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간의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에서 출생 성비에 대한 고찰
Consideration on Birth Sex Ratio in Human IVF-ET Program in Korea 원문보기

대한생식의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reproductive medicine, v.37 no.1, 2010년, pp.33 - 39  

차병헌 (을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임상병리학과) ,  전진현 (을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임상병리학과) ,  이정렬 (분당서울대학교병원 산부인과) ,  최영민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목 적: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에서의 출생 성비는 사회적으로 과학적으로도 매우 관심이 있는 분야이지만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정확하게 조사된 바가 없다. 본 연구에서는 국가 통계에서 출생 성비의 추이를 살펴보고, 국내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에서의 출생 성비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출생 성비 국가 통계 (1991~2008)는 통계청 자료를 통해 확인하였으며, 체외수정의 분만 자료 (2007~2008)는 보건복지가족부의 용역 연구 결과를 제공받아 분석하였다. 체외수정 방법에 따라 일반적인 체외수정과 세포질내 정자주입술 그리고 이식된 배아에 따라 신선 주기 배아이식과 동결-해동 배아이식으로 구분하여 출생 성비를 통계학적인 방법으로 비교하였다. 결 과: 우리나라의 출생 성비는 2002년까지 불균형 상태인 1.10 정도로 유지되었으나, 그 이후 감소되기 시작하여 2007년과 2008년에는 균형 출생 성비인 1.06이 유지되고 있으며, 체외수정에서의 출생 성비도 2007년 1.07, 2008년 1.06을 나타내었다. 체외수정 방법에 따른 출생 성비는 2008년의 일반적인 체외수정에서 1.10로 가장 높았으며, 2008년의 세포질내 정자주입술에서 1.0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체외수정 방법과 이식배아에 따른 각 군간의 비교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결 론: 국내에서 처음으로 조사된 2007년과 2008년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의 출생 성비도 각각 1.07과 1.06으로 우리나라의 전체적인 출생 성비와 매우 유사하였으며, 정상적인 출생 성비를 나타냈다. 향후 국내의 전체적인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에 대한 통계와 다양한 요인들에 따른 보다 전향적인 출생 성비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 Birth sex ratio (BSR) with human IVF-ET program is an interesting subject of social and scientific issue but very little information is available in Korea.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BSR with IVF-ET and to suggest the effective factors on the BSR. Methods: The national data f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우리나라의 심각한 저출산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2006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정부의 불임부부지원사업의 결과 분석에서 임신과 분만에 대한 객관적인 자료가 확보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계청에서 발표한 출산 통계 자료를 통해 국내 출산 성비의 변화추이를 살펴보았으며, 보건복지가족부에서 취합한 불임부부지원사업의 출산 통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에서 시행되는 일반적인 체외수정법과 세포질내 정자주입술 그리고 동결 배아이식에서의 출생 성비도 조사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통계청에서 발표한 출산 통계 자료를 통해 국내 출산 성비의 변화추이를 살펴보았으며, 보건복지가족부에서 취합한 불임부부지원사업의 출산 통계를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에서 시행되는 일반적인 체외수정법과 세포질내 정자주입술 그리고 동결 배아이식에서의 출생 성비도 조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국내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에서의 전반적인 출생 성비에 대한 최초의 문헌적인 보고로 생각된다.
  • 대한민국 통계청 (The Statistics Korea)에서 발표한 1991~2007년까지의 출산 통계를 원 자료로 이용하여 국내 출생 성비를 정리하였다.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에서의 출생 성비는 보건복지가족부(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에서 취합한 2006년과 2007년 불임부부지원사업의 분만 결과를 분석하였다. 2006년에 지원을 받은 불임부부들은 대부분 2007년에 출산하였으며, 2007년에 지원을 받은 경우에는 대부분 2008년에 출산하였다.
  • 체외수정 방법은 정상적인 정자 상태에서 시행하는 일반적인 체외수정법과 정자에 이상이 있거나 수정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 적용하는 세포질내 정자주입술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해당 주기에서 생성된 배아를 이식하는 신선 배아이식 결과와 해당 주기에서의 잉여 배아를 동결보관하였다가 해동 후에 이식하는 동결-해동 배아이식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 체외수정 방법은 정상적인 정자 상태에서 시행하는 일반적인 체외수정법과 정자에 이상이 있거나 수정에 문제가 있는 경우에 적용하는 세포질내 정자주입술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해당 주기에서 생성된 배아를 이식하는 신선 배아이식 결과와 해당 주기에서의 잉여 배아를 동결보관하였다가 해동 후에 이식하는 동결-해동 배아이식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통계적인 분석은 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으며, p 값이 0.

대상 데이터

  • 대한민국 통계청 (The Statistics Korea)에서 발표한 1991~2007년까지의 출산 통계를 원 자료로 이용하여 국내 출생 성비를 정리하였다.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에서의 출생 성비는 보건복지가족부(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에서 취합한 2006년과 2007년 불임부부지원사업의 분만 결과를 분석하였다.

