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유방암의 치료는 수술, 항암치료 및 방사선 치료 등의 주 치료법이 있으며, 유방암 환자에서 주 치료 후 보조적 치료 수단으로 호르몬 치료가 사용된다. 이 호르몬 치료에는 타목시펜이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며, 타목시펜은 체내에서 항에스트로겐 효과를 보여 유방암 치료에 도움을 주며 유방암의 재발방지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타목시펜의 부작용 또한 여러 가지가 있으며 문헌에 보고된 것으로는 자궁내막폴립, 자궁내막증식증, 자궁내막암 등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원에서도 유방암으로 수술 치료를 시행 받은 후 보조적 치료로서 호르몬 제제인 타목시펜을 사용하여 왔으며 이러한 환자들은 모두 외과와 협진하여 산부인과 외래로 추적 관찰하고 있다. 최근에 본원산부인과 외래로 추적 관찰 중인 타목시펜 사용 환자 중에서, 호르몬 치료 시작 3개월 후의 단기간 내에 빠르게 진행하는 다발성의 자궁내막폴립의 1예가 발견되었으며, 이는 타목시펜의 부작용으로 발생한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저자는 유방암 수술 후 보조적 치료로 타목시펜을 사용한 환자들 중 우연히 발견된 빠르게 진행하는 다발성의 자궁내막폴립의 1예를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antiestrogen tamoxifen is currently the most commonly used adjuvant treatment of breast cancer with antiestrogenic effect on mammary tissue. However, it is also associated with endometrial abnormalities, including hyperplasia, polyps, carcinoma, mostly interpreted as evidence of estrogenic effe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5,6,15,17 그러나 최근 본원에서 타목시펜 복용 후 약 3개월의 단시간 내에 빠르게 진행한 다발성 자궁내막폴립 (rapid-growing and multiple endometrial polyp)의 1예를 경험하여 상기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 타목시펜 사용 후 발생한 자궁내막조직의 비정상적 증식에 대한 지금까지의 보고는 타목시펜을 1년 이상 장기간 사용하였을 때 발생한 자궁내막 조직의 변화에 대한 것이었다. 그러나 최근 본원에서 폐경 후의 유방암 환자가 유방암 수술을 받은 후 보조적 호르몬요법으로 타목시펜 사용을 시작한 지 약 3개월 후의 단시간 내에 빠르게 진행하는 다발성 자궁내막폴립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타목시펜은 유방조직과 자궁내막조직에서 어떠한 효과를 나타내는가? 타목시펜은 triphenylethylene 유도체로 유방조직에는 항에스트로겐 효과를 나타내며, 자궁내막조직에는 에스트로겐 효과를 나타낸다. 그러므로 항에 스트로겐 효과의 측면에서는 유방암 치료에 유용하지만 에스트로겐 효과의 측면에서는 자궁내막의 증식을 유도할 수 있다.
타목시펜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1,2 유방암 환자의 보조적 호르몬 치료제인 타목시펜은 주로 에스트로겐 수용체 양성인 환자에게 사용되는데, 유방암 환자의 40%에서 반대쪽 유방의 발병률을 낮추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고, 폐경 후 유방암 환자에서 무병생존율 (disease-free survival)을 높이는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3,4 그러나, 타목시펜은 자궁내막조직에 대해서는 에스트로겐 (estrogen) 효과를 가지며 장기간 사용 시 자궁내막조직의 비정상적 증식을 일으켜 자궁내막폴립, 자궁내막증식증, 자궁내막암 등의 발생 위험도를 높인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그 중에서도 자궁내막폴립은 가장 흔한 발생 빈도를 보이고 있다.5
자궁내막질환에 대한 정기적 선별 검사에는 어떠한 것이 있고 선별 검사의 시기는 어떠한가? 5,9,11 그러므로 타목시펜을 사용하는 폐경 후 유방암 환자에서 질출혈과 같은 증상이 없더라도 자궁내막질환에 대한 정기적 선별 검사가 필요하다.12 선별 검사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그중에서 위양성률 (false positive rate)이 높다는 단점은 있으나 비침습적이고 시행이 간편한 질식 초음파 검사는 매우 효과적인 선별 검사법이다.13 선별 검사의 시기와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지만, American College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ACOG)에서는 타목시펜을 사용하는 폐경 후 여성은 자궁내막증식증 또는 자궁내막암의 증상에 대한 정기적인 검진이 있어야 하며, 비정상적 질출혈이 있는 경우에는 자궁내막조직 검사를 권유하고 있다. 이외에도 타목시펜 치료 전에 자궁내막의 기저질환 유무를 알아보기 위한 선별 검사를 위해 질초음파 검사 (transvaginal ultrasonography)를 권유하고 있으며, 필요 시 자궁초음파조영술 (sonohysterography) 또는 자궁경 (hysteroscopy)과 같은 추가 검사를 권유하고 있다.1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Dibi RP, Zettler CG, Pessini SA, Ayub AV, de Almeida SB, da Silveira GP. Tamoxifen use and endometrial lesions: hysteroscopic, histological, and immunohistochemical findings in postmenopausal women with breast cancer. Menopause 2009; 16: 293-300. 

