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궁근종과 생식력
Fertility Issues in Patients with Myoma 원문보기

대한생식의학회지= The Korean journal of reproductive medicine, v.37 no.3, 2010년, pp.191 - 198  

김소라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학교실) ,  채희동 (울산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아산병원 산부인과학교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자궁근종은 환자마다 다양한 조성, 크기, 위치, 개수를 가지는 양성 종양으로 여러 가지 방법으로 생식력에 영향을 준다. 자궁근종이 생식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많이 시행되어 왔지만 여전히 명확한 결론을 내리기는 어렵다. 자궁근종의 위치와 크기는 향후 임신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인자이다. 장막하근종은 임신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나 자궁내강의 모양을 변형시키는 점막하근종과 근층내근종은 임신율을 감소시키며 자연 유산율을 증가시킨다. 그러므로 보조생식술을 시행하기 전에는 먼저 제거하는 치료가 충분히 상의되어야 한다. 자궁내강을 변형시키지 않은 근층내근종이 있는 환자도 임신율의 저하를 보였지만, 확실한 연구가 없기 때문에 결론을 내리기가 쉽지 않다. 근층내근종의 치료로 근종절제술이 생식력을 향상시킨다는 증거는 아직 불충분하므로 환자의 상태와 의사의 경험에 따라 치료 방법을 결정하여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Uterine myomas are heterogeneous tumors in composition, size, location, and number; variation in any of these factors could possibly alter the effect on a woman's fertility status. The effect of myomas on fertility has been the subject of many studies. However, a definitive answer is still missing.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자궁동맥 색전술은 자궁을 보존하면서 자궁근종을 치료할 수 있는 최소 침습적인 시술 방법으로 소개되었다. 시술의 목적은 자궁근종을 허혈성 괴사를 만들어 크기를 감소시키고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함이다. 이론적으로는 근층 내 혈류 감소로 인하여 태반의 기능이 좋지 않고 분만 중 자궁 수축력과 분만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
  • 자궁근종이 있는 여성에서 근종이 불임의 원인이 될 수 있는지, 원인이 된다면 불임을 야기하는 기전은 무엇인지, 자궁근종을 제거함으로써 임신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지, 특히 체외수정시술에서의 자궁근종의 영향에 관하여 알아보고, 자궁근종에 대한 적절한 치료가 체외수정시술의 결과를 향상 시킬 수 있는지에 관하여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임신을 시도하기 전, 근종을 제거하는 치료가 면밀히 숙고되어야 하는 이유는? 자궁근종의 위치와 크기는 향후 임신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인자로 추측된다. 장막하근종은 임신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나 자궁내강의 모양을 변형시키는 점막하근종과 근층내근종은 임신율을 감소시키며 자연 유산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많은 연구에서 보고되고 있다. 그러므로 임신을 시도하기 전, 특히 체외수정시술과 같은 보조생식술을 시행하기 전에 근종을 제거하는 치료가 면밀히 숙고되어야 한다.
자궁근종이란? 자궁근종은 다양한 양의 섬유성 결체조직 (fibrous connective tissue)을 포함한 자궁근종 평활근 세포로 구성된 매우 흔한 양성 종양으로, 1 가임기 여성의약 20~50%에서 발견된다. 2 자궁근종과 불임과의 관련성이나 불임 환자의 치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가 많이 시행되었지만 명확한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향후 임신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인자로 추측되는 것은? 자궁근종의 위치와 크기는 향후 임신에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인자로 추측된다. 장막하근종은 임신에 거의 영향을 주지 않으나 자궁내강의 모양을 변형시키는 점막하근종과 근층내근종은 임신율을 감소시키며 자연 유산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많은 연구에서 보고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Parker WH. Etiology, symptomatology, and diagnosis of uterine myomas. Fertil Steril 2007; 87: 725-36. 

  2. Verkauf BS. Myomectomy for fertility enhancement and preservation. Fertil Steril 1992; 58: 1-15. 

  3. Marshall LM, Spiegelman D, Goldman MB, Manson JE, Colditz GA, Barbieri RL, et al. A prospective study of reproductive factors and oral contraceptive use in relation to the risk of uterine leiomyomata. Fertil Steril 1998; 70: 432-9. 

  4. Parazzini F, Negri E, La Vecchia C, Chatenoud L, Ricci E, Guarnerio P. Reproductive factors and risk of uterine fibroids. Epidemiology 1996; 7: 440-2. 