데이터처리

  • 해당 주기에서 생성된 배아를 이식하는 신선 배아이식 결과와 해당 주기에서의 잉여 배아를 동결보관하였다가 해동 후에 이식하는 동결-해동 배아이식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통계적인 분석은 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으며, p 값이 0.05 미만인 경우에 통계적으로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판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간의 출생 성비에서 남아의 비율이 높은 이유로 주장된 것은 무엇이 있는가? 2,3 인간에서 출생 시 남아의 비율이 다소 높은 이유에 대해서는 다양한 가설들이 제시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직접적인 관련성이 있는 요인이 밝혀지지는 않은 상태이다. 이러한 남아의 비율이 높은 이유로는 성을 결정하는 XY 성염색체 DNA 함유량의 차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운동성이 높은 Y-염색체를 갖는 정자의 수정 확률이 높다는 주장이 제기되고 있다. 3 포유류 중에서 1.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에서의 출생 성비에 관한 연구는 어떠한가? 불임부부를 대상으로 시행되는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술에서의 출생 성비는 많은 연구들에서 남아 비율이 다소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히 난자 채취 후 5일째 시행하는 포배기 배아이식에서 남아 출생 비율이 높게 나타난다는 보고들이 있다.9~13 체외수정에서 남아 출생률이 높은 이유로는 Y-염색체를 갖는 정자가 수정된 남성 배아의 초기 발생 속도가 빨라 배아이식 시에 선택될 확률이 높은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인간의 정상적인 출생 성비는 어떠한가? 인간의 출생 성비는 출생하는 여아 100명에 대한 남아의 비율로, 현재까지의 인구통계학적인 조사를 통해 확인된 정상적인 출생 성비는 1.06으로 출생 시 남아의 비율이 조금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 인간의 출생 성비는 다양한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진화론적인 요소와 유전학적인 요인들도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Cunningham FG, Gant NF, Leveno KJ, Gilstrap III LC, Hauth JC, Wenstrom KD. Williams Obstetrics. Fetal Growth and Development: Fetal Gender. 21st ed. United states of America: McGraw-Hill; 2001. p.156. 

  2. Cronk L. Boy or girl: gender preferences from a Darwinian point of view. Reprod BioMed Online 2007; 15 (Suppl 2): 2487-94. 

  3. Zhou R. Insight into human sex ratio imbalance: the more boys born, the more infertile men. Reprod BioMed Online 2007; 15: 487-94. 

  4. Kuroiwa J, Imamichi T. Growth and reproduction of the chinchilla-age at vaginal opening, oestrous cycle, gestation period, litter size, sex ratio, and diseases frequently encountered. Jikken Dobutsu 1977: 26; 213-22. 

  5. Kuroki Y, Toyoda A, Noguchi H, Taylor TD, Itoh T, Kim DS,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chimpanzee and human Y chromosomes unveils complex evolutionary pathway. Nature Genetics 2006: 38; 158-67. 

  6. 구인모, 고영채, 이희, 최원일, 양기원, 구홍모, 김정욱. 최근 10년간 (1994-2003) 서울성애병원에서 출생한 신생아 출생 성비에 관한 통계보고. 대한산부학회지 2004: 47; 1982-6. 

  7. 천희란, 김일호, 강영호. 부모의 사회경제적 위치에 따른 자녀의 출생 성비 추이: 1981년부터 2004년까지. 예방의학회지 2009: 42; 143-50. 

  8. 통계청 사회통계국 인구동향과. 2008년 출생통계 결과 (http://www.nso.go.kr). 2009. 8. 19. 

  9. Mittwoch U. Blastocysts prepare for the race to be male. Hum Reprod 1993; 8: 1550-5. 

  10. Quintans CJ, Donaldson MJ, Blanco LA, Sergio PR. Deviation in sex ratio after selective transfer of the most developed cocultured blastocysts. J Assist Reprod Genet 1998; 15: 403-4. 

  11. Menezo YJ, Chouteau J, Torello J, Girard A, Veiga A. Birth weight and sex ratio after transfer at the blastocyst stage in humans. Fertil Steril 1999; 72: 221-4. 

  12. Milki AA, Jun SH, Hinckley MD, Westphal LW, Giudice LC, Behr B. Comparison of the sex ratio with blastocyst transfer and cleavage stage transfer. J Assist Reprod Genet 2003; 20: 323-6. 

  13. Luna M, Duke M, Copperman A, Grunfeld L, Sandler B, Barritt J. Blastocyst embryo transfer is associated with a sex-ratio imbalance in favor of male offspring. Fertil Steril 2007; 87: 519-23. 

  14. Avery B, Madison V, Greve T. Sex and development in bovine in-vitro fertilized embryos. Theriogenology 1991; 35: 953-63. 

  15. Valdivia RP, Kunieda T, Azuma S, Toyoda Y. PCR sexing and developmental rate differences in preimplantation mouse embryos fertilized and cultured in vitro. Mol Reprod Dev 1993; 35: 121-6. 