  2. Al-Brahim N, Elavathil LJ. Metastatic breast lobular carcinoma to tamoxifen-associated endometrial polyp: case report and literature review. Ann Diagn Pathol 2005; 9: 166-8. 

  3. Maugeri G, Nardo LG, Campione C, Nardo F. Endometrial lesions after tamoxifen therapy in breast cancer women. Breast J 2001; 7: 240-4. 

  4. Mourits MJ, De Vries EG, Willemse PH, Ten Hoor KA, Hollema H, Van der Zee AG. Tamoxifen treatment and gynecologic side effects: a review. Obstet Gynecol 2001; 97: 855-66. 

  5. Cohen I. Endometrial pathologies associated with postmenopausal tamoxifen treatment. Gynecol Oncol 2004; 94: 256-66. 

  6. Mourits MJ, Ten Hoor KA, van der Zee AG, Willemse PH, de Vries EG, Hollema H. The effects of tamoxifen on proliferation and steroid receptor expression in postmenopausal endometrium. J Clin Pathol 2002; 55: 514-9. 

  7. Goncalves MA, Goncalves WJ, Matias MM, Nazario AC, de Lima GR, Baracat EC. Hysteroscopic evaluation of the endometrium of post-menopausal patients with breast cancer before and after tamoxifen use. Int J Gynaecol Obstet 1999; 66: 273-9. 

  8. Cohen I, Azaria R, Bernheim J, Shapira J, Beyth Y. Risk factors of endometrial polyps resected from postmenopausal patients with breast carcinoma treated with tamoxifen. Cancer 2001; 92: 1151-5. 

  9. Gregoriou O, Konidaris S, Vrachnis N, Bakalianou K, Salakos N, Papadias K, et al. Clinical parameters linked with malignancy in endometrial polyps. Climacteric 2009; 12: 454-8. 

  10. Antunes A Jr, Costa-Paiva L, Arthuso M, Costa JV, Pinto-Neto AM. Endometrial polyps in pre- and postmenopausal women: factors associated with malignancy. Maturitas 2007; 57: 415 -21. 

  11. Cohen I, Bernheim J, Azaria R, Tepper R, Sharony R, Beyth Y. Malignant endometrial polyps in postmenopausal breast cancer tamoxifen-treated patients. Gynecol Oncol 1999; 75: 136-41. 

  12. Qureshi A, Bukhari F, Pervez S. Spectrum of tamoxifen associated endometrial pathology in breast cancer patients. J Pak Med Assoc 2009; 59: 249-50. 

  13. Markovitch O, Tepper R, Fishman A, Shapira J, Aviram R, Cohen I. The value of transvaginal ultrasonography in the prediction of endometrial pathologies in asymptomatic postmenopausal breast cancer tamoxifen-treated patients. Gynecol Oncol 2004; 95: 456-62. 

  14. ACOG committee opinion. No. 336: Tamoxifen and uterine cancer. American College of Obstetricians and Gynecologists Committee on Gynecologic Practice. Obstet Gynecol 2006; 107: 1475-8. 

  15. Lin MC, Gosink BB, Wolf SI, Feldesman MR, Stuenkel CA, Braly PS, et al. Endometrial thickness after menopause: effect of hormone replacement. Radiology 1991; 180: 427-32. 

  16. Neven P, Vernaeve H. Guidelines for monitoring patients taking tamoxifen treatment. Drug Saf 2000; 22: 1-11. 

  17. Le Donne M, Lentini M, De Meo L, Benedetto V, Mesiti M. Uterine pathologies in patients undergoing tamoxifen therapy for breast cancer: ultrasonographic, hysteroscopic and histological findings. Eur J Gynaecol Oncol 2005; 26: 623-6. 

  18. Tepper R, Beyth Y, Altaras MM, Zalel Y, Shapira J, Cordoba M, et al. Value of sonohysterography in asymptomatic postmenopausal tamoxifen-treated patients. Gynecol Oncol 1997; 64: 386-91. 

  19. Senkus-Konefka E, Konefka T, Jassem J. The effects of tamoxifen on the female genital tract. Cancer Treat Rev 2004; 30: 291-301.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