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장암검진 수검 결정요인 분석모형 개발
Development of Analytic Model for Determinants on the Stages of Change in Colorectal Cancer Screening 원문보기

保健敎育健康增進學會誌 = Korean journal of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v.27 no.2, 2010년, pp.79 - 93  

계수연 (국립암센터 국가암관리사업단) ,  문인옥 (이화여자대학교 보건관리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stages of change in colorectal cancer screening, and develop a model explaining these stages of change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is. Methods: On the basis of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advice, we construct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암검진 수검 행동에 대해 관련성이 있는 요인들이 암검진 수검 변화단계와 어떠한 관련성을 가지고 있는지 규명하며 여러 요인들간의 관계를 포괄적으로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고 여러 요인에 대한 직·간접 효과를 확인할 수 있는 모형구축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HBM, TPB, SCT, TTM, PAPM의 주요 건강결정요인 변수를 채택하여 대장암검진 수검을 설명하는 모형을 개발하고 검증함으로써 대장암검진 수검률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변수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대장암검진의 적정연령층인 50세 이상 성인남녀의 대장암검진 수검 결정요인을 설명하기 위하여 HBM(Health Belief Model)의 인지된 이익과 인지된 비용 개념을, TPB(Theory of Planned Behavior)와 SCT(Social Cognitive Theory)의 자기효능감 개념을, TTM(Transtheoretical Model)의 변화과정 개념을, PAPM(Precaution Adoption Process Model)의 변화단계 개념을 선별하여 가설적 모형을 구축하고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적용하여 대장암검진 수검 결정요인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 이 연구는 50세 이상 성인남녀의 대장암검진변화단계 분포를 파악하고 수검 결정요인 모형을 가설화하고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통해 검증함으로써 대장암검진 수검 결정요인 분석 모형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대상자 중 검진의도가 전혀 없는 경우가 5명 중 1명정도로 대장암검진에 대한 생각이라도 하도록 유도하는 중재전략이 시급함을 알 수 있었으며, 대장암검진 수검 경험과 추후 의도를 설명하는 모형에 있어서 암검진의 부정적인 측면, 암검진 수검 관련 내외적 경험인 변화과정이 수검 결정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설 설정

  • 가설적 모형에서 변화과정은 이득적요인과 장애적요인, 자기효능감에 직접 효과가 있는 것으로 가설 설정하였으며, 이득적요인과 장애적요인, 자기효능감을 통해 암검진 수검 변화단계에 간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가설 설정하였다(이영자, 2003; 김윤숙, 2006), 변화과정(이영자, 2003; 김윤숙, 2006; Manne, 2002; Lawsin, 2006; Ryu, 2008), 이득적 요인과 장애적요인(이영자, 2003; 이혜진, 2003; 김영복, 2006; 김윤숙, 2006; Skinner, 1998, Clemow, 2000; Chamot, 2001; Manne, 2002; Costanza, 2005, Kang, 2008; Ryu, 2008), 자기효능감(김영복, 2006; 김태경, 2008; Tolma, 2006; Menon, 2007; Russell, 2007; Hahm, 2008; O'Neill, 2008; Tung, 2008)은 암검진 수검 변화단계에 직접효과를 주는 것으로 가설 설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정 모형에서 χ2통계량에 대한 활용은? 001) 간명도의 희생에 비해 큰 부합도의 향상을 가져와 수정모형이 적절함을 보였다. 수정 모형에서 χ2통계량은 452.858이었으며 p값이 <.001로 낮게 나와 실제자료와 모형이 일치하지 않는 모델임을 나타내고 있으나, χ2는 표본이 200이상일 때 표본크기가 클수록 민감하게 반응을 보여 유의한 수준으로 판단하는 경우가 많아 참고자료로 이용하는 추세이다. 적합도지수(GFI), 조정된 적합지수(AGFI), 비표준적합지수(NNFI), 표준적합지수( NFI)는 모두 .
공변량 구조분석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공변량 구조분석의 가장 중요한 목적은 부합도를 유지하면서 간명한 모형을 찾는 것으로서, 가설적 모형과 수정 모형의 χ2 차이검정을 살펴보면, 가설적 모형의 χ2 통계량은 519.993이고 수정모형의 χ2 통계량은 452.
현재 대장암을 비롯한 5대암에 대한 무료암검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우리나라 대장암수검율은 얼마인가? 우리나라는 1996년 암정복추진기획단을 구성함으로써 국가차원의 암관리사업을 시작하였고 1999년부터 일부 계층을 대상으로 무료 암검진을 제공하기 시작한 후, 현재 대장암을 비롯한 5대암에 대한 무료암검진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의 대장암수검률은 선진국에 비해 낮아, 2005년 미국 50세 이상 남녀의 평생 대장내시경 수검률이 50%인데 비하여(NCI, 2007), 2009년 우리나라의 경우 10년이내 대장내시경 수검률이 25.1%에 그치고 있다(국립암센터, 200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0)