  16. Pergament E, Fiddler M, Cho N, Johnson D, Holmgren WJ. Sexual differentiation and preimplantation cell growth. Hum Reprod 1994; 9: 1730-2. 

  17. Ray PF, Conaghan J, Winston RM, Handyside AH. Increased number of cells and metabolic activity in male human preimplantation embryos following in vitro fertilization. J Reprod Fertil 1995; 104: 165-71. 

  18. Kausche A, Jones GM, Trounson AO, Figueiredo F, MacLachlan V, Lolatgis N. Sex ratio and birth weights of infants born as a result of blastocyst transfers compared with early cleavage stage embryo transfers. Fertil Steril 2001; 76: 688-93. 

  19. Richter KS, Anderson M, Osborn BH. Selection for faster development does not bias sex ratios resulting from blastocyst embryo transfer. Reprod Biomed Online 2006; 12: 460-5. 

  20. Weston G, Osianlis T, Catt J, Vollenhoven B. Blastocyst transfer does not cause a sex-ratio imbalance. Fertil Steril 2009; 92: 1302-5. 

  21. Hentemann MA, Briskemyr S, Bertheussen K. Blastocyst transfer and gender: IVF versus ICSI. J Assist Reprod Genet 2009; 26: 433-6. 

  22. 김경아, 민우경, 임재우, 전누리, 원혜성, 김정훈 등. 체외수정시술로 출생한 쌍생아의 임상적 경과에 대한 비교 분석. 대한소아과학회지 2003; 46: 224-9. 

  23. Ulizzi L, Zonta LA. Sex ratio and natural selection in human: a comparative analysis of two Caucasian populations. Ann Hum Genet 1993; 57: 211-9. 

  24. Ulizzi L, Zonta LA. Factors affecting the sex ratio in humans: multivariate analysis of the Italian population. Hum Biol 1995; 67: 59-67. 

  25. Graffelman J, Hoekstra R.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effect of warfare on the human secondary sex ratio. Hum Biol 2000; 72: 433-45. 

  26. Zorn B, Sucur V, Stare J, Meden-Vrtovec. Decline in sex ratio at birth after 10-day war in Slovenia. Hum Reprod 2002; 17: 3171-7. 

  27. Abu-Musa A, Usta I, Hannoun A, Nassar A. Effect of the Lebanese civil war on sex ratio. Reprod BioMed Online 2008; 17 (Suppl 1): 21-4. 

  28. Mocarelli P, Gerthoux PM, Ferrari E, Patterson Jr DG, Kieszak SM, Brambilla P, et al. Paternal concentrations of dioxin and sex ratio of offspring. Lancet 2000; 355: 1858-63. 

  29. Hertz-Picciotto I, Jusko TA, Willman EJ, Baker RJ, Keller JA, Teplin SW, et al. A cohort study of in utero polychlorinated biphenyl (PCB) exposures in relation to secondary sex ratio. Environ Health 2008; 15: 37. 

  30. 김윤수, 최은선, 차경준. 남아 선호 사상에 기반한 출생성비에 관한 확률론적 고찰. 한국수학사학회지 2008; 21: 79-86. 

  31. Chang HJ, Lee JR, Jee BC, Suh CS, Kim SH. Impact of blastocyst transfer on offspring sex ratio and the monozygotic twinning rat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Fertil Steril 2009; 91: 2381-90. 

  32. Sturmey RG, Bermejo-Alvarez P, Gutierrez-Adan A, Rizos D, Leese HJ, Lonergan P. Amino acid metabolism of bovine blastocysts: a biomarker of sex and viability. Mol Reprod Dev 2010; 77: 285-96. 

  33. Guinness FE, Albon SD, Clutton-Brock TH. Factors affecting reproduction in red deer (Cervus elaphus) hinds on Rhum. J Reprod Fertil 1978; 54: 325-34. 

  34. Gomendio M, Malo AF, Soler AJ, Fernandez-Santos MR, Esteso MC, Garcia AJ, et al. Male fertility and sex ratio at birth in red deer. Science 2006; 314: 1445-7. 

  35. Sharpe RM. Hormones and testis development and the possible adverse effects of environmental chemicals. Toxicol Lett 2001; 120: 221-32. 

  36. Carlsen E, Giwercman A, Keiding N, Skakkebaek NE. Evidence for decreasing quality of semen during past 50 years. Br Med J 1992; 305: 609-13. 

  37. Tiido T, Rignell-Hydbom A, Jonsson B, Giwercman YL, Rylander L, Hagmar L, et al. Exposure to persistent organochlorine pollutants associates with human sperm Y:X chromosome ratio. Hum Reprod 2005; 20: 1903-9. 

  38. Robbins WA, Wei F, Elashoff DA, Wu G, Xun L, Jia J. Y:X sperm ratio in boron-exposed men. J Androl 2008; 29: 115-2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