Electroactive Shape Recovery, J. Korean Fiber Soc., 42, 270-276(2005). 

  7. S. H. Kim, Xiao. Wang, S. C. Lee, and B. G. Min, Rheological Properties and Electrospinning of PVA/CNT Aqueous Solution, J. Korean Fiber Soc., 43, 251-256(2006). 

  8. J. Y. Won, M. H. Jee, S. H. Park, Y. G. Jeong, and D. H. Baik, Prepar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CNT-coated Conductive Fibers, J. Korean Fiber Soc., 46, 1-7(2009). 

  9. M. Jung and J. H. Cho, Mechanical, Thermal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Carbon Nanotube-Polyurethane Nanocomposites, J. Korean Fiber Soc., 41, 73-79(2004). 

  10. M. S. Kang, S. M. Kwon, D. Y. Kim, H. S. Kim, and H. J. Jin, Preparation of Electrospun Poly(hexamethylene sebacamide)/Multiwalled Carbon Nanotube Nanofibrous Membranes, J. Korean Fiber Soc., 45, 159-165(2008). 

  11. H. Kitano, K. Tachimoto, and Y. Anraku, Functionalization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 by the Covalent Modification with Polymer Chains, J. Colloid Interface Sci., 306, 28-33(2007). 

  12. S. Musso, S. Porro,M. Vinante, L. Vanzetti, R. Ploeger, M. Giorcelli, B. Possetti, F. Trotta, C. Pederzolli, and A. Tagliaferro, Modification of MWNTs Obtained by Thermal- CVD, Diamond & Related Materials, 16, 1183-1187(2007). 

  13. T. Saito, K. Matsushige and K. Tanaka, Chemical Treatment and Modification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Physica B, 323, 280-283(2002). 

  14. A. Hirsch, Functionalization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Angew Chem. Int. Ed., 41, 1853-1859(2002). 

  15. M. Olek, M. Hilgendorff, and M. Giersig, A Simple Route for the Attachment of Colloidal Nanocrystals to Noncovalently Modifi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Colloids and Surfaces A: Physicochem Eng. Aspects, 292, 83-85(2007). 

  16. I. Kumar, S. Rana, C. V. Rode, and W. Cho, Functionalization of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 with Azides Derived from Amino Acids Using Click Chemistry, Journal of Nanoscience and Nanotechnology, 8, 1-6(2008). 

  17. Y. Noguchi, T. Fujigaya, Y. Niidome, and N. Nakashima, Single-walled Carbon Nanotubes/DNA Hybrids in Waterare Highly Stable, ChemPhysLett, 455, 249-251(2008). 

  18. Y. B. Ban, Recent Patent Trends in Polymer Nanotechnology, Polymer Science and Technology, 16, 195-205(2005). 

  19. http://www.kipo.go.kr 

  20. G. Y. Park, J. S. Kim and Y. J. Jeong, Comparison of Characteristic of Multi-walled Carbon Nanotubes Functionalized Using Various Methods, Textile Science and Engineering, 45, 359-362(2008). 

  21. G. W. Lee and J. T. Han, Dispersion of Carbon Nanotubes(CNTs) and CNT-based Transparent Conductive Films, KIC News, 10, 8-19(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