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천연계면활성제를 이용한 친환경적 포소화약제 개발
The Development of an Environmental-Friendly Foam Extinguisher Using a Natural Surfactant 원문보기

한국화재소방학회 논문지=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21 no.1 = no.65, 2007년, pp.69 - 73  

김정훈 (호서대학교 안전보건학과) ,  이정윤 (호서대학교 대학원 안전공학과) ,  김홍 (호서대학교 안전보건학과) ,  김응식 (호서대학교 안전보건학과) ,  이명보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환경부 산불연구과) ,  김동현 (국립산림과학원 산림환경부 산불연구과) ,  정기창 (호서대학교 안전보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천연계면활성제 조성물의 친환경적인 포소화약제를 개발하였으며, 소화성능과 환경친화성을 검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한국소방검정공사에서 제시하는 "수동식소화기의형식승인및검정기술기준"에 의한 A2단위 소화능력시험과 안전성평가연구소(한국화학시험연구원)에서 제시하는 육생식물생장실험 및 어류급성독성실험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 소화성능은 A급 일반화재 5단위, 육생식물생장실험에서 발아에 대한 $LC_{50}$은 75(g/kg), 생장에 대한 $EC_{50}$은 62(g/kg), 어류급성독성실험에서 6658 ppm의 결과를 보여, 현재 국내에서 상용화되어 있는 타 약제보다 월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약제로써의 활용을 위한 기본 물성치 및 내부식성에서도 기준에 적합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research, an environmental-friendly foam extinguisher was newly developed using a natural surfactant as its composition. Two criteria were applied to verify its extinguishing performance and environmental attraction. One is unit 2 model by "Standards of Model Approval and Inspection Technol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산림화재용 소화수의 성능을증진시키며 환경친화적인 포소화약제를 개발하였고 또한 소화성능과 환경친화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육생식물 생장실험 및 어류급성독성시험을 수행하였다 .
  • 본 시험은 약제 적용에 따른 환경상 독성영향을 평가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소화약제들은 사용 시 소화약제 원액에 물을 1%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을 기준으로 개발된 것으로 시험에 사용한 소화약제들은 1% 희석액을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Jeff Stern, Class a Foam for Structural Firefighting, United States Fire Administration,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1996) 

  2. Henry Persson, Tank Fires-Review of Fire Incidents 1951-2003, BRANDFORSK Project 513-021, SP Swedish National Testing and Research Institute, (2004) 

  3. 송영선, LiDAR 자료 및 SPOT-4 위성영상을 활용한 산불피해 분석, 대한토목학회논문집, Vol. 26, No. 3D, pp.527-534(2006) 

  4. 이시영, 산불피해 규모별 영향인자 분석, 한국임학회, 2004 학술연구발표논문집, pp.178-180(2004) 

  5. 안상현, 의성군지역 산불발생 및 대형화 위험지역 구분, 한국지리정보학회지, Vol. 8, No. 2, pp.117-124 (2005) 

  6. 김영선, 산불통계자료를 이용한 산불위헌지수 고찰, 한국농림시강학회지, Vol. 7, No. 4, pp.235-239(2005) 

  7. Gwangyong Choi, Spatial Patterns and Temporal Variability of the Haines Index Related to the Wildland Fire Growth Potential over the Korean Peninsula, Journal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Vol 41, No. 2, pp.168-187(2006) 

  8. The State of Victoria, Guidelines and Procedures for Ecological Burning on Public Land in Victoria 2004, Fire Ecology Working Group, Department od Sustainability and Environment(2004) 

  9. 통계청, 년도별 산불발생건수, 피해면적, 피해금액, 인명피해(1998-2004) 

  10. 박동균, 양양산불사고의 대응사례를 통해 본 한국 위기관리행정의 문제점, 한국공안행정학회보, 제20호, pp.223-253(2005) 

  11. Diane L. Larson, Effects of Fire Retardant Chemical and Fire Suppressant Foam on Surub Steppe Vegetation in Northern Nevada, International Journal of Wildland Fire, Vol. 9, No. 2, pp.115-127(1999) 

  12. Bror persson, FOAMSPEX: Large Scale Foam Application-Modelling of Foam Spread and Extinguishment, Fire Technology, Vol. 39, pp.347-362(2003) 

  13. Alberta, Wildfire Foam Application Manual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