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농업인 교육 프로그램 문제점 및 개선방안
The Problems and Improvement of Farmers Educational Programs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17 no.1, 2010년, pp.45 - 74  

유병민 (건국대학교 사범대학) ,  김정주 (모든학교 연구소) ,  최영창 (농업인재개발원 평가인증팀) ,  박혜진 (건국대학교 사범대학) ,  김선희 (건국대학교 사범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the farmer education programs in Korea and to develop the strategies for improving its effectiveness. Questionnaires were used to collect data from institutes of farmer education. The framework of analysis was developed with four survey areas and 328 prog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의 목적은 정부기관과 농업인력 교육훈련기관 수준에서 농업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함으로써 프로그램 내용 및 방법을 살펴보고 향후 농업교육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지식기반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목표는 다음과 같다.
  • 이러한 관점에서 이 연구는 농업교육 프로그램이 현재 실행되고 있는 농업교육프로그램을 국가 전체적인 수준에서 분석함으로써 농업교육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개선하는 데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업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고려해야 하는 것은? 농업인들의 교육 참여를 높이기 위해서는 교육프로그램의 교육목적 및 교육주제 선정에 있어 농업인 교육기관과 농업인간의 상호 커뮤니케이션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Kilpatrick & Johns, 1999; 나승일 등, 2006). 농업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할 때에는 목적, 주요 대상, 내용, 방법, 조직 등을 고려해야 하며(van den Ban, & Hawkins, 1996; 나승일 등, 2006), 프로그램의 조직에 책임을 지는 사람의 능력과 기획 참여자, 예산 및 필요한 자원을 획득할 수 있는 방법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나승일 등, 2006).
성인학습자의 특성은? 특히 교육대상자는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중요한 요소로, 농업교육의 대상자인 농업인은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지닌다(오형진, 2004). 성인학습자의 특성은 자기주도적 학습이 가능하며, 외재적 동기보다는 자신의 필요에 의해서 학습을 하게 되는 내재적 동기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성인학습자의 특성을 가지고 있는 농업인에게 교육이란 ‘가르치는 것’이라고 정의하기 보다는 그들이 스스로 배우는 것이라는 것이 더 설득력 있게 제기된다(나승일 등, 2006).
농업교육프로그램의 지속적인 개선을 위한 지식기반을 제공하기 위한, 본 연구의 구체적인 목표는 무엇인가? 첫째, 농업교육프로그램의 주요 내용, 교육과정, 교육방법, 교육유형, 대상자선발방법, 선수조건분석, 교육목표의 실태를 조사하고 분석한다. 둘째, 분석의 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농업교육프로그램의 방향 정립에 유용한 시사점을 도출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김진모. (2006). 농업.농촌발전을 위한 농업인 교육혁신 방안. 농업교육과 인적자원 개발, 38(3), 75-111. 

  2. 김진모, 김진군, 마상진, 전영욱, 이진화, & 주현미. (2007). 농업인 교육 프로그램분석.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1), 99-116. 

  3. 김재호, 최민호, & 김진군. (1997). 농업인 교육과정 개발 모형의 설정. 한국농촌지도학회지, 4(1), 257-268. 

  4. 나승일, 김강호, 민상기, 이민욱 & 장현진. (2007). 농업교육훈련 프로그램 평가.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3), 97-123. 

  5. 나승일, 정철영, 김진모, 안강현, 김강호, 전승환, & 민상기. (2006). 맞춤형 농업인교육프로그램의 모델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3), 29-48. 

  6. 나승일, 정철영, 김진모, 안강현, 김강호, 전승환, & 민상기. (2005). 농업인교육 프로그램의 평가지표 개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8(3), 113-135. 

  7. 농림부. (2006). 농업교육체계 개편 방안. 

  8. 농림수산식품부, 지역농업네트워크. (2008). 2008년도 농업교육훈련 평가 편람. 

  9. 마상진. (2007). 농업인 교육.훈련 담당자의 전문성과 교육요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1), 117-136. 

  10. 마상진. (2006). 농업인의 교육.훈련 참여 요인. 농촌경제, 29(3), 33-50. 

  11. 마상진, & 김영생. (2005). 농업인력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 개선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2. 마상진, & 최경환. (2006). 농업인 교육.훈련 담당자의 전문성 제고 방안.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3. 오형진. (2004). 요구분석적 접근에 의한 농업인 배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4. 이 찬. (2007).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국제 표준화 실태 및 요구: ISO 10015를 중심으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9(3), 155-181. 

  15. 정철영, 송병국, 김진모, 문택석, 허영준, 주대진, 최수정, & 한승완. (2008). 농업인평생학습체계 구축을 위한 농업인교육 발전방안 연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0(2), 1-31. 

  16. American Camping Association. (1998). Accreditation Standards for Camp Programs and Services. American Camping Association. 

  17. E.S.C.A.P.E. Training & Development. (2004). Youth Achievement Awards from UK Youth. 

  18. National Agricultural Education Accreditation Council. (2009+). Accreditation Process and Procedure. 

  19. National Association of Child Care Professionals. (2004). National Accreditation Commission for Early Care and Education Programs. from http://www.naccp.org 

  20. Darkenwald, G, G. (1989). Participation in Adult Education. Adult Education Quarterly. 40(1). 

  21. Kilpatrick. S,. & Johns, S. (1999). Management farming: How farmers learn Rural Indust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Coporation: Canberra. 

  22. Roy Morgan Research. (2001). 2000 survey of FarmBis training participation's. Sydney: Roy Morgan Research. 

  23. Saleeba, J. (1991). The Role of adult education in developing the human resources for agricultural industries. Proceedings of the 1991 National Conference and Workshop 'Developing the Human Resources for Agricultural Industries', AIAS Occasional Publication (60), 7-10. 

  24. van den Ban, A, W. & Hawkins, H, S. (1996). Agricultural Extension. Blackwell science Ltd Editorial Office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