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친환경 고발포 소화약제 개발 및 성능 분석 연구
Analysis of Performance and Development of Environment-friendly High Expansion Foam Concentrate 원문보기

한국안전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v.25 no.4, 2010년, pp.25 - 29  

김하영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대학원) ,  남준석 (한국소방산업기술원) ,  이동호 (인천대학교 안전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Foam concentrate is used for fire-extinguishing purposes, occurring foam, mixed with air. In huge oil-fire or the efficiency of fire-extinguishing with small quantity of water, Foam concentrate is used widely. However, perfluorooc tanoicsulfonate and nonylpenol that are included in Foam concentrat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Sodium carboxymethyl cellurose의 내화단점을 보안하기 위하여 Sodium carboxymethyl cellurose와 Polyacrylamide, 올리고당을 혼합하여 배합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포소화약제의 친환경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화학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개발약제 원액의 Table 2의 항목에 대해 검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계면활성제포의 독성 및 생분해도 향상을 위해 Table 1의 합성 계면활성제 포소화약제의 일반조성 중 위험성이 있는 물질의 대체를 통해 친환경 포소화약제를 개발 연구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위험성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할로겐류, 페놀 및 중금속이 첨가되지 않은 친환경 계면활성제 포소화약제의 개발을 목표로 한다. 또한 개발된 포소화약제의 발포성능 및 소화 성능을 측정하고 기존의 국내 및 해외 시판되는 약제와의 성능 비교를 통해 본 소화약제의 적용성을 분석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6)

  1. 차시환, 현성호, 소방약제화학, 신광문화사, 2004.3. 

  2. 한국소방산업기술원, KOFEIS 0103(포소화약제의 형식승인 및 검정기술기준.시험세칙), 2005.8. 

  3. 한국화학시험연구원, 시험성적서, pp. 1-2, 2009.6. 

  4. Krister Holmberg, Bo Jonsson, Bengt Kronberg and Bjorn Lindman, "Surfactants and Polymers in Aqueous Solution", John Wiley & Sons, pp. 437-450, 2002. 

  5. NFPA, "NFPA 11 Standard for Low-, Medium-, and High-Expansion Foam 2002 Edition", NFPA, 2002 . 

  6. Elaine N. B. Stasiuk and Laurier L. Schramm, "The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Critical Micelle Concentrations of Foam-Forming Surfactants", Journal of colloid and interface science, pp. 324-333, 1996.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