  1. 강병서. 인과분석을 위한 연구방법론. 무역경영사. 1999. 

  2. 계수연, 최귀선, 성나영, 곽민선, 함명일, 박은철. 위암검진행태단계의 관련요인: PAPM을 적용하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6;23(4):29-45. 

  3. 계수연, 최귀선, 박은철. TV 공익광고가 일반인의 암검진 신념과 의도에 미치는 영향. 대한보건연구 2008;34(1):54-67. 

  4. 국립암센터. 국가 암관리사업의 지원 및 평가. 국민건강증진기금 국가암정보통계관리사업 결과보고서. 2009. 

  5. 김계수. 구조방정식모형 분석. 한나래. 2008. 

  6. 김영복. 성인여성의 자궁경부암 선별검사 수검에 관한 예측인자. 예방의학회지 2001;34(3):237-243. 

  7. 김영복, 이원철. 지역사회주민의 위암조기검진행태 및 그 관련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역학회지 1999;21(1):20-30. 

  8. 김영복. 일부 중년여성의 유방암 수검행동 변화단계와 인지-행동적 요인간의 관련성 분석.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2006;23(2):77-89. 

  9. 김윤숙. 6대암조기검진행위변화단계별 예측 모형.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6. 

  10. 김태경. 일 지역 여성의 유방촬영술 수검의도 예측모형 구축.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8. 

  11. 노운녕. 지역사회 주민의 암조기검진 수검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인자. 한국역학회지 1999;21(1):81-92. 

  12. 박요섭. 일부 지역주민의 암조기검진과 관련요인-Andersen 모형의 적용.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13. 배병렬. 구조방정식모델링-원리와 실제. 청람. 2009. 

  14. 보건복지가족부.한국중앙암등록본부. 국가암등록사업 연례보고서. 보건복지가족부. 2008. 

  15. 신호철. 자궁경부암 선별검사 수검의 사회인구학적 및 행동학적예측인자. 가정의학회지 2001;22(12):1823-1837. 

  16. 이영자. 범이론적 모형에 근거한 여성 유방사진촬영 행위단계별예측요인.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3. 

  17. 이혜진. 행위변화의 단계적 모델을 이용한 자궁경부암 검진 행위 관련 요인 분석-국가 암검진대상자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8. 통계청. 사망원인 통계연보. 2007. 

  19. 함옥경. 한국여성의 유방엑스선 촬영에 영항을 미치는 요인: 건강신념모형을 중심으로. 한국보건간호학회지 2004;18(1):187-194. 

  20. Brenes GA, Paskett ED. Predictors of stage of adoption for colorectal cancer screening. Preventive Medicine 2000;31:410-416. 

  21. Bulliard JL. Reattendance in the swiss mammography screening pilot programme. Journal of Medical Screening 2004;11:59-64. 

  22. Chamot E, Charvet AI, Perneger TV. Predicting stages of adoption of mammography screening in a general population. European Journal of Cancer 2001;37:1869-1877. 