  5. Ramzy AM, Sattar M, Amin Y, Mansour RT, Serour GI, Aboulghar MA. Uterine myomata and outcome of assisted reproduction. Hum Reprod 1998; 13: 198-202. 

  6. Buttram VC Jr, Reiter RC. Uterine leiomyomata: etiology, symptomatology, and management. Fertil Steril 1981; 36: 433-45. 

  7. Donnez J, Jadoul P. What are the implications of myomas on fertility? A need for a debate? Hum Reprod 2002; 17: 1424-30. 

  8. Rein MS, Friedman AJ, Barbieri RL, Pavelka K, Fletcher JA, Morton CC. Cytogenetic abnormalities in uterine leiomyomata. Obstet Gynecol 1991; 77: 923-6. 

  9. Lumsden MA, West CP, Hawkins RA, Bramley TA, Rumgay L, Baird DT. The binding of steroids to myometrium and leiomyomata (fibroids) in women treated with the gonadotrophin-releasing hormone agonist Zoladex (ICI 118630). J Endocrinol 1989; 121: 389-96. 

  10. Pritts EA, Parker WH, Olive DL. Fibroids and infertility: an updated systematic review of the evidence. Fertil Steril 2009; 91: 1215-1223. 

  11. Kolankaya A, Arici A. Myomas and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when and how to act? Obstet Gynecol Clin North Am 2006; 33: 145-52. 

  12. Stewart EA, Nowak RA. New concepts in the treatment of uterine leiomyomas. Obstet Gynecol 1998; 92: 624-7. 

  13. Miura S, Khan KN, Kitajima M, Hiraki K, Moriyama S, Masuzaki H, et al. Differential infiltration of macrophages and prostaglandin production by different uterine leiomyomas. Hum Reprod 2006; 21: 2545-54. 

  14. Stewart EA, Nowak RA. Leiomyoma-related bleeding: a classic hypothesis updated for the molecular era. Hum Reprod Update 1996; 2: 295-306. 

  15. Ng EH, Ho PC. Doppler ultrasound examination of uterine arteries on the day of oocyte retrieval in patients with uterine fibroids undergoing IVF. Hum Reprod 2002; 17: 765-70. 

  16. Sladkevicius P, Valentin L, Marsal K. Transvaginal Doppler examination of uteri with myomas. J Clin Ultrasound 1996; 24: 135-40. 

  17. Surrey ES, Minjarez DA, Stevens JM, Schoolcraft WB. Effect of myomectomy on the outcome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ies. Fertil Steril 2005; 83: 1473-9. 

  18. Check JH, Choe JK, Lee G, Dietterich C. The effect on IVF outcome of small intramural fibroids not compressing the uterine cavity as determined by a prospective matched control study. Hum Reprod 2002; 17: 1244-8. 

  19. Hart R, Khalaf Y, Yeong CT, Seed P, Taylor A, Braude P. A prospective controlled study of the effect of intramural uterine fibroids on the outcome of assisted conception. Hum Reprod 2001; 16: 2411-7. 

  20. Stovall DW, Parrish SB, Van Voorhis BJ, Hahn SJ, Sparks AE, Syrop CH. Uterine leiomyomas reduce the efficacy of assisted reproduction cycles: results of a matched follow-up study. Hum Reprod 1998; 13: 192-7. 

  21. Surrey ES, Lietz AK, Schoolcraft WB. Impact of intramural leiomyomata in patients with a normal endometrial cavity on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ransfer cycle outcome. Fertil Steril 2001; 75: 405-10. 

  22. Eldar-Geva T, Meagher S, Healy DL, MacLachlan V, Breheny S, Wood C. Effect of intramural, subserosal, and submucosal uterine fibroids on the outcome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treatment. Fertil Steril 1998; 70: 687-91. 

  23. Oliveira FG, Abdelmassih VG, Diamond MP, Dozortsev D, Melo NR, Abdelmassih R. Impact of subserosal and intramural uterine fibroids that do not distort the endometrial cavity on the outcome of in vitro fertilization-intracytoplasmic sperm injection. Fertil Steril 2004; 81: 582-7. 

  24. Baba K, Ishihara O, Hayashi N, Saitoh M, Taya J, Kinoshita K. Where does the embryo implant after embryo transfer in humans? Fertil Steril 2000; 73: 123-5. 

  25. Dubuisson JB, Fauconnier A, Chapron C, Kreiker G, Norgaard C. Second look after laparoscopic myomectomy. Hum Reprod 1998; 13: 2102-6. 

