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인지기능의 정량적 평가를 위한 측정 모델 소프트웨어 개발 및 실험적 검증 연구
An Empirical Study on Quantitative Evaluation of Cognitive Function 원문보기

의학물리 = Korean journal of medical physics, v.21 no.1, 2010년, pp.42 - 51  

류완석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  김형건 ,  정성택 (한국산업기술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뇌 기능 연구 분야에서는 MRI, PET, MEG 영상 시스템 등을 이용한 인지기능에 대한 정량적 평가 연구가 계속적으로 이루어 지고 있다. 최근에는 컴퓨터 기술을 응용하여 인지 기능의 정량적 분석을 효과적으로 하고자 시도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터치 스크린을 이용하여 인지 기능의 정량적 평가를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패키지를 구현하였다. 여기서 구현된 내용은 집중력, 숫자 기억력, 조합 기억력, 위상 기억력, 시각 및 근육 반응, 청각 반응 등으로 되어 있다. 우리는 구현된 소프트웨어에 대하여 실험적 검증과정을 거치고자 20~59세까지의 연령 및 성별에 따른 8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수행하였다. 남녀 모두 40세 이후의 연령에서 인지기능의 감쇄가 일어나는 결과를 정량적 획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가 장비인 영상 시스템뿐만 아니라 상대적으로 간소화된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여서도 인지기능의 정량적 평가가 가능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방법을 적용하여 다양한 그룹의 인지 기능의 정량적 평가 및 비교를 수행하는 데 비용과 시간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maging studies using MRI, PET, and/or MEG have been primary evaluation methods to quantitatively assess cognitive function. Recent advances in computational technology and information technology may allow a novel evaluation methodology to quantitate cognitive function more cost-effectively. In thi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용이한 검사가 가능하도록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인지기능 측정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산화 인지기능평가의 장점을 살리면서 자극의 제시와 검사 수행과정의 자동화를 통하여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한 정량적 임상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일관된 측정이 가능한 측정 모델 소프트웨어의 검증을 수행하였고 연령별 및 성별 측정결과를 수집하여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정량적 한국 표준인지 지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 측정 소프트웨어는 7가지 테스트를 통하여 집중력, 기억력, 반응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사용하였다. 이는 인지기능 측정 소프트웨어의 임상적 평가 및 유용성 검증이 가능하며 측정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정량적 분석을 통하여 노화에 따른 인지기능의 표준 지표가 가능함을 보이고자 한다.
  • 본 논문에서는 용이한 검사가 가능하도록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인지기능 측정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고 이를 이용하여 전산화 인지기능평가의 장점을 살리면서 자극의 제시와 검사 수행과정의 자동화를 통하여 한국 성인을 대상으로 한 정량적 임상연구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는 일관된 측정이 가능한 측정 모델 소프트웨어의 검증을 수행하였고 연령별 및 성별 측정결과를 수집하여 정상인을 대상으로 한 정량적 한국 표준인지 지표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측정 소프트웨어는 7가지 테스트를 통하여 집중력, 기억력, 반응시간을 측정할 수 있는 프로토콜을 사용하였다.
  • 각각의 단계마다 숫자의 자릿수가 늘어나는 것에 따라 숫자를 기억하는 시간을 자릿수가 하나씩 증가할 때마다 1초씩 추가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 값은 실험자가 기억한 숫자의 자릿수를 통해 단기 회상 기억력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Bloom은 인간의 행동 영역 중 인지적 영역을 어떻게 정의하였는가? Bloom (1956)은 교육목표 분류학에서 인간의 행동 영역을 인지적 영역(cognitive domain), 정의적 영역(affective domain), 심리 운동적 영역(psychomotor domain)으로 나누고 인지적 영역을 지식의 기억, 상기, 사고, 문제 해결, 창의력 등 광범위한 지적 과정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현대에 와서는 뇌기능과 인간 행동과의 관련성에 관한 관심과 인지장애에 관한 관심이 임상분야에서 증대되면서 정확하면서도 포괄적인 인지기능 평가의 필요성이 임상의 들의 주요한 관심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Bloom은 인간의 행동 영역을 어떻게 나누었는가? Bloom (1956)은 교육목표 분류학에서 인간의 행동 영역을 인지적 영역(cognitive domain), 정의적 영역(affective domain), 심리 운동적 영역(psychomotor domain)으로 나누고 인지적 영역을 지식의 기억, 상기, 사고, 문제 해결, 창의력 등 광범위한 지적 과정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정의하였다. 현대에 와서는 뇌기능과 인간 행동과의 관련성에 관한 관심과 인지장애에 관한 관심이 임상분야에서 증대되면서 정확하면서도 포괄적인 인지기능 평가의 필요성이 임상의 들의 주요한 관심의 하나로 대두되고 있다.
한국인에 맞게 표준화된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일반적으로 노인의 인지측정을 위한 평가 과정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수행하기 위하여 mini mental state examination (MMSE)가 가장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를 한국인에 맞게 표준화(MMSE-K)시켜 이용되고 있는 것을 제외하곤 표준화가 되어 있는 인지 측정 도구가 없다.9) MMSE-K는 간편하게 인지 상태를 검사해보는 도구로 널리 쓰이고 있으나, 정신이상 상태를 간단히 검사하기 위해 개발되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인지기능 평가를 충분히 다루지 못하는 제한점이 있다.10) 또한 MMSE-K는 문항 난이도가 너무 낮고 너무 쉽기에 교육 정도가 높은 노인에게 실시하면 변별력이 떨어진다. 이 검사는 난이도가 낮고 교육 정도가 높은 사람의 최고의 점수가 반영되지 않기에 점수가 상위에 몰리는 천장 효과를 초래하게 된다. 이는 오류가 일어날 확률이 높아져 잘못된 판단을 내리기 쉽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Lezak MD: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3rd ed. Oxford University Press, New York, (1995), pp. 25-44 