  23. Champion V. Development of a self-efficacy scale for mammography. Research in Nursing & Health 2005;28:329-336. 

  24. Clemow L. Underutilizers of mammography screening today: characteristics of women planning, undecided about, and not planning a mammography.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2000;22(1): 80-88. 

  25. Costanza ME. Applying a stage model of behavior change to colon cancer screening. Preventive Medicine 2005;41:707-719. 

  26. Dundar PE. The knowledge and attitude of BSE and mammography in a group of women in a rural area in western Turkey. BMC Cancer 2006;6(43):1-9. 

  27. Eaker S. Reasons women do not attend screening for cervical cancer: a population-based study in Sweden. Preventive Medicine 2001;32:482-491. 

  28. Gamarra CJ, Paz EPA, Grip RH. Social support and cervical and breast cancer screening in Argentinean women from a rural population. Public Health Nursing. 2009;26(3):269-276. 

  29. Hahm MI. Personal background and cognitive factors as predictors of the intention to be screened for stomach cancer. 2008;17(9):2473-2479. 

  30. Ham OK. Factors affecting mammography behavior and intention among korean women. Oncology Nursing Forum 2006;33(1): 113-119. 

  31. Ham OK. The intention of future mammography screening among korean women. Journal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5;22(1):1-13. 

  32. Hiatt RA, Pasick RJ, Stewart S. Community-based cancer screening for inderstand women: design and baseline findings from the breast and cervical cancer intervention study. Preventive Medicine 2001;33:190-203. 

  33. Honda K. Factors associated with colorectal cancer screening among the US urban Japanese populatio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04;94(5):815-822. 

  34. Honda K. Cognitive mediators liking social support networks to colorectal cancer screening adherence.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006;29(5):449-460. 

  35. Janz NK, Wren PA, Schottenfeld D, Guire KE. Colorectal cancer screening attitudes and behavior: a population-based study. Preventive Medicine 2003;37:627-634. 

  36. James AS. Perceived barriers and benefits to colon cancer screening among african americans in north carolina:how does perception relate to screening behavior?. Cancer Epidemiology, Biomarkers & Prevention 2002;11:529-534. 

  37. Juon HS. Breast and cervical cancer screening among Korean American elderly women. European Journal of Oncology Nursing 2002;6(4):228-235. 

  38. Kang HS, Thomas E, Kwon BE, Hyun MS, Jun EM. Stages of change: Korean women's attitudes and barriers toward mammography screening. Health Care for Women International 2008;29:151-164. 

  39. Lawsin C. Colorectal cancer screening among low-income African americans in east Harlem: a theoretical approach to understanding barriers and promoters to screening. Journal of Urban Health 2006;84(1):32-44. 

  40. Lemon S. Colorectal cancer screening participation: comparisons with mammography and prostate-specific antigen screening.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2001;91(8): 1264-1272. 

  41. Ling BS, Klein WM. Relationship of communication and information measures to cilorectal cancer screening utilization: results from HINTS. J Health Commun 2006;11:181-190. 

  42. Manne S 외 5명. Correlates of colorectal cancer screening compliance and stage of adoption among siblings of individuals with early onset colorectal cancer. Health Psychology 2002;21:3-15. 

  43. Menon U, Belue R, Skinner SC, Rothwell BE, Champion V. Perceptions of colon cancer screening by stage of screening test adoption. Cancer Nurs 2007;30(3):178-185. 

  44. Nguyen GT, Bellamy SL. Cancer infromation seeking preferences and experiences: disparities between Asian Americans and Whites in the Health Information National Trends Survey(HINTS). J Health Commun 2006;11:173-180. 

  45. O'Hea EL, Boudreaux ED, Jeffries SK. Stage of change movement across three health behaviors: the role of self-efficacy. American Journal of Health Promotion 2004; 19(2):94-102. 