  26. Fauconnier A, Dubuisson JB, Ancel PY, Chapron C. Prognostic factors of reproductive outcome after myomectomy in infertile patients. Hum Reprod 2000; 15: 1751-7. 

  27. Rosati P, Bellati U, Exacoustos C, Angelozzi P, Mancuso S. Uterine myoma in pregnancy: ultrasound study. Int J Gynaecol Obstet 1989; 28: 109-17. 

  28. Donnez J, Mathieu PE, Bassil S, Smets M, Nisolle M, Berliere M. Laparoscopic myomectomy today. Fibroids: management and treatment: the state of the art. Hum Reprod 1996; 11: 1837-40. 

  29. Emanuel MH, Wamsteker K, Hart AA, Metz G, Lammes FB. Long-term results of hysteroscopic myomectomy for abnormal uterine bleeding. Obstet Gynecol 1999; 93: 743-8. 

  30. Vercellini P, Zaina B, Yaylayan L, Pisacreta A, De Giorgi O, Crosignani PG. Hysteroscopic myomectomy: long-term effects on menstrual pattern and fertility. Obstet Gynecol 1999; 94: 341-7. 

  31. Varasteh NN, Neuwirth RS, Levin B, Keltz MD. Pregnancy rates after hysteroscopic polypectomy and myomectomy in infertile women. Obstet Gynecol 1999; 94: 168-71. 

  32. Li TC, Mortimer R, Cooke ID. Myomectomy: a retrospective study to examine reproductive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surgery. Hum Reprod 1999; 14: 1735-40. 

  33. Marchionni M, Fambrini M, Zambelli V, Scarselli G, Susini T. Reproductive performance before and after abdominal myomectomy: a retrospective analysis. Fertil Steril 2004; 82: 154-9. 

  34. Seracchioli R, Rossi S, Govoni F, Rossi E, Venturoli S, Bulletti C, et al. Fertility and obstetric outcome after laparoscopic myomectomy of large myomata: a randomized comparison with abdominal myomectomy. Hum Reprod 2000; 15: 2663-8. 

  35. Ribeiro SC, Reich H, Rosenberg J, Guglielminetti E, Vidali A. Laparoscopic myomectomy and pregnancy outcome in infertile patients. Fertil Steril 1999; 71: 571-4. 

  36. Phillips DR, Milim SJ, Nathanson HG, Haselkorn JS. Experience with laparoscopic leiomyoma coagulation and concomitant operative hysteroscopy. J Am Assoc Gynecol Laparosc 1997; 4: 425-33. 

  37. Arcangeli S, Pasquarette MM. Gravid uterine rupture after myolysis. Obstet Gynecol 1997; 89: 857. 

  38. Vilos GA, Daly LJ, Tse BM. Pregnancy outcome after laparoscopic electromyolysis. J Am Assoc Gynecol Laparosc 1998; 5: 289-92. 

  39. Walker WJ, Pelage JP. Uterine artery embolisation for symptomatic fibroids: clinical results in 400 women with imaging follow up. BJOG 2002; 109: 1262-72. 

  40. McLucas B, Goodwin S, Adler L, Rappaport A, Reed R, Perrella R. Pregnancy following uterine fibroid embolization. Int J Gynaecol Obstet 2001; 74: 1-7. 

  41. Pron G, Bennett J, Common A, Wall J, Asch M, Sniderman K. The Ontario Uterine Fibroid Embolization Trial. Part 2. Uterine fibroid reduction and symptom relief after uterine artery embolization for fibroids. Fertil Steril 2003; 79: 120-7. 

  42. Goldberg J, Pereira L, Berghella V, Diamond J, Darai E, Seinera P, et al. Pregnancy outcomes after treatment for fibromyomata: uterine artery embolization versus laparoscopic myomectomy. Am J Obstet Gynecol 2004; 191: 18-21. 

  43. Gavrilova-Jordan LP, Rose CH, Traynor KD, Brost BC, Gostout BS. Successful term pregnancy following MR-guided focused ultrasound treatment of uterine leiomyoma. J Perinatol 2007; 27: 59-61. 

  44. Bulletti C, D DEZ, Levi Setti P, Cicinelli E, Polli V, Stefanetti M. Myomas, pregnancy outcome, and in vitro fertilization. Ann N Y Acad Sci 2004; 1034: 84-92. 

  45. Harmanli O. Important features of study design. Fertil Steril 2005; 84: 1058-9. 

  46. Pritts EA, Parker WH. Predictive value of myomectomy. Fertil Steril 2006; 86: 769-7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