  2. Ha KS, Kwon JS, Lyoo IK, Kong SW, Lee DW, Youn T: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process, and factor analysis of the computerized cognitive function test system for korea adults. J Korean Neuropsychiatry Assoc 41:551-562 (2002) 

  3. Ballard JC: Computerized assessment of sustained attention: a review of factors affecting vigilance performance. J Clin Exp Neuropsychol 18:843-863 (1996) 

  4. Ferris SH, Flicker C, Reisberg B: NYU computerized test battery for assessing cognition in aging and dementia. Psychopharmacol Bull 24:699-702 (1988) 

  5. Kwon JS, Lyoo IK, Hong KS, Yeon GK, Ha KS: Development and standardization of computerized memory assessment for korea adults. J Korean Neuropsychiatry Assoc 41:347-358 (2002) 

  6. Jenkins MA, Langlais PJ, Delis DA, Cohen RA, O'Donnel BE: Attentional dysfunction associated with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among rape survivors. Clin Neuropsychol 14:7-14 (2000) 

  7. Ha KS, Kang UG, Kim JH: Attention and psychiatric disorders. J. Korean Society of Biological Therapies in Psychiatry 4:19-23 (1997) 

  8. Strub RL, Black FW: The mental status examination in neurology. 3rd ed. FA Davis, Philadelphia, (1993), pp. 74-98 

  9. So HY, Kim HY: Measurement of cognitive functions of elderly. Korean J Rehabil Nurs 7:7-14 (2004) 

  10. Anthony JC, LeResche L, Niaz U, Koff MR, Folstein MF: Limit of the Mini-Mental State as a screening test for dementia and delirium among hospital patients. Psychological Med 12:397-408 (1982) 

  11. Nelson HE, Fogel BS, Faust. D: Beside cognitive screening instrument: a critical a assessment. J Nerve & Ment Dis 174:73083 (1986) 

  12. Brandt J: The hopkins verbal learning test: Development of a new verbal memory test with six equivalent forms. Clin Neuropsychologist 5:125-142 (1991) 

  13. Kim JS, Kim SA, Lee CY, Park SW, Nam SH, Lee JY: Effects of number and method of visual stimuli on simple reaction time. Korea J Occup Med 8:403-413 (1996) 

  14. Coffey CE, Rarcliff G, Saxton JA, Fried LP, Lucke JF: Cognitive correlates of human brain aging: a quantitative magnetic resonance imaging investigation. J Neuropsychiatry Clin Neurosci 13:471-485 (2004) 

  15. Grady CL: Functional brain imaging and age-related changes in cognition. Biological Psychology 54:259-281 (2000) 

  16. Anstey KJ, Smith GA: Interrelationships among biological markers of aging, health, activity, acculturation, and cognitive performance in late adulthood. Psychology and Aging 14:605-618 (1999) 

  17. Li KZH, Lindenberger U: Relations between aging sensory/sensorimotor and cognitive functions. Neuroscience and Biobehavioral Reviews 26:777-783 (2002) 

  18. Coffey CE, Saxton JA, Ratcliff G, Bryan RN, Lucke JF:Relation of education to brain size in normal aging. Neurology 53:189-196 (1999) 

  19. Coffey CE, Lucke JF, Saxton JA, Ratcliff G: Sex difference in brain aging. Arch Neurol 55:169-179 (1998) 

  20. Zsembik BA, Peek MK: Race difference in cognitive functioning among older adults. Journal of Gerontology 56B:266-274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