  46. O'Neill SC. Intentions to maintain adherence to mammography. J Womens Health. 17(7). 1133-1141. 

  47. Pakenham KI, Pruss M, Clutton S. The utility of socio-demographics, knowledge and health belief model variables in predicting reattendance for mammography screening: a brief report. Psychology and Health 2000;15:585-591. 

  48. Rakowski W. Confirmatory analysis of opinions regarding the pros and cons of mammography. Health Psychology 1997;16(5):433-441. 

  49. Rakowski W. Screening mammography and constructs form the transtheoretical model: associations using two definitions of the stages-of-adoption. Annals of Behavioral Medicine 1996;18(2):91-100. 

  50. Rakowski W, Rimer BK, Bryant SA. Integrating behavior and intention regarding mammography by respondents in the 1990 national health interview survey of health promotion and disease prevention. Public Health Reports 1993;108(5):605-625. 

  51. Ryu EJ. Predictors of mammography uptake in Korean women aged 40 years and over. Journal of Advanced Nursing 2008;64(2):168-175. 

  52. Russell KM, Monahan P, Wagle A, Champion V. Differences in health and cultural beliefs by stage of mammography screening adoption in african american women. Cancer Supplement 2007;109(2):386-395. 

  53. Rutten LF, Squiers L, Hesse B. Cancer-related information seeking: hints from the 2003 Health Information National Trends Survey.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2006;11:147-156. 

  54. Shim M, Kelly B, Hornik R. Cancer information scanning and seeking behavior is associated with knowledge, lifestyle choices, and screening. Journal of Health Communication 2006;11:157-172. 

  55. Silva IT, Grip RH, Rotenberg L. Social support and cervical and breast cancer screening practices among nurses. Rev Latino-am Enfermagem. 2009;17(4):514-521. 

  56. Skinner CS, Arfken CL, Sykes RK. Knowledge, perceptions, and mammography stage of adoption among older urban women. American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1998;14(1):54-63. 

  57. Soskolne V. Beliefs recommendations and intentions are important explanatory factors of mammography screening behavior among muslim arab women in Israel. Health Education Research 2007;22(5):665-676. 

  58. Stoddard AM. Underusers of mammogram screening:stage of adopation in five U.S. subpopulations. Preventive Medicine 1998;27:478-487. 

  59. Sutton S. Prospective study of predictors of attendance for breast screening in inner London. Journal of Epidemiology and Community Health 1994;48:65-73. 

  60. Tessaro I. Knowledge, barriers, and predictors of colorectal cancer screening in an appalachian church population. Preventing Chronic Disease 2006;3(4):1-11. 

  61. Tolma EL. Examining the theory of planned behavior and the construct of self-efficacy to predict mammography intention. Health Education & Behavior 2006;33(2):233-251. 

  62. Trauth JM, Ling BS, Weissfeld JL, Schoen RE, Hayran M. Using the Transtheoretical Model to stage screening behavior for colorectal cancer. Health Education & Behavior 2003;30(3):322-336. 

  63. Tu SP. Breast cancer screening: stages of adoption among cambodian american women. Cancer Detection and Prevention 2002;26:33-41. 

  64. Tung WC. Applying the transtheoretical model to cervical cancer screening in Vietnamese-American women. International Nursing Review 2008;55:73-80. 

  65. Viswanath K. The communications revolution and cancer control. Cancer 2005;5: 828-835. 

  66. West SG, Fintch JF, Curran PJ. Structural equation models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Hoyle R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Thousand Oaks: Sage 56-75. 1995. 

  67. Whynes DK, Clarke K, Philips Z, Avis M. Cervical cancer screening and perceived information needs. Health Education 2004;105(4):289-303. 

  68. Williams-Piehota PA, McCormack LA, Treiman K, Bann CM. Health information styles among participants in a prostate cancer screening informed decision-making intervention. Health Education Research. Online published. 2008. 

  69. World Health Organization. National Cancer Control Programmes. 2002. 

  70. National Cancer Institute. Cancer Trends Progress Report-2007 update. http://progressreport.cancer.gov/doc.asp?pid1&did2007&midvcol&chid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